[목차] == 소개 == 소설가. 무교회주의 운동가 이찬갑(1904~1974년)의 손자이자 역사학자 [[이기백(1924)|이기백]](1924~2004년)의 장남으로 1953년 피난지 [[경상남도]] [[창원시|창원군]] [[진해구|진해읍]]에서 태어났고, [[서울특별시]]에서 자라났다.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계를 대표하는 [[이승훈(1864)|이승훈]]이 종조부다. == 생애 == 청운국민학교, 경기중학교,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0년에 등단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신군부의 폭압으로 정기 간행물 금지조치가 내려져 《[[문학과지성]]》, 《[[창작과비평]]》 등의 문예지가 폐간되자 1982년 다른 여러 문인들과 함께 무크지 《우리 세대의 문학》을 창간하여 편집동인으로 활동했다. 1982년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 교수를 지내다가 1989년부터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로 자리를 옮겨 [[프랑스]] 현대희곡을 가르쳤다. 정년을 13년이나 앞둔 2006년 2월 스스로 명예퇴직했다. 작가 자신은 소설 창작에 매진하기 위해서라고 말했으나, BK21 등 정부의 일련의 교육개혁 작업 이후 극심한 구직난에 시달리고 있는 [[불어불문학과]] 후배들에게 자리를 내어주기 위해서 일부러 물러났다는 이야기가 유력하다. 부인인 심민화 [[덕성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도 역시나 정년이 한참 남았음에도 함께 명예퇴직했다. 1980년 계간 《[[문학과지성]]》 봄호에 〈낯선 시간 속으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초기작 중 "마지막 연애의 상상"은 현재 절판되어 구하기가 까다로운 작품이다. 실험적인 작법을 다수 시도한 작가로[* <[[강 어귀에 섬 하나]]>에서는 심지어 배면체라는 이름으로 텍스트를 좌우반전한 걸 쓰기도 했다.] 이 결과물 중 제일 유명한 것이 《[[낯선 시간속으로]]》. 1980년대 문단계를 달군 떡밥이자 문학사적인 작품으로, 1970년대까지 내려오던 '사회에 대한 고민'이라는 테마를 집어던지고, '개인'에 주목하는 문학을 내놓으며 갑론을박이 오갔다. 1980년대라는 시점은 1970년대까지의 사회에 대한 고민을 극대화시키는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나며 사회에 극도로 주목하거나 오히려 이러한 진보적 운동들에 관한 흐름에서 벗어나거나 하는 등 여러 갈래로 나뉘는 한국 현대문학의 갈림길과도 같은 구간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우연도 우연이지만 문학의 흐름에 '잘' 맞물렸던 셈이다. 이후에는 《[[한없이 낮은 숨결]]》 등을 내놓았고 이 작품으로 [[1989년]] [[한국일보문학상]]을 받기도 했다. 한동안 작품이 뜸하다가 《[[문학과사회]]》 2012년 겨울호(100호)에 〈한낮의 유령〉을 발표했는데, 이 작품으로 [[김유정문학상]]을 받았다. [[2018년]] 《[[Axt]]》 16호 인터뷰에 나왔는데 여기에 따르면 소설 하나를 더 내놓을 예정이 있다고 한다. [[2015년]]부터 사단법인 〈문학실험실〉을 창립하여 대표로 있다. 자신의 스승이자 한국문학의 전설적인 문학평론가 [[김현(문학가)|김현]]의 이름을 딴 문학상, [[김현문학패]]를 운영하고 있으며, 반년간 문예지 《쓺-문학의 이름으로》를 발행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 [[분류:진해구 출신 인물]] [[분류:1953년 출생]][[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인성, version=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