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이영무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고양 자이크로 FC 감독)]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이영무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대한축구협회 시상식 #s-7.1|[[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145a; font-size: 0.9em" [[대한축구협회 시상식 #s-7.1|{{{#fff '''1980 KFA 최우수 선수'''}}}]]}}}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대한축구협회 시상식 #s-7.2|[[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145a; font-size: 0.9em" [[대한축구협회 시상식 #s-7.2|{{{#fff '''KFA 베스트 11'''}}}]]}}} ||<-3>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1980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대한민국의 前 축구 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layer_20130391.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000000,#e5e5e5 {{{+1 이영무}}}[br]李榮武 | Lee Yeong-Moo}}}''' || ||<|2><-2> {{{#000000,#e5e5e5 ''' 출생 ''' }}} ||[[1953년]] [[7월 26일]] ([age(1953-07-26)]세) || ||[[경기도]] [[고양군]][br](現 [[경기도]] [[고양시]])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 선수]] ([[공격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br][[목사]] || ||<-2> {{{#000000,#e5e5e5 ''' 종교 ''' }}} ||[[개신교]] || ||<|4>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포항 스틸러스|포항제철 축구단]] (1977~1978)[br][[상무 축구단|육군 충의]] (1978~1980)[br][[할렐루야 축구단|할렐루야 독수리]] (1981~1982)[br]임마누엘 축구단 (?~?) || || {{{#000000,#e5e5e5 ''' 코치 ''' }}} ||[[할렐루야 축구단|할렐루야 독수리]] (1981)[br][[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대표팀]] (1994) || || {{{#000000,#e5e5e5 ''' 감독 ''' }}} ||임마누엘 축구단 (1983~1992)[br][[이랜드 푸마]] (1992~1998)[br][[고양 자이크로 FC|할렐루야/안산 H FC/고양 Hi FC]] (1999~2014)[br][[고양 Hi FC]] (2015) || || {{{#000000,#e5e5e5 ''' 기타 ''' }}} ||[[고양 Hi FC]] (2014 / ^^기술 고문^^)[br][[고양 자이크로 FC]] (2016 / ^^이사장^^)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2>85경기 27골^^([[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1974~1981)^^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인]]이자 [[목사]]. == 축구인 경력 == === 선수 시절 === [[파일:2008122394624.jpg|width=450]] 포항제철에 입단하여 육군 충의에서 군복무를 마친 후 할렐루야로 이적하여 활약한다. 이 때 기도 세레머니로 유명했다.[* 당시에도 매우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 유명했으며, 기도 세러머니는 한국 선수 중에서 최초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육군 충의에서 군 복무를 하던 시절 전국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자 간부가 육군 장성들을 초청해 연회를 열었는데, 당시 간부가 건넨 술마저 정중히 거부했을 정도로 매우 독실했다고 한다.[[https://blog.naver.com/73ghlee/80147633925|#]]] 당연히 국가대표로도 활동했다. 당시 기준으로는 비교적 현대의 미드필더의 움직임에 가깝게 움직이며 패스하는 선수였다. 1977년 11월 11일, 원정팀의 무덤이라고도 불리는 악명 높은 이란의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열린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 최종예선 이란전에서 선제골과 동점골을 기록, 팀의 2:2 무승부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1980년 AFC 아시안컵]]에도 출장해서 대회 베스트 일레븐에 뽑혔다. === 플레이 스타일 === 이영무는 뛰어난 재능이나 좋은 체격을 가진 선수는 아니었다. 그러나 [[박지성]]도 능가하는 역대 최고의 체력을 가졌고 성실함과 노력으로 70년대 한국 축구를 대표하는 미드필더가 되었다. 일본도 그의 압도적인 체력을 경계하여 비공식적으로 그의 활동량을 조사한 결과 한 경기에 무려 20km를 찍은 기록도 있다고 한다. 스타팅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였으나 워낙 활동 반경이 넓고 공격, 수비, 중원 가리지 않고 다 가담하다 보니 그의 실제 포지션을 구분하는 것도 사실상 어려웠다고 한다. 그렇다고 기술적인 면에서 그렇게 부족한 것도 아니었다. 화려함은 없었지만 기본기가 탄탄했으며, A매치 기록에서도 볼 수 있듯이 득점력도 준수하여 국가대표 주전으로 활동한 것. 현재로 따지면 [[고승범(축구선수)|고승범]], [[정승원]] 등을 생각하면 될 것이며, 해외 선수로서는 [[아르투로 비달]]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 지도자 === 은퇴 이후 할렐루야에서 지도자 생활을 하였다. 