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00000 20%, #000000 80%, #000000)" {{{#fff '''이우정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14대 국회의원/전국구)] ---- [include(틀:민주당(1991년) 제14대 국회 전국구)]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여성가족위원회|{{{#cfa547 여성특별위원장}}}]]'''}}} || || ''신설'' || → || '''제14대 전반기[br]이우정''' || → || 제14대 후반기[br][[문희상]] || ---- }}} || ---- ||<-2> {{{#ffffff '''{{{+1 이우정}}}[br]李愚貞 | Lee Woo-j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eople.phinf.naver.net/chosun_400020761.jpg|width=100%]]}}} || ||<|2> '''출생''' ||[[1923년]] [[8월 1일]] || ||[[경기도]] 포천군 포천면[br](現 [[포천시]]) || ||<|2> '''사망''' ||[[2002년]] [[5월 30일]] (향년 78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 '''본관''' ||[[전주 이씨]] || || '''학력''' ||신북공립보통학교 {{{-2 (전학)}}}[br][[덕수초등학교(서울)|경성여자공립보통학교]] {{{-2 (졸업)}}}[br][[경기여자고등학교|경기고등여학교]] {{{-2 (중퇴)}}}[br][[한신대학교|조선신학원]] {{{-2 (신학 / 졸업)}}}[br][[토론토 대학교]] 엠마누엘 칼리지 과정 {{{-2 (수료)}}} || || '''종교''' ||[[기독교]]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4대 국회의원|'''14''']] || || '''경력''' ||[[한신대학교|한국신학대학교]] 교수[br]한국교회여성연합회 회장[br][[서울여자대학교]] 교수[br][[한국기독교장로회]] 여신도회전국연합회 회장[br]여신학자협의회 회장[br]WCC세계선교위원회 부위원장[br][[한국여성단체연합]] 초대 회장[br][[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부회장[br][[한국여성단체연합]] 고문[br][[신민주연합당]] 수석최고위원[br][[민주당(1991년)|민주당]] 여성위원회 위원장[br]제14대 국회의원 {{{-2 (전국구 5번 / [[민주당(1991년)|민주당]])}}}[br][[여성가족위원회|국회 여성특별위원회]] 위원장[br]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수석대표[br][[통일부]] 통일자문회의 통일고문[br][[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br]제2건국범국민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br]아태민주지도자회의 이사[br]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이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신학자, [[페미니스트]], [[인권|인권운동가]], 교수 출신 [[정치인]]이었다. [[결혼]]을 하지 않고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 생애 == [[경기도]] 포천군 포천면(현 [[포천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원래 조선 제16대 왕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12대손이었으나, 11대조 [[복평군]]이 인평대군의 동생 [[용성대군]]의 후계로 입적되어 법적으로는 용성대군의 12대손이 되었다. 이우정의 집이 바로 용성대군의 종가(宗家)였기에 집안 분위기는 상당히 보수적이었다. 할아버지는 [[신소설]]의 선구자인 개화지식인 [[이해조]]로, 당시 기준으로는 진보적 의식을 지닌 인물이었지만,[* 이해조의 소설들을 보면 여성인권을 주제로 다룬 것들이 많다.] 이우정이 불과 4세 때 사망하였다. 그리고 가문의 종주가 된 아버지 이학주는 이해조와 반대로 아주 가부장적인 인물이었기에[* 이학주는 평소에 아버지의 진보적인 성향을 마땅치 않게 여겼다고 한다.] 이우정은 어머니가 상당히 고생하는 것을 지켜보며 성장하였다. 이러한 가정 환경은 이우정이 전근대적 가족 제도의 문제점과 여성인권의 개선을 인식하게 만든 배경이 되었다. 1934년에 포천에서 [[경성부]] 도렴동[*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도렴동 [[세종문화회관]] 뒷편.]으로 일가족이 이사하였고, 신북공립보통학교[* 현재 신북초등학교.]에서 [[덕수초등학교(서울)|경성여자공립보통학교]][* 현재 덕수초등학교.]로 전학하였다. 졸업 후 [[경기여자고등학교|경기고등여학교]][* 현재 경기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경기고녀를 졸업하자 아버지가 사주단지를 들고 와 결혼하라고 종용하였다. 당시 결혼하지 않은 많은 여성들이 [[일본 제국|일제]]에 의해 [[정신대]]로 끌려가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를 피해 숨어있는 동안 [[기독교]]를 처음 접하고 [[교회]]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게 된다. 이후 조선신학원(현 [[한신대학교]]),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엠마누엘 칼리지 과정을 졸업하였다. 조선신학원에서 진보 성향 목사인 [[김재준]] 목사의 영향을 받았다. 부모님을 모두 일찍 여의어서 오빠들과 상당히 힘든 시절을 보냈다. 둘째 오빠 이우경은 서울지방법원 판사로 재직하다가 [[6.25 전쟁]] 때 [[납북]]당해 광산에서 노역을 하다 사망하였고 큰오빠는 페인트 공장을 운영하였는데 역시 전쟁 때 인민군에게 압수당해 빈털터리가 되고 말았다. 1953년 [[한신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1970년까지 재직하면서 해방신학과 페미니즘을 강의하였다. 1953년 김재준 목사가 예수교장로회에서 이단으로 파문당한 뒤 세운 [[한국기독교장로회]]에서 여신도회 전국연합회 서기로 활동하였다. 교수직을 그만둔 뒤 서울지역 [[청계천]] 등 영세 공장단지 여공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작업장의 비위생과 사고 위험 요인을 목격하였고 이후 노동운동에도 뛰어들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93_4Ag4Duw)]}}} || || {{{#fff '''〈[기억록] 이하나, 이우정을 기억하여 기록하다〉'''}}} || [[박정희]] 정권 시절 [[10월 유신]]에 반대하여 1974년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1976년 [[명동성당]]에서 3.1 민주구국선언문을 직접 낭독하였다. 이것이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이다. [[전두환]] 정권 때는 [[한국방송공사]]의 편파방송에 항의하여 [[수신료]] 납부 거부 운동에 참여하였고 1987년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을 폭로하였다.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영삼]]-[[김대중]] 양김 [[단일화]]를 성사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990년 [[보안사]] 사찰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329212001&ed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32&pageNo=12&printNo=13859&publishType=00020|관련 기사.]] 1991년 신민주연합당 창당에 참여하여 수석최고위원을 맡았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91년)|민주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5번)으로 당선되었다. 같은 해 9월 1일부터 6일까지 평양에서 열린 '아시아 평화와 여성의 역할' 3차 토론회에 [[권영자]][* 당시 한국여성개발원 원장.], [[한명숙]][* 당시 [[한국여성민우회]] 대표.], 윤정옥[* 당시 민주당 의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부회장.]과 함께 한국 대표로 참석하였다. 이후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을 지냈다. == 매체에서 == * 1998년 SBS 〈[[삼김시대(드라마)|삼김시대]]〉에서는 배우 [[이미경(배우)|이미경]]이 연기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김시대 이우정.png |width=100%]]}}} || || {{{#fff '''〈삼김시대〉의 이우정[*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OVSOSyMT_yE|SBS 〈삼김시대〉 12회, 1998.04.05.]]]'''}}} ||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분류:포천시 출신 인물]][[분류:제14대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91년) 국회의원]][[분류:여성운동가]][[분류:1923년 출생]][[분류:2002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용성대군파]][[분류:토론토 대학교 출신]][[분류:경기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학자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