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선정 영구 보존 영화, 연도=1990)]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2>
{{{#red '''{{{+2 이유없는 반항}}}'''(1955)[br]''Rebel Without a Caus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유없는 반항 포스터.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한국 포스터] [[파일:이유 없는 반항 포스터 한국판.jpg|width=100%]]}}}}}} || || '''{{{#red 장르}}}''' ||[[드라마#s-4]], [[로맨스]], 청년 소설 || || '''{{{#red 감독}}}''' ||[[니콜라스 레이]] || || '''{{{#red 각본}}}''' ||스튜어트 스턴, 니콜라스 레이 || || '''{{{#red 각색}}}''' ||어빙 슐먼 || || '''{{{#red 제작}}}''' ||데이비드 와이스바트 || || '''{{{#red 출연}}}''' ||[[제임스 딘]], [[나탈리 우드]], 살 미네오 ,,외,, || || '''{{{#red 촬영}}}''' ||어니스트 할러 || || '''{{{#red 음악}}}''' ||레너드 로젠먼 || || '''{{{#red 편집}}}''' ||윌리엄 H. 지글러 || || '''{{{#red 미술}}}''' ||말콤 C. 버트, 윌리엄 월리스 || || '''{{{#red 의상/분장}}}''' ||모스 마브리, 고든 바우 || || '''{{{#red 제작사}}}''' ||[[워너 브라더스]] || || '''{{{#red 배급사}}}''' ||[[워너 브라더스]] || || '''{{{#red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55년]] [[10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9년]] [[7월 10일]][br] || || '''{{{#red 화면비}}}''' ||^^2D^^ (2.55:1) || || '''{{{#red 상영 시간}}}''' ||111분 || || '''{{{#red 제작비}}}''' ||150만 달러 {{{-2 (약 18억 원)}}} || || '''{{{#red 박스 오피스}}}''' ||450만 달러 {{{-2 (약 54억 원)}}} || || '''{{{#red 대한민국 총 관객수}}}''' ||누적 7,000명 || ||<|2>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red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전체 관람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width=30]] {{{#000000,#dddddd 전체 관람가}}}]]'''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5px]]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PG-13 로고.svg|width=40]]]]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wXRgAXU1-T4)] [youtube(HWHH5TwEwtI)] 1955년 10월 27일에 개봉한 미국의 청춘 드라마 영화로, [[제임스 딘]]이 주연을 맡았으며, 감독은 [[니콜라스 레이]], 배급사는 [[워너 브라더스]], 러닝 타임은 111분이다. 당시 시대상과 청소년들의 심리 상태를 잘 반영했다고 평가받는다. 처음에는 흑백 영화로 기획했지만 배급사를 설득하여 컬러 영화(아니면 천연색 영화)가 되었다고 한다. 15만 달러의 제작비로 45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제작비 대비로 꽤 흥행했다. == 출연 == * [[제임스 딘]] - 짐 스타크 역 ([[장세준]][* 공교롭게도 장세준 역시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로 본인과 온 가족이 목숨을 잃었다. 자동차 사고냐 항공사고냐의 차이일 뿐. ]) * [[나탈리 우드]] - 주디 역 ([[최덕희]]) * 살 미네오 - 존 '플라토' 크로포드 역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짐 배커스 - 프랭크 스타크 역 ([[노민]]) * 앤 도란 - 캐롤 스타크 역 ([[문옥현]]) * 코리 알렌 - 버즈 건더슨 역 ([[홍승섭]]) * 윌리엄 호퍼 - 주디의 아빠 역 ([[김태연(성우)|김태연]]) * 로셀 허드슨 - 주디의 엄마 역 ([[문옥현]]) * 에드워드 플랫 - 레이 프레믹 역 ([[설영범]]) * [[데니스 호퍼]] - 군 역 * 이안 울프 - 교수 역 ([[김태연(성우)|김태연]]) * 마리에타 캔티 - 유모 역 ([[임수아]]) * 엘미라 시시온스 - 선생 역 ([[성선녀]]) * 프랭크 마졸라 - 버즈의 친구 역 ([[김일(성우)|김일]]) * 닉 아담스 - 버즈의 친구 역 ([[한호웅]])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rebel-without-a-cause, critic=89, user=7.8)]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rebel_without_a_cause, tomato=96, popcorn=88)]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48545, user=7.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rebel-without-a-cause, user=3.8)]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945, presse=4.8, spectateurs=4.0)]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299, user=7.7)]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24999, user=3.55)]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13251, user=8.0)]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295416, user=8.1)] [include(틀:평가/왓챠, code=mY5Qp8d, user=4.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30664, light=100)]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0566,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8.28)]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841, expert=없음, user=8.6)] [include(틀:평가/MRQE, code=rebel-without-a-cause-m100026011, critic=82, user=없음)] == 기타 == 한국에는 1958년 1월 18일에 서울 종로 [[단성사]]에서 처음 개봉한 다음, 1971년 3월 27일에 명동 중앙극장 및 부산 부영극장에서 개봉해 서울 관객 16만을 기록해 흥행했고 1999년에 재개봉했다. 1989년에는 [[SKC]]가 VHS 비디오 테이프로 출시했고, 2000년에는 워너 브러더스 코리아가 DVD를 출시했다. 원래 제목은 “[[명분]]([[대의]]) 없는 [[반란]]자“란 의미인데, 번역된 제목이 훨씬 이해하기 쉽고 뉘앙스가 잘 와닿는다. 주연 배우들이 참 불행한 영화로 언급된다. 제임스 딘은 개봉 전 교통사고로 [[요절|목숨을 잃어]] 전설이 되었으며 살 미네오는 이후 불우한 사생활 및 여러 논란 끝에 1976년 난데없이 피자 배달원 라이오널 레이 윌리엄스에게 칼에 찔려 37세 나이로 요절했다. 잡힌 윌리엄스는 이후 57년형을 선고받았는데, 이미 10번이나 강도질을 벌여 사람을 칼로 찔러 다치게 한 전과가 여럿 있었다. 나탈리 우드도 이후 불우한 사생활을 겪다 1981년 43세 나이로 바다에 빠져 익사한 시체로 발견되었다. 지금도 자살인지 사고인지 아님 타살인지 말이 많다. 전 남편 [[로버트 와그너]]와 여러 지인들과 같이 탄 요트 여행에서 그녀가 어찌 사라진지 누구도 몰랐다. 그나마 조연 코리 알렌(1934~2010)은 배우로서는 묻혔으나 연출자로 활동하여 [[스타트렉]] TV 시리즈라든지 여러 유명 TV 드라마를 연출했다. 프랭크 마졸라(1935~2015)도 배우로는 잊혀졌으나 영화 편집자로 일했으며 닉 아담스[* [[괴수 대전쟁]]에도 나온다.]는 배우로 활동했으나 약물 중독에 빠져 이 여파로 1968년, 37세 나이로 집안에서 침대에 누운 채로 돌연사했다. 1985년 12월 7일 [[MBC]] [[주말의 명화]]에서 더빙 방영했으며 1997년 제임스 딘 주연작 3편을 KBS [[토요명화]]에서 연속으로 더빙 방영했다. [youtube(8nWXmrP3kxk)] [[분류:1955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워너 브라더스]][[분류:퍼블릭 도메인/영화]][[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보존 영화]][[분류:전체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