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인복(야구선수)/선수 경력)] [목차] == 개요 == [[이인복(야구선수)|이인복]]의 2022시즌 활약상을 담은 문서이다. == 시즌 전 == 지난 시즌 후반기 활약 덕에 시즌 전 4선발로 낙점받았다. 하지만 걱정되는 점은 투심을 이용한 땅볼 투수이기에 [[딕슨 마차도|마차도]]가 나간 롯데 내야가 잘 해줄지다. === 시범 경기 === 3월 15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구속이 올라오지 않는 모습을 보였고 앞서 내야가 흔들리며 그 걱정이 현실이 된 모습이다 결국 1회에 투구수가 많아 강판되었다. 3월 26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4회에 등판하여 4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 [[페넌트레이스]] == === 4월 === ==== 4월 6일: [[NC 다이노스|NC]]전 (원정) [패]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red L}}}''' || 4⅔ || 62 || 5 || 0 || 3 || 0 || 3 || 1 || 4월 6일 [[NC 다이노스]]와의 원정경기에서 선발로 등판해 4이닝까지 1실점으로 호투하였으나, 5회부터 도태훈, 서호철에게 안타를 맞으면서 2사 주자 1, 2루를 맞이했는데, 투구수가 그렇게 많지도 않은 62개였는데, 결국 [[나균안]]이랑 교체되면서 강판 되었다. 나균안은 손아섭부터 볼넷을 허용시키더니, 박준영의 땅볼 타구를 [[한동희]]가 바로 걷어내지 못하면서 책임주자 1명 불러들였고, 이어 [[박건우]]의 2타점 적시타로 서호철마저 홈에 들어오며, 최종적으로 3실점 1자책을 기록했다. 타선도 송명기의 공을 공략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박근영 심판의 석연찮은 콜로 인해 팀은 단 1득점도 올리지 못하면서 시즌 첫패를 기록했다. ==== 4월 15일: [[kt wiz|KT]]전 (홈) [구원승]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blue W}}}''' || 1.1 || 27 || 1 || 0 || 2 || 1 || 0 || 0 || 김진욱에 이어서 팀의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하였다. 5회와 6회를 무난하게 막으며 구원승을 챙겨갔다. ==== 4월 19일: [[한화 이글스|한화]]전 (홈) [패]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red L}}}''' || 6 || 87 || 8 || 0 || 3 || 2 || 4 || 4 || 1회초부터 정은원과 최재훈에게 빗맞는 안타를 연달아 내주더니 터크먼에게는 충분히 더블플레이를 만들 수 있었음에도 안치홍의 악송구가 나오면서 1루 주자를 잡는데 그쳤고, 노시환의 희생플라이(결승타)로 실점하면서 그야말로 첫 단추를 잘못 꿰었다. 팀도 6-2로 패하면서 시즌 1승 2패를 기록중이다. ==== 4월 24일: [[삼성 라이온즈|삼성]]전 (원정) [승]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blue W }}}''' || 5.2 || 97 || 6 || 0 || 2 || 4 || 3 || 3 || 1회말 피렐라와 오재일한테 연속안타를 맞으면서 1실점, 김동엽에게 땅볼타구를 내주며 1실점 했지만 2회부터는 안정을 되찾아 5회까지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하지만 6회를 버티지 못하고 아쉽게 강판되며 최종 성적은 5.2이닝 3실점. 불안했던 앞선 두 번의 선발 등판의 모습을 어느 정도 개선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번 경기에서 승리를 챙겨가면서 시즌 성적은 2승 2패. 수비 영향을 많이 받는 유형이라 마차도의 이탈이 아쉽게 되었다. ==== 4월 30일: [[LG 트윈스|LG]]전 (원정) [승]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blue W }}}''' || 7 || 89 || 4 || 0 || 2 || 0 || 0 || 0 || 자신의 '''인생 최고의 투구'''를 2022년 4월 30일 오늘 보여주었다. '''데뷔 첫 QS+'''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7이닝동안 단 4개의 안타만을 허용하며 대부분의 타자를 땅볼로 물러나게 하였다. 또 7이닝동안 총 투구수가 90개가 안 될 정도로 짠물투구, 맞춰잡는 투구를 보여주었다. 이 과정에서 [[조세진]], [[안치홍]], [[한동희]] 등의 수비수들의 호수비 퍼레이드는 덤. === 5월 === ==== 5월 6일: [[삼성 라이온즈|삼성]]전 (홈) [패]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Red L }}}''' || 5.2 || 89 || 10 || 0 || 6 || 0 || 4 || 3 || 무려 10개의 피안타를 맞았지만 사사구를 단 한 개도 내주지 않으며 5.2이닝 3자책으로 분전했다. 