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3><:>{{{#ffffff {{{+1 2008년 이와테 미야기 내륙지진 岩手・宮城内陸地震}}}}}}|| ||<-3><:>[[파일:youtube_com_20161101_215156.jpg|width=100%]]|| ||<:>{{{#ffffff 긴급지진속보[br]발령지역}}}||<-2><(> [[도호쿠]][*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아오모리현]],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 ||<:>{{{#ffffff 발생일시[br]^^(JST)^^}}} ||<-2><(>2008년 6월 14일 오전 8시 43분 45.3초|| ||<:>{{{#ffffff 진앙}}}||<-2><(>39.03˚N, 140.88˚E ;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북부 지방 || ||<:>{{{#ffffff 진원의 깊이}}}||<-2><(>'''8km'''|| ||<:>[[지진#s-1.2|{{{#ffffff 규모}}}]]||<-2><(>'''M,,j,, 7.2'''[* 속보 당시 M 7.0이었으나 사후 해석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 '''M,,w,, 7.0''' || ||<:>{{{#ffffff 최대진도}}}||<-2><(><#a50022>{{{#fff '''6강'''}}}[* 계측진도 '''6.4'''][br]{{{#fff [[이와테현|{{{#fff 이와테현}}}]] 오슈시, [[미야기현|{{{#fff 미야기현}}}]] 구리하라시}}} || ||<:>{{{#ffffff 여진 횟수}}}||<-2><(>약 620회 이상|| ||<:>{{{#ffffff 해일여부}}}||<-2><(> 미발령 || ||<:><|3>{{{#ffffff 피해상황}}}||<:>사망자||17명|| ||<:>부상자||426명|| ||<:>실종자||6명|| ||<-3>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 || ||<#a50022> {{{#fff '''6+'''}}} ||<-2> 이와테, 미야기 || ||<#fe9900> 5+ ||<-2> 아키타 || ||<#fde600> 5- ||<-2> 야마가타, 후쿠시마 || ||<#fae697> 4 ||<-2> 아오모리, 이바라키, 도치기, 니가타 || ||<#0041ff> {{{#fff 3}}} ||<-2> 홋카이도, 군마, 사이타마, 치바, 도쿄, 가나가와, 야마나시 || ||<#00aaff> {{{#fff 2}}} ||<-2> 이시카와, 나가노, 시즈오카 || ||<#f2f2fe> 1 ||<-2> 아이치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l2XG-wyysn0)] 당시 뉴스속보 영상.[* '''긴급지진속보 및 해당 보도까지 완벽하게 보존된 최초의 영상'''이다. 그 이전에 내려진 긴급지진속보 영상은 보도 부분이 잘렸기에 완벽한 영상이라고 볼 수 없다. 참고로 속보 10여 초 전 뜬금없는 한글이 보이는데, 내레이션으로 미뤄볼 때 [[납북 일본인]] 관련 방송중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속보 영상 속 아나운서는 하타케야마 사토시(畠山智之) NHK 아나운서로 2011년 [[도호쿠 대지진|동일본 대지진]] 때에도 심야시간대의 지진 뉴스를 진행한바 있다. 이후 피해지 중 한 곳이었던 센다이 시의 NHK 센다이방송국에서 근무했다가 현재는 도쿄로 돌아와서 동일본대지진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테현]] [[오슈시]], [[미야기현]] [[구리하라시]]에서 진도 6강, 홋카이도, 도호쿠, 간토, 주부 지역에서 진도 1 이상을 기록했다. 진도 6강을 미야기현 북부 , 이와테현 내륙 남부에서 관측했다.또한 미야기현 구리하라시 오가와하라지 앞에서 대형규모의 산사테가 일어나기도 했다. 여담으로 이 지진이 기록한 지반 중력가속도는 현재까지 세계에서 관측된 것 중 가장 크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지진/2000년대)] [[분류:헤이세이 시대/지진]][[분류:2008년 지진]][[분류:이와테현의 사건사고]][[분류:미야기현의 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