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V1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이온 시리즈)] {{{}}} [목차] || [[파일:이온 V1 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이온 V1 트랜스폼.gif]] || || 트랜스폼 || [[파일:이온 V1 광고.jpg]] > '''지금은 이온을 즐길 시간입니다, 이온 V1''' == 개요 == 2022년 4월 21일에 출시한 [[이온 X]]의 후속 카트바디. == 국가별 획득 경로 == === 한국 === || '''카트 명칭''' ||<(>이온 V1 || || '''획득 방법''' ||<(> V1 스페셜 상자|| {{{#!folding [ 이온 V1 미션 출석체크 이벤트 당시 ] 4일차부터 기간제로 얻을 수 있는데, 6일차가 되는 날에 7일차가 되기 전 까지 업그레이드 미션을 하지 않았거나, 하루라도 빠졌다면 '''절대로''' 무제한을 획득할 수 없다. 이전 엔진의 [[이온 X]]이 최초로 등장한 획득 루트가 마술 모자 골드 슬롯이었어서 다수의 마술 지팡이를 사기 위한 캐시가 상당수 필요했던 것에 비하면 이온 V1의 경우 '''무과금'''이란 점 때문에 이온 V1을 출시하길 바라던 유저들이나 돈이 없는 무과금 유저들 모두에게 비록 레어 등급으로 나온 것은 아쉽지만 이렇게 출시한 것은 매우 좋다며 긍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이다.}}} 현재는 V1 스페셜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 중국 === || '''카트 명칭''' ||<(>离子 V1 || || '''획득 방법''' ||<(> 이온 V1 미션 출석체크 이벤트|| === 대만 === || '''카트 명칭''' ||<(>雷霸 V1 || || '''획득 방법''' ||<(> 이온 V1 미션 출석체크 이벤트||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3> 1040 || || '''가속력''' ||<-3> 1099 || || '''코너링''' ||<-3> 970 || || '''부스터 시간''' ||<-3> 930 || || '''부스터 충전량''' ||<-3> 540 || ||<-4> '''속도''' || || '''직선 속도''' ||<-3> 207km/h || || '''부스터 속도''' ||<-3> 293km/h || || '''출발 부스터''' ||<-3> 297~303km/h || || '''헤어핀 감속''' ||<-3> 123~128km/h || ||<-4> '''익시드 시스템''' || || '''최고 속도''' ||<-3> 219~220km/h || || '''부스터 속도''' ||<-3> 320km/h || || '''지속 시간''' ||<-3> 1.04초 (Type S) || || '''쿨타임''' ||<-3> 613Frame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상 || || '''접지력''' ||<-3> 상 || || '''몸싸움''' ||<-3> 중 || || '''무게중심''' ||<-3> 중간 || ||<-4> '''발동 조건''' || || '''자동 변신''' ||<-3> 140km/h || || '''익시드''' ||<-3> 20% || || '''크래시 게이지''' ||<-3> 200km/h || [[파일:익시드.gif|width=50%]] 전반적으로 상당한 깡스텟, 특히 높은 가속력을 이용해 S타입 익시드의 효율을 늘리고 약간 낮은 감속을 커버하며, 그에 따라 안정성과 접지력까지 챙겨온 밸런스형 카트바디. 전작의 쓰임새를 생각해보면 [[그믐 산군 V1]]에 이은 두 번째 러너형 S타입 카트바디가 될 것으로 추측되었지만, 실제로는 감속을 희생한 대신 게이지 충전량과 주행 편의성에서 메리트를 챙겼다. ---- {{{+1 '''강점'''}}} * '''가속력을 위시한 높은 깡스텟''' V1엔진에 들어오면서 가속력이라는 컨셉으로 넘어왔으며 이에 걸맞게 익시드 타입도 S타입을 배정받았다.