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농기구)] [[파일:external/www.gukjenews.com/1102.jpg]] 승용형 이앙기. [목차] == 개요 == 이앙기([[移]][[秧]][[機]])는 [[모내기]]를 할때 모판의 [[벼]]를 일정 간격으로 [[논]]바닥에 심는 농기계이다. 한자를 풀이하면 '모를 옮겨 심는 기계'. 절대 이'양'기가 아니다. 보통 보행용 이앙기는 4줄, 승용 이앙기는 6줄을 동시에 심는데, 현재는 8줄 심는 8조도 널리 이용된다. 다만 [[콤바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논]]의 형태나 지형 등의 문제로 이앙기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어쩔수 없이 손으로 심고 수확해야 한다. 이앙기를 사용하더라도 논바닥 높이의 차이로 인해 잘 안 심어지는 부분이나, 이앙기가 방향을 틀 때 생기는 구석의 빈 부분은 손으로 직접 때울 수밖에 없다. 이렇게 심은 자리의 [[벼]]는 나중에 수확할 때 손으로 직접 베어 콤바인이 인근 자리를 지나갈 때 잠시 세워서 탈곡하는 부위에 올리는 식으로 처리한다. 여담이지만 예전엔 다른 농사일을 자동으로 하는 기계는 나와도 모 심는 기계는 안 나올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묫자리에서 묘를 집어서, 지반이 연약한 논에서 기계를 지탱하면서 심는 동작을 자동으로 구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인데, 그래서 일본에서도 이앙기와 관련된 특허는 1898년부터 시작되지만[[https://www.jataff.jp/senjin/taue.htm|#]] 현재 보는 것과 같은 형태로 완성된 것은 1960년대 들어서야 이루어졌다. 이앙기의 개발과 보급은 쇼와시대 농업의 최대 기술혁신이라고 불리운다. 한국에서 이앙기는 1980, 90년대 일본 농업기계 회사인 [[쿠보타(기업)|구보다]], [[얀마]], [[이세키]] 등과의 기술제휴를 통해 국산화를 시작하였다. 다만 일본 농업기계회사들은 2000년대 전후 한국 회사들과 기술제휴를 중단함에 따라 기술이 미처 성숙하기도 전에 독자 개발을 하여야 했다. --[[미쓰비시 자동차]]와 [[현대자동차]]와의 관계를 지켜본 일본 기업들의 결단-- 그 결과 안타깝게도 특히 이앙기에서는 한일 기술격차가 매우 크다. 특히 이앙기는 모심기를 반복하는 [[손]] 역할을 하는 부분의 기계적 완성도를 따라 잡기가 매우 난감한 상황이다. 그래서 일본 이앙기의 한국 시장 점유율은 거의 50%에 육박하였고,[[http://www.newsam.co.kr/news/article_print.html?no=8737|#]][[http://www.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29|#]] 국내 농기계 제조사들도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추어 일본 이앙기 수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http://www.af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984|#]] == 종류 == 승용형과 보행형 두가지가 있다. 보행형의 경우 사람이 직접 밀어서 운행하는 [[http://geoje.amlend.kr/bbs/board_read.jsp?addr=lend_photo&no=23&menu=4&menucode=3|수동형]]과 승용형처럼 [[https://www.yanmar.com/kr/agri/products/rice_transplanter/yr6d/|엔진이 달린 형태]]로 나뉜다. 물론 승용형이 보행형보다 편리하지만 보행형보다 비싸고 더 큰 엔진으로 움직이므로 기름값이 추가되며, 보행형보다 크고 무거운만큼 다락논 등 좁은 지형에서는 운용하기 어려운 단점 등이 있다. 뻘밭에서 모를 피해가며 큼지막한 쇳덩이를 직선으로 밀고 가는 게 여간 중노동이 아니라, 지금 사용되는 이앙기는 보행형보다 승용형이 더 많기는 하다. [* 콤바인 역시 [[1970년대]]에는 보행용 콤바인이 있었으나 [[1980년대]]에 대부분 사라졌다.] 벼 외의 작물의 [[종자]], [[모종]]을 규칙적으로 심는 기계도 이앙기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보통은 '이식기'(Transplanter)라고 더 많이 부른다. [각주] [[분류:농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