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이와이 슌지'''}}}[br]'''[ruby(岩, ruby=いわ)][ruby(井, ruby=い)] [ruby(俊, ruby=しゅん)][ruby(二, ruby=じ)]|Shunji lwai'''}}}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4a9128b171eaab3ce8b41ab07b387dd4.jpg|width=100%]]}}} || ||<|2> '''출생''' ||[[1963년]] [[1월 24일]] ([age(1963-01-24)]세) || ||[[미야기현]] [[센다이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학력''' ||[[요코하마국립대학]] {{{-2 (미술학 / 학사)}}} || || '''데뷔''' ||[[1991년]] [[드라마]] 《본 적 없는 내 아이》 연출 || || '''수상 내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11 제15회 판타지아 영화제 베스트 퀘백 영화 은상 2011 제15회 판타지아 영화제 심사위원특별언급 1998 제3회 부산국제영화제 PSB 영화상 1996 제11회 다카사키영화제 최우수 감독상 1996 베를린 신문 독자 위원상 1995 제45회 베를린국제영화제 포럼부문 넷팩상 1993 일본 감독 연맹 신인 감독상 1995 토론토영화제 관객상 1995 제21회 오사카영화제 감독상 1995 제17회 요코하마영화제 감독상 1995 제20회 호치영화상 감독상}}} || || '''링크''' ||[[http://iwaiff.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indyeye,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iwaishunj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iwaiff/|[[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user/iwaishujiff|[[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영화 감독]] 겸 [[소설가]]. [[한국]]에서는 [[영화]] [[러브레터(일본 영화)|러브레터]]의 감독으로 유명하다. == 경력 == 원래는 TV와 뮤직 비디오 쪽에서[* [[BEING]] 쪽에서 활동 했다고 한다. 그중의 하나로 ZARD - 不思議ね가 있다. [[https://youtu.be/nIVaLs0AyXw|링크]].] 활동했으나, 1993년 TV 중편 드라마로 만든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가 주목을 받고, 1994년 영화 undo로 데뷔 하면서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 특징 == 뛰어난 영상미, 자연광의 사용, 풍부한 감수성이란 특징이 있는데, 대중의 평은 후한 편이나 의외로 90~2000년대 초반 활발히 활동하던 시기 평단에선 호불호가 갈리는 감독이기도 했다. 이후 공백 기간이 길어졌기 때문인지 지금은 잠잠해진 편. 성향으로는 [[소피아 코폴라]] 감독과 비슷한 케이스. 그의 작품은 밝은 분위기의 '화이트 이와이' 작품과 어두운 분위기의 '블랙 이와이' 작품 2가지로 분류된다. [[하나와 앨리스]], [[4월 이야기]], [[러브레터(일본 영화)|러브레터]], [[라스트 레터]]가 화이트 이와이에 속한다면,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 [[릴리 슈슈의 모든 것]], '''언두''', '''피크닉''' 등은 블랙 이와이 쪽에 속한다. [[소설]]로 집필하고 [[영화]] 연출을 담당한 [[릴리 슈슈의 모든 것]] 작품은 처절할 정도로 암울한 이야기이여서, [[러브레터(일본 영화)|러브레터]] 영화만 본 사람이라면 동일 감독의 작품이 맞는지 당황 할 정도다. 영화 연출 이외에도 제작[* [[우에노 주리]]가 출연한 [[무지개 여신]](2006)을 시작으로, 《하프 웨이》(2009), 《밴디지》(2010), [[나카야마 미호]]가 주연 배우로 출연 한 《새 구두를 사야해》(2012), 《연애 중의 도시》(2015)의 제작 및 프로듀서를 맡았다. [[일본]]의 아이돌 그룹 [[AKB48]]의 모습을 그린 《AKB48: 끝나지 않을 이야기》(2011)라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프로듀싱을 맡기도 했다. --아이돌계까지 진출하셨다.--], 음악 작업[* [[1996년]],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 개봉 당시, OST를 위한 프로젝트 밴드인 'YEN TOWN BAND'를 [[CHARA(가수)|CHARA]], 코바야시 타케시와 같이 결성하였다. 