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광란의 아이언핑거.jpg|width=100%]] || || '''{{{+5 {{{#C0C0C0 <狂乱 のアイアンフィンガー>[br][ruby(飯塚 高史, ruby=いいづか たか し)] / Takashi Iijuka}}}}}}''' || [목차] == 프로필 == ||||
[[파일:이이즈카마지막프로필.jpg|width=100%]] || || '''링네임''' || 이이즈카 타카유키 [br] '''이이즈카 타카시([ruby(飯塚 高史, ruby=いいづか たか し)])''' || || '''본명''' || 이이즈카 타카유키[br][ruby(飯塚 孝之, ruby=いいづか たかゆき)] || || '''생년월일''' || 1966. 8. 2 ([age(1966-08-02)]세) || || '''신장''' || 181cm || || '''체중''' || 107kg || || '''출생지''' || [[일본]] [[홋카이도]] [[무로란시]] || || '''유형''' || [[스트롱 스타일]] → [[힐 스타일]] || || '''피니쉬 무브''' || '''[[슬리퍼 홀드|마성의 슬리퍼 홀드]]''' [br] 블리자드 수플렉스 [br] '''아이언 핑거 프롬 헬'''[* 손의 특유의 아이언 핑거를 장착한 다음 상대 목에 지옥찌르기를 먹이는 기술. 은퇴 이후엔 [[타이치(프로레슬러)]]에게 이어졌다.] '''[[페디그리]]'''[* [[슬리퍼 홀드|마성의 슬리퍼 홀드]]를 사용전에 미리 사용하는 기술이다.그리고 이걸로 여러가지 버전으로 사용하는데 예를들어 [[사슬|철끈]]을 묶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 || '''별명''' || 마성의 슬리퍼([ruby(魔性, ruby=ま せい)]のスリーパー) [br] 크레이지 땡중(クレイジー[ruby(坊主, ruby=ぼう ず)]) [br] '''원념동자([ruby(怨念坊主, ruby=おんねんぼう ず)])''' [br] '''광란의 아이언핑거[br]([ruby(狂乱, ruby=きょうらん)]のアイアンフィンガー)''' || || '''테마곡''' || Go Straight(1992 - 2000) [br] [[https://www.youtube.com/watch?v=pXfd8aJLfsM|Terrible Air]](2000 - 2008) [br] '''[[https://www.youtube.com/watch?v=1XB2R1Qe6Uw|Against Rules]] (2008 - 2019, 2022)''' || || '''데뷔''' || 1986년 11월 2일 [br] [[야마구치현]] 토요우라군[* 2015년부로 [[시모노세키시]]에 병합.] 토요우라마치마린피아 쿠로이선샤인비치 특설링 [br] '''[[신일본 프로레슬링|신일본]]''' ~[[안토니오 이노키]] 25주년 기념~ 투혼시리즈 17일차 [br] vs 노가미 아키라[* 이이즈카의 1년 선배, 즉 [[투혼삼총사]]와 동기인 선수로, '링 위의 날다람쥐' AKIRA라는 링네임으로 더 유명한 선수.] || || '''은퇴''' || 2019년 2월 21일 [[코라쿠엔 홀]] [br] '''[[신일본 프로레슬링|신일본]]''' NEW JAPAN ROAD ~이이즈카 타카시 은퇴기념대회~ [br] vs [[오카다 카즈치카]] & [[텐잔 히로요시]] & [[야노 토루]] [br] (w/[[스즈키 미노루]] & [[타이치(프로레슬러)|타이치]]) || || '''타이틀 기록''' || [[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 IWGP 태그팀 챔피언]] 1회 [br] GHC 태그 챔피언 1회 || == 개요 == [[일본]]의 前 [[프로레슬러]]. [[신일본 프로레슬링]] 소속이었으며 커리어 전반기를 묵묵히 [[스트롱 스타일]]을 선보이는 [[격투가]] 기믹으로 보내다 커리어 말기에 [[CHAOS]], [[스즈키군]]에서 희대의 악역 기믹으로 커리어를 마감한 레슬러. == 경력 == === 전중반기 ([[1986년]]-[[2008년]]): "마성의 슬리퍼" === [[투혼삼총사]]보다 한 해 늦게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데뷔한 이이즈카 타카유키는 일찍부터 뛰어난 격투기 실력으로 주목받았다. 