[* 비트 V1이 L타입, 폭스 V1이 B타입으로 출시되었기 때문에 S타입을 장착하고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는데 결국 그대로 S타입을 장착하고 나오게 되었다.] 드리프트 수치도 1040으로 경쟁력 있는 수준이다. 게이지 충전량은 540으로 [[그래피티 V1]]과 같은데, 속도 패치 이전으로 환산 시 파라곤 X의 게이지 충전량인 580 정도라 [[이온 X]]의 높은 게이지 충전량을 어느 정도는 계승하였다. 스페셜 등급을 제외하면 레어급 S타입 중 최고 수치. 줄줄이 500으로 나오던 최근 메타에서 소소한 매력 포인트로 다가온다. * '''우수한 차체 밸런스와 크기''' 안정성, 무게중심으로 인한 접지력도 모난 곳 없이 훌륭하다. 차체 또한 전작에 비하면 엄청나게 작아졌기 때문에 조금 더 적극적이고 유동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 상위권 유저들이 이온 V1을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 * '''S타입 입문에 적합한 쉬운 운용 난이도''' 밸런스가 좋고 S타입인 케이스는 [[크롬 버스트 V1]]과 [[스틸 솔리드 V1]] 정도였는데, 이온 V1 역시 초보자들에게 S타입을 입문시키기에 적합할 것을 기대된다. 차체가 안정적이고, 게이지 충전량이 좋고, 컨트롤 난이도가 어렵지 않은 삼박자를 이온 V1이 모두 충족하기 때문이다. * '''범용성 좋은 올라운더''' 초보자들은 물론 고수층 유저들이 다루게 되면 범용성 면에서도 상당히 뛰어난 평가를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익시드 한 번 사용하는 것으로 점프대 구간, 드래프트 견제 면에서 월등한 우위를 가져갈 수 있는 것은 물론, 유턴에서 상대를 공략하는 데에도 좋아 미들과 스위퍼 포지션이 모두 충족되면서 대부분의 팀 조합에서 제 역할을 해낼 수 있다. [[크롬 버스트 V1]], [[빅토리아 중형택시 V1]]과 자리 경쟁을 할 것으로 보이며 드립감에 따른 호불호가 확연하고 감속은 좋지는 않은 편이기 때문에 일부 경쟁력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으나, 그것들을 감안하더라도 사용할 이유가 충분할 정도로 무난하게 좋은 카트바디이다. 레어 V1 카트바디에선 [[파이어 마라톤 V1]], [[폭스 V1]], [[크롬 버스트 V1]] 같이 러너를 보내주고 자신이 러너 바로 뒤에서 백업을 맡아줘야 하거나 그믐 산군 V1을 탑승한 러너가 하위권에 있을 때 자신이 직접 해결해야 하는 포지션의 플레이어, 즉 스피드 에이스가 해줘야 할 역할을 잘 수행해줄 수 있는 카트바디다.[* 이온 V1을 직접 탑승해본 [[이재혁]]은 S타입 [[파이어 마라톤 V1]] 같다고 못을 박았다.] ---- {{{+1 '''약점'''}}} * '''조금 나쁜 코너 감속''' [[파이어 마라톤 V1]], [[플라즈마 V1]]과 비슷한 평균 125km/h의 감속은 상위권에서 순위 유지를 하는 데에 불이익을 안긴다. 속도 회복에 좋은 S타입 익시드와 뛰어난 안정성으로 단점을 커버하는 센스가 필요하다. * '''올라운더의 한계''' [[크롬 버스트 V1]], [[빅토리아 중형택시 V1]]과 공유하는 단점. 이온은 모든 분야에서 100점이지 않기 때문에 고점이 낮으며 특정 부분에 특화된 카트바디가 많을수록 상위권에서의 입지가 좁아지게 된다. 높은 감속은 [[그믐 산군 V1]]에게, 충돌 방어력을 위시한 스위핑 플레이는 [[스틸 솔리드 V1]], [[박스터 V1]]에게 넘겨주게 된다. 특유의 드립감과 코너 감속에 따라서 위의 둘보다 비선호되는 경향도 보일 수 있다. ---- {{{+1 '''호불호 요소'''}}} * '''특유의 둔한 드립감''' [[이온 X]]의 특유의 둔하고 묵직한 주행감이 그대로 살아있어 다른 카트바디를 타다 오면 적응이 힘들 수 있다. 차이점이라면 상술하였듯 감속이 줄어 시원시원한 느낌이 희석되었고, [[그믐 산군 V1|바깥으로 밀리던]] 전작과는 달리 적당한 방향전환 능력을 가지고 왔다. * '''전작과 달라진 카트바디의 개성''' 고감속+고탄력이었던 전작 [[이온 X]]의 특징과는 반대로 평균 125km/h라는 조금 아쉬운 감속으로 나와서 전작의 개성이 많이 희미해졌다. 