2013년에는 이와이를 중심으로, 배우 겸 피아니스트로 활동 중인 시나 고토네,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구와바라 마코토로 이루어진 3인조 유닛 '헥토 파스칼'[[https://twitter.com/Hec_and_Pascal|트위터]],[[https://www.facebook.com/hecpas|페이스북]]을 결성, 자신의 작품인 《TOWN WORKERS》와 [[하나와 앨리스#s-2|하나와 앨리스 : 살인사건]]의 음악을 담당하기도 했다.]에도 활발히 참여하는 편이다. 자신의 작품들의 블루레이 커버 디자인을 직접 하기도 했으며[[http://extmovie.maxmovie.com/xe/movietalk/978511|#]], 소설[* [[러브레터(일본 영화)|러브레터]], 《뱀파이어》 등은 자신이 쓴 소설이 원작이다.]도 썼다. 이처럼 영화 뿐 아니라 예술 전반에서 뛰어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뱀파이어》는 각본은 물론 연출과 음악, 촬영까지 죄다 이와이 슌지 혼자 해냈다.[[https://www.marieclairekorea.com/celebrity/2015/04/sunjisworld/?utm_source=naver&utm_medium=partnership|#]] 영화 음악은 특정 인물과 주로 작업 하는데, 보컬이 없는 곡이 주가 되는 영화의 경우 [[Remedios]]가 작곡, [[마키노 유이]]가 피아노 연주를 하며, 보컬이 있는 곡이 주가 된다면 [[Mr.Children]], [[My Little Lover]] 등의 프로듀서로 유명한 '코바야시 타케시'가 참여한다. == 여담 == 국내에선 이름을 이와이 순지, 슈운지 등으로 알고 있는 경우도 꽤 있는데, 1990년대 영화 잡지 등에서 그런 식으로 소개된 영향이 컸다. 당시의 완성형 한글 코드로는 '슌'자가 표기가 안 되었기 때문. 나중에 [[유니코드]]가 보급 되면서 '슌'자를 처리 할 수 있게 되자 정상적으로 '이와이 슌지'로 수정되었다.[* 俊자의 음독은 しゅん이며, 애초 [[일본]]에 しゅうん이라는 3[[모라]]로 음독하는 한자는 없다. 다만 [[일본어]]에서 [[ん]]은 독자적인 하나의 [[모라]]를 구성 하므로 듣기에 따라서 '슈(응)지' 비슷하게 들리기도 한다.] [[2012년]] [[9월 19일]], [[일본]]의 영토 분쟁 문제로 [[트위터]]에 자신의 역사관을 밝힌 바 있다. [[http://i.imgur.com/aHDIh.jpg|한글해석]]. 요약하자면 "전범 국가가 피해를 준 [[한국]]과 [[중국]]에 대해 너무 뻔뻔하게 나가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일본 [[우익]]들과 [[일본 정부]]의 [[비뚤어진 애국심]]은 되려 일본에게 해가 된다"는 내용이다. 2013년 배우 겸 싱어송라이터인 시이나 코토네, 피아니스트 쿠와바라 마코와 함께 3인 음악 유닛 '헥토파스칼(ヘクとパスカル)'을 결성하여 이따금 곡을 발표하고 있다. [[https://spaceshowermusic.com/artist/10936881/discography/|#]] 의외라면 의외로 애니메이션 겸 영화 감독 [[안노 히데아키]]와 [[친구]]다. 영화에 대해 의견을 주고 받는 사이이며, 이 친분으로 2020년 영화 [[라스트 레터]]에 안노 히데아키가 '''배우'''로 출연하게 되었다. 전문 배우가 아닌 사람을 주요 배역으로 캐스팅 하는 경우가 잦은 편이다. 전술한 [[안노 히데아키]]도 그렇고, 특히 가수 [[CHARA(가수)|Chara]]가 유명하다. 2023년,[[부산국제영화제]]에 참석차 내한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5191874|인터뷰]] == 관련 인물 == 이와이 슌지는 한 번 작업을 같이 했던 사람과 같이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페르소나]] 혹은 사단 이라고 불릴 만한 정도는 아니지만, 시기별로, 테마별로 그는 사람을 달리하여 작업 했다. 아래는 여기에 해당 하는 사람 목록. * [[시노다 노보루]] : 이와이 슌지의 오른팔이라고 불리는 촬영 감독 이었다. 2004년에 작고. * [[Remedios]] :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에서 ‘피크닉’까지의 초기 작품의 음악 담당이었다. 국내에서는 ‘러브레터’의 메인 테마 작곡가로 잘 알려져 있다. * 코바야시 타케시 :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부터 현재까지 이와이 슌지 작품의 수많은 음악을 담당 하고 있다.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의 ‘YEN TOWN BAND’, ‘[[릴리 슈슈의 모든 것]]’과 같이 작중 가상의 뮤지션을 직접 프로듀싱 하였다. 