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바른생각 소속강사)] [include(틀:위포트의 강사진)] ||<-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03169 20%, #303169)" {{{+3 {{{#FFFFFF '''이영우'''}}}[b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영우강사.jpg|width=100%]]}}} || || '''직업''' ||<(> [[강사]], 공인회계사 || || '''약력''' ||<(>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및 동대학원 석사 취득, 박사과정[br]前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 || '''소속''' ||<(> [[회계사 학원#s-5.7|바른생각]](공인회계사, 세무사)[br][[위포트|[[파일:위포트.png|width=20%&bgcolor=#fff]]]](공기업) || || '''과목''' ||<(> [[재무관리]], 재정학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직 공인회계사이자 CPA 및 공기업 재무관리, 세무사 재정학 강사이다. == 강의 특징 == === CPA 재무관리 강의 === 대체로 종합반을 듣는 수강생이나 [[김종길(강사)|경쟁학원의 1타 강사]]가 맞지 않는 수강생들이 선택한다. 위너스경영아카데미의 학풍이 그렇듯이 수업의 난이도가 높고 커버리지가 넓은 편이지만 소화만 가능하다면 충분히 합격이 가능하도록 가르친다. 강의 스타일은 식으로 설명하기보단, 그래프를 자주 활용하는 편으로, 가시적으로 이해하기 편하다. 특히 그의 유예과정 2차 재무관리강의는 박사과정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깊게 가르친다. === CTA 1차 재정학 강의 === 재무관리와 다르게 교재의 일부분에 심각한 오류가 나오기도 하는 등 평가가 좋지는 않다. 대표적으로 2020년 재정학 기출문제 모음 교재에서 2019년도 세무사 기출문제 중 자원배분 효율성을 묻는 문제가 있었는데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달성은 제1정리에 대한 설명이고 제2정리는 효율성 달성이 형평성을 해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두 정리는 명백히 다르기 때문에 해당 문제에서 틀린 지문이었는데 이영우 강사의 교재에서는 맞는 지문이라고 나왔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해설도 제1정리와 2정리가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작성되어서 혼란을 야기하였다. === 공기업 강의 === == 어록 == * 재무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식을 하나 꼽자면...[* 현금흐름의 성격과 할인율의 성격을 맞추어 주어야 할 때 언급한다.] * NPV는 왕이라고 했지?[* PBP, ARR, IRR, PI법을 설명하며] * 무슨라면? M이라면[* CAPM을 설명하며] * 세계지도 보면은 / 모든 길은 로우로 통한다 * 출제자가 내 책 보고 베꼈어[* 대충 기출문제에서 자기 책에 있던 문제와 비슷한 문제가 출제된 적이 있을 때] * 즉, * 이해 되죠? 여러분들? * 그래 안그래? * 따닥, 따아닥 [* 시장 포트폴리오의 분산-공분산 행렬을 쓰며] == 여담 == * 강의 중 정말 자화자찬을 많이 한다. * 강의 중 정치적인 이야기를 많이 하는 편이다. 성향은 좌파측으로 치우쳐진 것으로 보인다. * 전 서술에서 회계사 자격증을 강의를 시작한 후 취득한 것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며, CPA자격증을 먼저 취득 한 뒤, M&A관련 업종에 종사하다 [[서울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게 되었고, 이후 CPA학원 시장에 뛰어들어서 지금에 이르렀다고 한다.[* 2023년 대비 회계사 봄 기본 종합반에서, 강의를 먼저하다가 CPA자격증을 취득한 것은 잘못된 정보라며 학생들에게 수정해 줄 것을 부탁했다.] * [[우영우]]와 이름이 똑같아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이상한 회계사 이영우]]라는 별명이 생겼다. [[분류:인터넷 강사/위너스경영아카데미]][[분류:인터넷 강사/위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