이랜드 푸마와 한국 올림픽 대표팀 코치를 거친 뒤 1999년 [[고양 자이크로 FC]] 감독에 선임된다. 2005년 축협 기술위원장으로 선임된 후 사임한 것과 2014년 자진사퇴를 제외하고 단 한번도 고양의 감독에서 물러난 적이 없다. 구단과 함께 구설수도 있는데, '''"국가대표선수는 개신교도로만 이뤄져야 한다."'''라는 발언 및 기도로 이영무와 함께 [[고양 자이크로 FC]]도 욕먹었다. 2014 시즌 중반 이영무가 고양 구단이라는 조직을 사유화하고 종교의 자유를 침해했다는 제보가 문화체육관광부 신고센터에 접수되었고, 조사가 시작되면서 7월 27일 감독직에서 사임을 발표했지만 기술위원장으로서 여전히 구단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50216118900007|2015 시즌을 앞두고 무혐의 판정을 받으며 고양 감독직에 재선임되었다!]] --진짜 종신감독 되려나-- 기사를 보면, 구단은 "올해 목표를 클래식 승격으로 내세운 상황에서 지난해 7월 감독직에서 물러나 기술위원장을 맡아온 이영무 감독을 7개월 만에 현장에 복귀하도록 했다"고 발표했다. --이럴 거면 왜 사임했냐?-- "이 감독이 올해 고양의 챌린지 우승 및 클래식 승격의 적임자라고 생각했다"며 "지난해 구단 안팎의 소통 부재와 행정처리 미숙으로 이 감독이 심각한 명예훼손을 당하며 지휘봉을 반납했다. 이 감독의 실추된 명예를 회복하는 기회를 주기 위해 다시 지휘봉을 맡겼다"고. === [[고양 자이크로 FC]] 이사장 === 2016 시즌을 앞두고 [[이낙영]] 감독이 취임하며 일선에서 물러나 팀의 이사장으로 승진하였고, 막장 구단 운영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기존에 있던 구단 홈페이지를 폐지하면서 K리그의 23개 구단 중 유일하게 공식 홈페이지도 없는 구단이 되었고, 그나마 홈페이지 대체용으로 만든 블로그의 경우에도 기본적인 관리며 방문객 수며 모두 부실했다. 심지어는 홈 구장 내의 매점 등 편의시설도 빈약하고, 중계 카메라에 잡히는 E석으로만 관람을 제한하거나, 팀명이 자이크로로 바뀐 이후로도 구단 버스 등 여러 시설물을 제 때 교체해 주지 않고 Hi FC 시절의 로고 등의 흔적을 그대로 방치했으며, 재무이사가 국가 지원금을 세탁하여 부정집행하는데 힘을 보태준 사실까지 밝혀졌다. 이러한 막장 행정 속에서 고양은 한 시즌 동안 단 2승만을 거두는 극심한 부진 속에 리그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7시즌 고양의 리그 탈퇴 및 아마추어 전향을 선수단 및 수뇌부와 상의 없이 '''독단적으로''' 결정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천하의 개쌍놈]]~~ 한 마디로 자신이 손 쓸 수 없을만큼 구단이 망가지자 무책임하게 그냥 없애버린 것이다. == 근황 == 고양 구단을 해체한 후 이영무는 [[http://blog.naver.com/nanonly/220854214438|서산에 자신의 이름을 딴 축구교실을 차렸다]]. 뒷쪽 현수막에 자신을 고양 자이크로 프로축구단 감독, 이사장이라고 소개하고 있는 것이 또 어처구니. 2017년 3월에는 [[오사카]] 국제고등학교 U-18 축구부 창단식에 참석했다.[* 오사카 소재의 한국계 학교지만 축구부 창단식은 서울에서 열렸다.] [[미국]] 프라미스 교회와 월드 미션 프론티어 선교회의 초청으로 2017년 6월부터 8월까지 아프리카 5개국을 돌며 축구선교여행을 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http://www.hdherald.com/news/articleView.html?idxno=1848|보도자료]]에서는 '''또 할렐루야 축구단의 이름을 내세우고 있다.'''[* 고양 자이크로 시절에도 코치였던 서현철이 할렐루야 축구단의 코치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또한 축구선교에 함께 할 선수들도 모집하고 있는데, 자격을 대충 요약하면 '최소 고등학교 때까지 축구를 했고 지금 당장 뛸 팀이 없는 선수들'이다. 이후 할렐루야 축구단의 이름을 갖다 쓰면서 독립구단으로 축구 선교에 나선다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고, 2019년말에 가진 인터뷰에서는 고양 자이크로 말기의 막장 상황에 대해 “모든 게 축구 선교만 생각하느라 세심히 챙기지 못한 내 불찰이며 이런 일들을 계기로 하나님께서 팀을 이끌고 인도하시리라는 믿음을 갖고 나가려 한다.”고 회상하며 여전히 답이 없는 모습을 보여줬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05997&code=23111649|#]] 그 와중에 축구단 사무실을 빼야 할 정도의 재정난을 겪고 있었던 것에 더해 코로나 19 사태까지 터지면서 2020년부터는 자칭 '축구 선교' 활동이 눈에 띄지 않는다. 3년만에 근황이 밝혀졌다. [[2023년 대한축구협회 승부조작 축구인 사면 사건]]의 밝혀지지 않은 52인의 명단에 이영무가 포함된 것이 취재를 통해 확인된 것이다.[[http://www.sports-g.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530|#]] 해당 취재 내용에 따르면 코로나가 잠잠해진 최근 그는 다시 선교를 접목한 기존 방식 그대로 축구활동을 재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 이야깃거리 == [[파일:external/www.missionews.co.kr/l2.jpg]] * '''하나님의 국가대표'''라는 이름으로 [[책]]을 하나 출판했었으며, [[허정무]], [[이영표]], [[박주영]] 등이 추천해주었다. * 한국에서 기도 세레머니로는 거의 원조라고 한다. [[분류:1953년 출생]][[분류:고양시 출신 인물]][[분류:경희중학교 출신]][[분류:경희고등학교 출신]][[분류:경희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공격형 미드필더]][[분류:중앙 미드필더]][[분류:포항 스틸러스/은퇴, 이적]][[분류:상무 축구단/전역]][[분류:할렐루야 축구단/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1980 AFC 아시안컵 쿠웨이트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78 방콕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감독]][[분류:할렐루야 축구단/역대 감독]][[분류:이랜드 푸마/역대 감독]][[분류:고양 자이크로 FC/역대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