하지만 수비수들의 환장할 두 개의 에러와 더불어 식물타선으로 인해 패전을 면치 못했다. ==== 5월 12일: [[NC 다이노스|NC]]전 (홈) [패]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Red L }}}''' || 6 || 90 || 7 || 2 || 4 || 1 || 4 || 4 || 이번에도 3회초 실책으로 인해 점수를 한 점 줬다. 이 점수는 자책점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4회초 분위기가 넘어가는 투런포를 [[노진혁]]에게 맞으며 경기의 흐름이 완전히 넘어갔다. 확실히 수비의 영향을 많이 받는 투수이기에 수비가 흔들리자 내리 홈런 두 방을 맞으며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저번 경기부터 피안타가 많아진 부분도 우려가 되는 부분 중 하나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6이닝을 공 90개로 끝까지 책임지며 여전히 만족할 만한 4선발 활약을 보여줬다. ==== 5월 19일: [[KIA 타이거즈|KIA]]전 (홈) [패]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Red L }}}''' || 6 || 94 || 6 || 0 || 4 || 1 || 3 || 3 || 지난 경기에 이어 이번에도 실책으로 한 점을 줬는데 자신의 실책이어서 자책점으로 기록되었다. 6이닝 3실점으로 퀄리티스타트를 기록했지만 타선이 2점밖에 얻지 못해 또 패배를 당했다. ==== 5월 25일: [[SSG 랜더스|SSG]]전 (원정) [패]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red L }}}''' || 3.2 || 85 || 9 || 1 || 2 || 2 || 6 || 6 || 3회까지 2실점으로 그럭저럭 버텼지만 4회 때 연속 안타를 맞으며 4실점을 하고 2사 1, 2루 상황에서 마운드를 내려왔다. 타선은 폰트에게 단 1점만 뽑아내는 데 그치고 패하면서 개인 4연패에 빠졌다. ==== 5월 31일: [[LG 트윈스|LG]]전 (홈) [승]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blue W }}}''' || 6 || 87 || 7 || 0 || 5 || 1 || 2 || 2 || 6이닝 2실점으로 QS를 기록하면서 5:7로 이기면서 시즌 4승을 달성했다. === 6월 === ==== 6월 12일: [[KT 위즈|KT]]전 (홈) [승]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blue W }}}''' || 6 || 102 || 3 || 0 || 4 || 2 || 0 || 0 || 6이닝을 무실점으로 막고 [[서준원]]에게 마운드를 넘겼다. 타선도 이인복을 도와서 13점을 기록하여 이인복의 승리를 지켰다. === 7월 === === 8월 === 8월7일 NC와의 경기에서 선발로 나와서 1이닝 6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최악의 피칭을 하였다.[* 다만 2회 만루 상황에서의 [[래리 서튼|감독]]의 무지성 쉬프트를 고려할 여지가 있다.] 8월 12일 [[전준우]]가 복귀하면서 1군에서 말소되었는데 허리통증이 있다고 한다. 8월 31일 퓨처스 서산 한화전에 선발등판해서 3이닝 1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 === 9월 === ==== 9월 9일: [[삼성 라이온즈|삼성]]전 (원정) [패]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red L }}}''' || 5 || 73 || 6 || 1 || 2 || 1 || 2 || 2 || 9월 9일 1군에 콜업되었다. 5회 1사 [[오선진]]에게 안타를 허용하고 다음 타석 [[김상수(타자)|김상수]]의 2점 홈런을 허용하였다. 타선이 점수를 내지 못해 그대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 9월 15일 [[키움 히어로즈|키움]]전 (홈) [ND] ==== || '''DEC'''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 '''{{{#black ND }}}''' || 4.1 || 85 || 9 || 0 || 2 || 1 || 2 || 2 || 4회까지 2실점하였으나 상대 팀의 실책으로 1점차 앞서있는 상황에서 5회 [[이정후]]와 [[김태진(1995)|김태진]]의 안타를 허용하여 [[래리 서튼]] 감독이 바로 [[김유영]]을 교체하는 바람에 승리가 날아갔다. === 10월 === 10월 5일 NC전에서 [[서준원]]의 뒤를 이어 등판하였으나 2이닝동안 3실점을 하면서 부진하였고 팀도 3:7로 패배하고 말았다. == 등판 기록 == == 총평 == 시즌초반에는 뛰어난 페이스를 보여줬으나 허리부상으로 인해 1달간 결장한 후에 페이스가 크게 떨어졌고 후반기의 부진이 아쉬운 시즌이었다. == 시즌 후 == 시즌 후 마무리 캠프를 하기 직전 팔꿈치 수술을 받았고 2023년 5~6월 복귀 예정이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9&aid=0004779583]] [각주] [[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