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도|{{{#cfa547 경기}}}]] [[부천시 갑|{{{#cfa547 제11선거구}}}]][* 부천군])'''}}} || || 첫 선거 || → || '''제헌[br]이유선''' || → || 제2대[br][[박제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855 0%, #008855 20%, #008855 80%, #008855)" '''{{{#fff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fff {{{+1 이유선}}}[br]李裕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유선.jpg|width=100%]]}}} || ||<|2> '''출생''' ||[[1903년]] [[11월 14일]] || ||[[경기도]] [[부평군]] || || '''사망''' ||[[1974년]] [[7월 8일]] || || '''본관''' ||[[전주 이씨]]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이다. 1903년 [[경기도]] [[부평]]군 동소정면 구산리(현 [[인천광역시]] [[부평구]] 구산동)에서 태어났다. 인천공립보통학교, [[배재학당|배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부천군에 구산진영학원을 설립하였다. [[일제강점기]] 말기 민족잡지 발간과 강연을 이유로 투옥되기도 하였다. [[8.15 광복]]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경기도]] [[부천시|부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후보로 경기도 부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박제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제헌 국회]] 활동 == * 1948년 6월 2일 국회기초위원 15인에 뽑혔다.[* [[장기영(1903)|장기영]],[[전진한]],[[최윤동]],[[이원홍(1903)|이원홍]],[[김약수]],[[김장열]],[[정광호(1897)|정광호]],[[김봉두]],[[배헌]],[[김명동]],[[성낙서]],정구삼,[[이유선(정치인)|이유선]],[[서정희(정치인)|서정희]],[[윤치영]]. ] * 1948년 8월 19일 '정부내친일파숙청'에 대한 건을 발의 하였다.[* 제안자:[[김인식(1913)|김인식]] 동의자:[[이재형(정치인)|이재형]],[[이유선(정치인)|이유선]],[[김웅진(1906)|김웅진]],[[박기운]],[[김기철(1917)|김기철]],[[김명동]],[[서용길]],[[김용재(정치인)|김용재]],[[이종린(1883)|이종린]],임석규,[[이종근(1907)|이종근]]] == 둘러보기 ==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기도)] [[분류:부평구 출신 인물]][[분류:전주 이씨 양녕대군파]][[분류:1903년 출생]][[분류:1974년 사망]][[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대한독립촉성국민회 국회의원]][[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