그만큼 주행 안정성을 챙긴 셈인데, 실제로 아이스 아찔한 헬기 점프같은 뒤뚱거림의 취약점이 잘 드러나는 곳에서 뒤뚱거림이 많이 줄어든 것을 느낄 수 있다. 특유의 묵직한 드립감이 살아있어 탄력을 못 느끼는 것은 아니나[* 굳이 비교하자면 [[몬스터 V1]]정도와 비슷하다. 다만 통합속도로 넘어오고 최고속도가 줄어듬과 동시에 카트바디들의 전반적인 코너 감속이 하향평준화 되었기 때문에 탄력을 느끼기 어려운 환경인 점을 감안해야 한다.] 환경적인 요인 등등으로 인해 그 공백이 체감이 되는 만큼 전작의 개성을 바라고 있었던 유저들에게는 큰 호불호 요소가 될 듯하다. == 탑승 선수 == ||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 기준 || * [[DFI BLADES/카트라이더|DFI BLADES]]: * [[Liiv SANDBOX/카트라이더|Liiv SANDBOX]]: [[정승하]](RUNNER)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KWANGDONG FREECS]]: [[유영혁]](SWEEPER) * [[Lunatic(게임단)|SAVAGE]]: * [[FINALE e-sports/카트라이더|FINALE e-sports]]: * APEX: * SinkHole: * WISH: * 개인전: 리그 카트바디에 처음으로 선정된 2022-2 때는 처음에는 S타입의 익시드를 중심으로 한 준수한 성능에 힘입어 연방과 예선, 본선 경기에서 자주 보였다. 하지만 점차 같은 S타입인데 고점이 좀 더 높다고 평가받는 크롬 버스트, B타입에 안정성만큼은 여전히 막강한 폭스, L타입에 좋은 밸런스를 지닌 그래피티에게 입지를 내주며 자취를 감추었다. == 여담 == * [[비트 V1]]이 출시될 적부터 많은 이들이 예상하고 기대했던 카트바디이기에 이번에 출시되는 것을 매우 반기는 분위기이다. 물론 [[어벤저 V1/비판 및 논란|어벤저 V1 사태]] 이후에 출시된 지라 성능적으로 좋은 평은 듣기 힘들겠지만, 팬서비스라 생각하면 더할 나위 없는 매우 반가운 출시. 이로서 이전 X엔진에서 레어 등급 3총사로 불린 '이폭비' 카트바디들이 V1엔진에서도 '[[이온 X|이]][[폭스 X|폭]][[비트 X|비]]' 레어 등급 3총사가 완성되었다. 익시드 타입도 각각 [[비트 V1|L]], [[폭스 V1|B]], [[이온 V1|S]]타입으로 다르게 나온 것도 특징이다. 재미있게도 X엔진에서의 [[이온 X|이]][[폭스 X|폭]][[비트 X|비]]는 모두 마술모자라는 동일한 방식으로 출시가 되었는데, V1엔진에서의 [[이온 V1|이]][[폭스 V1|폭]][[비트 V1|비]]는 서로 다른 세 종류의 방식으로 출시가 되었다.[* 이온 V1은 문서에 적힌대로 출석 체크 미션으로 나왔고, [[폭스 V1]]은 프리미엄 카트 패스 최종 보상으로, [[비트 V1]]은 카트 컬렉터 상자에서 낮은 확률로 얻거나, 카트 컬렉터 상자에서 나오는 비트 V1 카트 20장으로 조합할 수 있다.] * 전작이자 이온의 최초 모델인 [[이온 X]]와 디자인이 매우 비슷하다.[* 본넷 부분과 운전석 디자인, 앞 밑 범퍼를 제외하면 차이가 없다시피 하다.] V1 엔진이 첫 카트바디의 디자인을 많이 참조하는 편인데, 이온은 [[이온 X|X 엔진이 시작이기도 했고]] X엔진 중에서도 디자인이 좋았다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큰 수정 없이 그대로 나오게 되었다. * X엔진 시절에는 [[이온 X]] - [[폭스 X]] - [[비트 X]] 이 순서로 출시한 반면, V1엔진은 역순인 [[비트 V1]] - [[폭스 V1]] - [[이온 V1]] 순으로 출시했다. * 과거 공회전 이펙트가 나오지 않는 오류가 존재했었다. 현재는 고쳐졌다. --아무도 안탔는지 계속 존치돼있었다-- == 관련 카트바디 == * [[이온 X]]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분류:2022년 출시된 카트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