이를 인정받아 [[1989년]]에는 [[조지아 주|조지아]]로 [[삼보(무술)|삼보]] 연수를 받으러 가기도 했다. 같은 해 [[초슈 리키]]와 함께 [[IWGP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함으로써 첫 타이틀을 얻었고, 1995년에 링네임을 "이이즈카 타카시"로 교체했다. [[2010년대]] 활동만 접한 팬으로서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1521728|젊은 시절에는 대단한 미남이었다.]] 젊은 시절에 단체 내에서 푸쉬를 받을뻔 하기도 했으나 여러 문제로 인해서 그냥 묵묵히 정통파 [[테크니션]]이자 단체 내 [[미드카더]]로 활동했다. 그러던 와중 [[2001년]]에 [[나가이 미츠야]]와의 경기에서 목 부상을 당하는 등 어려움에 봉착했다. === 후반기 ([[2008년]]-[[2019년]]): "광란의 아이언핑거" === [[2008년]] G.B.H에서 추방당한 [[텐잔 히로요시]]와 "우정 태그"로 태그팀 활동을 하던 도중, [[4월 27일]] 경기 중 돌연 [[http://kkjzato.egloos.com/3216199|텐잔을 배신하고 G.B.H에 가입하는 대 배신극을 벌였다.]] 이 시점을 이후로 이이즈카 타카시의 예전 모습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머리를 밀고 수염을 기른 채 나타난 이이즈카 타카시는 [[언어]] 능력도 잃어버린 [[짐승]]이 되어버렸고, 관객석을 배회하며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1609379|아나운서 노가미 슌페이]]를 공격하는 등 통제불능의 존재가 되어버렸다. 경기 내에서도 예전의 테크니션으로서의 면모는 온데간데 없이 상대의 목을 조르고, 온갖 신체 부위를 이빨로 물고, 일종의 [[건틀렛]]인 '''"아이언 핑거"'''로 상대를 공격하는 등 반칙만 일삼는 면모가 되었다. G.B.H가 [[CHAOS]]로 변모함에 따라 이이즈카 타카시 또한 그대로 잔류하였으나, [[2014년]] [[5월 25일]]에 CHAOS를 배신하고 [[스즈키군]]에 전격 가입했다. 이후 엘 데스페라도가 종종 이이즈카 타카시의 "조련사" 역할을 하는 것이 목격되었으며(...), 태그팀 경기를 중심으로 계속 무법적 행위를 일삼았다. 그러던 와중 [[2018년]] [[11월]] [[http://kkjzato.egloos.com/3228964|돌연 잊혀진줄만 알았던 시그니쳐 무브인 마성의 슬리퍼를 구사하더니]], 급기야 [[2019년]] [[1월 7일]] 기자회견에 난데없이 이이즈카 타카시의 은퇴시합이 공지되었다! 이후 옛날 함께 우정 태그를 펼쳤던 텐잔이 이이즈카의 이성을 되돌리려고 노력하나 [[타이치(프로레슬러)|타이치]]를 비롯한 [[스즈키군]]의 일원들이 이를 방해하는 것이 되풀이됐고, 팬들은 모두 과연 은퇴 시점에 이이즈카가 이성을 되찾을 것인지 흥미진진하게 지켜보았다. 결국 [[2019년]] [[2월 21일]] 은퇴시합 직전까지도 이이즈카 타카시의 이성은 돌아오지 않았다. 그리고 끝내 최후의 은퇴 경기에서 패배한 이이즈카 타카시에게 텐잔은 악수를 건네고 이이즈카는 이 악수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끝내 이성을 회복하지 못한 이이즈카는 포옹을 하려는 텐잔을 깨물고, [[체어샷]]과 아이언핑거로 공격을 퍼부은 다음, 경기장으로 올라온 [[스즈키군]]은 아랑곳하지 않고 여느 때처럼 관중석에 난입하여 난동을 부렸다. 난장판 와중에 [[스즈키 미노루]]는 최후의 10공을 쳤고[* 선수가 은퇴하거나 추모할때 존경의 의미로 링 벨을 10번 울리는 것이 일종의 관습이다.], 그렇게 링 중앙에 아이언 핑거를 둔 채 이이즈카는 모습을 감췄다. 그후 아이언 핑거는 타이치가 회수하여 계승했다. === 은퇴 이후 === 2020년 8월, 현역시절에도 여러번 게스트로 나왔었던 모모이로 클로버 Z의 예능 방송에 출연했다. 근데 아직까지 기믹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으로 50이 넘는 나이 임에도 여전히 몸 관리를 착실히 해왔다. 