앨범 '[[呼吸]]'도 이 사람의 작품이다. 일본 대중 음악계의 거물 프로듀서로, [[Mr.Children]], [[My Little Lover]] 등을 흥행 시켜 [[코무로 테츠야]]와 함께 1990년대 음악계의 양대 TK로 불렸다. * [[마키노 유이]] : 일본의 성우이자 가수. 어릴적부터 피아노 연주가 뛰어나 ‘러브 레터’, ‘릴리 슈슈의 모든 것’의 음악에서 피아노를 맡았다. 그녀의 뮤직 비디오를 이와이가 직접 감독 하기도 했다. * [[CHARA(가수)|Chara]] : 일본의 가수. 전문 배우가 아니며 그녀의 배우 활동은 이와이의 ‘피크닉’과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가 전부 이다. 그럼에도 뛰어난 연기를 하여 제2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후술 할 마츠 타카코가 빛의 이와이의 대표적 히로인이라면, 이쪽은 어둠의 이와이의 대표적 히로인이다. ‘프라이드 드래곤 피쉬’와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의 메인 테마를 불렀으며, 특히 후자의 ‘Swallowtail Butterfly ~あいのうた~’는 1990년대의 대표적 발라드로 평가 받아 수많은 가수들이 [[리메이크]] 하여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 [[아사노 타다노부]] : 일본의 배우. ‘프라이드 드래곤 피쉬’와 ‘피크닉’과 같은 초기 작품에 출연 하였다. 위의 Chara와 부부 이였다가 이혼 하였다. * 이토 아유미 : 일본의 배우.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와 ‘릴리 슈슈의 모든 것’에 출연하였다. 특히 ‘스왈로우 버터플라이’를 통해 제20회 일본 아카데미 상에서 신인왕과 여우조연상을 차지하였다. 그 외 [[파이널 판타지 7]] 시리즈의 [[티파 록하트]] 성우로도 유명하다. * [[아오이 유우]] : 일본의 배우. ‘릴리 슈슈의 모든 것’과 ‘하나와 앨리스’, ‘뱀파이어’에 출연. 수많은 사람들이 이와이 슌지를 대표하는 배우로 여기고 있다. * [[마츠 타카코]] : 일본의 배우. ‘4월 이야기’와 ‘라스트 레터’에 출연하였다. 다른 배우가 한 시기에 집중적으로 출연 하였다면[* 아사노-Chara-이토 아유미-아오이 유우 순으로 보면 된다.], 마츠 타카코는 1990년대 후반에 출연하고 2020년대 초반에 다시 출연 한 특이한 케이스 이다. 전술한 Chara가 블랙 이와이의 대표적 히로인이라면, 마츠 타카코는 화이트 이와이의 대표적 히로인이라 볼 수 있다. == 필모그래피 == [include(틀:이와이 슌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white 연도}}}''' ||<|2> '''{{{#white 제목}}}''' ||<-4> '''{{{#white 역할}}}''' ||<|2> '''{{{#white 비고}}}''' || || '''{{{#white 연출}}}''' || '''{{{#white 각본}}}''' || '''{{{#white 편집}}}''' || '''{{{#white 음악}}}''' || || 1992 || 고스트 스프 || O || O || || || || || 1993 ||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 || O || O || || || [* 후지테레비 단막극 드라마. 2017년 8월 18일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2017)|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리메이크. 제작사는 샤프트.] || || 1993 || 프라이드 드래곤 피쉬 || O || O || || || || || 1994 || '''언두''' || O || O || || || || || 1995 || '''[[러브레터(일본 영화)|러브레터]]''' || O || O || O || || || || 1996 || '''피크닉''' || O || O || O || || [* [[베를린 영화제]] 포럼 부문 초청작.] || || 1996 ||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 || O || O || O || || || || 1998 || '''[[4월 이야기]]''' || O || O || O || || || || 2001 || '''[[릴리 슈슈의 모든 것]]''' || O || O || O || || [* 이와이가 “유작을 고르라고 한다면 이 작품으로 하고 싶다”고 말할 정도로 남다른 애정을 보였던 작품이다. [[아오이 유우]]의 영화 데뷔작. 