그리고 2022년 2월, 신일본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여 여전히 변함없는 그놈의 크레이지 땡중 기믹(...)과 몸관리 상태를 보여주며 프로레슬링 팬들을 놀라게 했다.[[https://youtu.be/DssPqsCPBYw|#]] 이후에도 타이치와 여러가지 오컬트적인 비디오를 찍었다. 그리고 2022년 12월 23일 해체를 앞둔 [[스즈키군]]의 마지막 경기가 끝나고 깜짝 등장. 스즈키군 멤버들의 마지막 자리에 함께하곤 타이치를 괴롭혔던 아이언 핑거를 회수하고 떠났다. == 외부 링크 == * [[http://kkjzato.egloos.com/3232085|프로레슬러 세계유산 -50. 이이즈카 타카시]] * [[http://kkjzato.egloos.com/3232406|게임 제작자가 본 이이즈카 타카시의 은퇴]] * [[http://kkjzato.egloos.com/3231077|Number Web 칼럼 '성실한 남자가 '크레이지 땡중'. 언제나 몸을 던진 이이즈카 타카시의 은퇴.']] == 둘러보기 == [include(틀:CHAOS)] [include(틀:스즈키군)] ||<-5>
[[파일:신일본 프로레슬링 로고.svg|width=20]] {{{#white '''역대 [[월드 태그 리그|{{{#white 월드 태그 리그}}}]] 우승자'''}}} || || {{{#000000 '''1999'''}}} || {{{#000000 →}}} || {{{#000000 '''2000'''}}} || {{{#000000 →}}} || {{{#000000 '''2001'''}}} || || [[nWo|{{{#000000 nWo JAPAN}}}]] [br] [[무토 케이지|{{{#000000 무토 케이지}}}]] & {{{#000000 스캇 노튼}}} || {{{#000000 →}}} || '''{{{#000000 G-Eggs }}} [br] {{{#000000 이이즈카 타카시}}} & [[나가타 유지|{{{#000000 나가타 유지}}}]]''' || {{{#000000 →}}} || [[텐코지|{{{#000000 텐코지}}}]] [br] {{{#000000 코지마 사토시}}} & [[텐잔 히로요시|{{{#000000 텐잔 히로요시}}}]] ||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성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2000년''' [br] 12월 14일 || [[신일본 프로레슬링]] [br] [[오사카부립 체육회관]] 대회 || [[신일본 프로레슬링|신일본]] vs [[전일본 프로레슬링|전일본]] 태그최강전[* 30분 시간초과 무승부.] [br] [[카와다 토시아키]] & [[후치 마사노부]] vs [[나가타 유지]] & '''이이즈카 타카시''' || ||<-5>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s-2.5|{{{#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기능상}}}]]'''}}} || || [[나가타 유지]] [br] (1998, 1999) || → || '''이이즈카 타카시''' [br] (2000) || → || 키쿠타 사나에 [br] (2001) || ||
<-5>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s-2.2|{{{#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연간 최고 시합상 (베스트 바웃)}}}]]'''}}}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11년 || 8월 27일 || ___ [[코바시 켄타]](O) & [[무토 케이지]]___ vs [[야노 토루]] & '''이이즈카 타카시'''(X) ||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무로란시 출신 인물]][[분류:1966년 출생]][[분류:1986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