출연 당시 불과 17살이었다. [[키네마 준보]] 선정 2000년대 일본 영화 베스트 공동 8위.[[https://toughy.hatenablog.com/entry/2020/07/09/121200|#]]] || || 2002 || 잼 필름스 || O || O || O || O || [* 이와이를 포함한 7명의 일본 감독이 만든 단편집.] || || 2002 || 6월의 승리의 노래를 잊지 않아 || O || || O || || [* [[2002 FIFA 월드컵|2002 한일 월드컵]] 당시 일본 대표팀의 모습을 그린 다큐멘터리.] || || 2004 || '''[[하나와 앨리스]]''' || O || O || O || O || [* 영화의 OST 전곡을 이와이 슌지 본인이 작곡했다.] || || 2006 || 이치카와 콘 이야기 || O || O || O || O || [* 이치카와 콘 감독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 || 2008 || 뉴욕 아이 러브 유 || O || O || || || [* 이와이 슌지를 포함한 11명의 감독이 만든 옴니버스 영화. 배우 [[나탈리 포트먼]]의 감독 데뷔작이기도 하다.] || || 2011 || [[뱀파이어#s-3.12]] || O || O || O || O || [* 7년 만의 신작으로 첫 영어 작품이기도 하다.] || || 2011 || 3·11: 이와이 슌지와 친구들 || O || || O || || [*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 여담으로 주제가가 [[RADWIMPS]]의 노래다. 7집 수록곡인 '브레스'. [[http://pan.best/uCP3ZWsd|보러가기]]] || || 2014 || TOWN WORKERS || O || O || || || [* 첫 단편 애니메이션. 일본의 아르바이트 정보 잡지 TOWN WORK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총 3부작의 옴니버스 영화이다. [[http://iwaiff.com/kr/2015/01/10/town-workers/|이곳]]에서 무료로 볼 수 있으나 한글 자막은 없는 듯.] || || 2015 || '''[[하나와 앨리스: 살인사건]]''' || O || O || O || O || [* 첫 장편 애니메이션. [[하나와 앨리스]]의 프리퀄이다. [[SICAF]] 2015의 개막작으로 선정.] || || 2016 || '''[[립반윙클의 신부]]''' || O || O || O || || || || 2017 || 장옥의 편지 || O || O || O || || [* 네슬레와 손을 잡고 찍은 브랜드 콘셉트 단편 영화로 2월 16일 공개되었다. 감독이 처음으로 한국에서 제작한 영화로 주연은 [[배두나]] [[김주혁]]. 총 4편이며 네슬레 공식 채널에서 [[https://youtu.be/Ny2rxB9Rd34|예고편]],[[https://youtu.be/i-UbBknk81c|1편]],[[https://youtu.be/TYdkN8s4ctM|2편]],[[https://youtu.be/BAWGN7ISefw|3편]],[[https://youtu.be/dquTIQRSzOE|4편]]을 볼 수 있다.] || || 2018 || 라스트 레터 || O || O || O || || [* 이와이 슌지 감독, 진가신 제작의 [[중국 영화]].] || || 2020 || '''[[라스트 레터]]''' || O || O || O || || [* 한국에서는 2021년 2월에 개봉되었다.] || || 2020 || 8일 만에 죽은 괴수의 12일 이야기 || O || O || ||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 때문에 [[배우]]들과 스태프들이 비대면으로 촬영. 역사상 최저예산으로 만들어진 괴수영화라고 한다. 당시 [[신 울트라맨]]의 작업이 한창이던 [[사이토 타쿠미]]와 [[히구치 신지]]가 본인 역으로 출연했다.] || || 2023 || '''[[키리에의 노래]]''' || || || || || || == 외부 링크 == * [[http://movie.naver.com/movie/magazine/magazine.nhn?sectionCode=SPECIAL_REPORT&nid=3075&page=1|네이버[영화] - 이와이 슌지 감독과 그의 작품들]] * [[https://youtu.be/tfs9RzRwbnk|[이동진, 김중혁의 영화당 #22] 이와이 슌지의 감성 터지는 영화들 (4월 이야기, 러브레터, 릴리슈슈의 모든 것)]] [[분류:일본 영화 감독]][[분류:일본의 드라마 제작자]][[분류:일본의 소설가]][[분류:일본 남성 작가]][[분류:일본의 작곡가]][[분류:일본의 작사가]][[분류:1963년 출생]][[분류:1992년 데뷔]][[분류:센다이시 출신 인물]][[분류:요코하마국립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