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간략(코칭스태프))] ||
'''{{{#ffffff 이시이 타쿠로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br][[파일:요코하마 베이스타즈 엠블럼(1993~2011).svg |width=70]] [br]'''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1998년 일본시리즈|{{{#ffffff 1998}}}]]''' || ---- ||<-5> [[센트럴 리그|[[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97~2001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유격수 부문 베스트 나인}}}''' || || [[노무라 켄지로]][br]([[히로시마 도요 카프]]) || → || '''이시이 타쿠로'''[br]([[요코하마 베이스타즈]]) || → || 이바타 히로카즈[br]([[주니치 드래곤즈]]) || ---- ||<-5> [[센트럴 리그|[[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93~1995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3루수 부문 골든글러브}}}''' || || 토마스 오말리[br]([[한신 타이거스]]) || → || '''이시이 타쿠로'''[br]([[요코하마 베이스타즈]]) || → || [[에토 아키라]][br]([[히로시마 도요 카프]]) || ||<-5> [[센트럴 리그|[[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98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유격수 부문 골든글러브}}}''' || || [[미야모토 신야]][br]([[야쿠르트 스왈로즈]]) || → || '''이시이 타쿠로'''[br]([[요코하마 베이스타즈]]) || → || [[미야모토 신야]][br]([[야쿠르트 스왈로즈]]) || ---- || [[센트럴 리그|[[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width=45]]]][br] '''{{{#ffffff 1993, 1998~2000년 센트럴 리그 최다 도루}}}''' || ---- || [[센트럴 리그|[[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width=45]]]][br] '''{{{#ffffff 1998, 2001년 센트럴 리그 최다 안타}}}''' || ---- ||<-2> {{{#ffffff 보유 기록(NPB)}}} || || '''역대 최다 보살''' || 6162개 || || 1경기 최다 득점 || 6득점 || || 1경기 최다 희생타 || 4개 || ---- ||<-5> '''{{{#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fff 요코하마 타이요 훼일즈}}}''']] 등번호 66번}}}''' || || 니시무라 히로미[br](1987) || {{{+1 →}}} || '''{{{#fff 이시이 타쿠로[br](1989~1992)}}}''' || {{{+1 →}}} || 다나카 토시아키[br](1993~2000) || ||<-5> '''{{{#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fff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등번호 0번}}}''' || || 아오야마 미치오[br](1990~1992) || {{{+1 →}}} || '''{{{#fff 이시이 타쿠로[br](1993)}}}''' || {{{+1 →}}} || 만에이 타카시[br](1994~2006) || ||<-5> '''{{{#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fff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등번호 5번}}}''' || || 시미즈 요시유키[br](1988~1993) || {{{+1 →}}} || '''{{{#fff 이시이 타쿠로[br](1994~2008)}}}''' || {{{+1 →}}} || 노구치 토시히로[br](2009~2010) || ||<-5> '''{{{#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25번}}}''' || || 스캇 시볼[br](2008) || {{{+1 →}}} || '''{{{#fff 이시이 타쿠로[br](2009~2012)}}}''' || {{{+1 →}}} || [[타카하시 히로키(야구선수)|타카하시 히로키]][br](2013~2015) || ||<-5> '''{{{#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75번}}}''' || || 마치다 코지로[br](2011~2012) || {{{+1 →}}} || '''{{{#fff 이시이 타쿠로[br](2013~2017)}}}''' || {{{+1 →}}} || 히로세 준[br](2018~) || ||<-5> '''{{{#fff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ffffff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등번호 81번}}}''' || || 오시오 켄이치[br](2016~2017) || {{{+1 →}}} || '''{{{#fff 이시이 타쿠로[br](2018~2019)}}}''' || {{{+1 →}}} || 사토 신이치[br](2021~) || ||<-5>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89번}}}''' || || 하타 신지[br](2019) || {{{+1 →}}} || '''{{{#fff 이시이 타쿠로[br](2020~2021)}}}''' || {{{+1 →}}} || 현재결번 || ||<-5> '''{{{#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등번호 75번}}}''' || || 우에다 요시노리[br](2016~2020) || {{{+1 →}}} || '''{{{#fff 이시이 타쿠로[br](2022~)}}}'''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코치 시절.jpg|width=100%]]}}} || ||<-2> '''{{{#fff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No.75}}}''' || ||<-2> '''{{{+2 이시이 타쿠로}}} [br]石井琢朗 | Takuro Ishii''' || || '''본명''' ||이시이 타다노리[br]石井忠徳 | Tadanori Ishii || ||<|2> '''출생''' ||[[1970년]] [[8월 25일]] ([age(1970-08-25)]세) || ||[[도치기현]] [[사노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학력''' ||도치기현립 아시카가 공업 고교 || || '''신체''' ||174cm, 78kg || || '''포지션''' ||[[유격수]], [[3루수]], [[투수]][* 입단 후 3년 간은 투수로 활동했다. 타자 전향 이후 등록명을 본명이었던 이시이 타다노리에서 이시이 타쿠로로 변경했다.]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1988년 드래프트외 입단 (타이요) || || '''소속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요코하마 타이요 훼일즈-베이스타즈]] (1989~2008)'''[br]'''[[히로시마 도요 카프]] (2009~2012)''' || || '''지도자''' ||[[히로시마 도요 카프]] 1군 내야수비·주루코치 (2013~2015) [br] [[히로시마 도요 카프]] 1군 타격코치 (2016~2017) [b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1군 타격코치 (2018~2019) [br] [[요미우리 자이언츠]] 1군 야수 종합코치 (2020~2021)[br]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야수 종합코치 (2021)[br]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1군 야수 종합코치 (2022)[br]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1군 치프 타격코치 (2023)[br]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1군 치프 타격 겸 주루 겸 1루 베이스코치 (2024~) || || '''응원가''' ||[[https://youtu.be/iYbW7rp6MD8|타이요 시절]][* '''かっとばせ 見せろ男意気 それ打つぞ 勝利へ導け'''(날려버려 보여줘 사나이의 의지 자 쳐라 승리로 이끌어라)][br][[https://youtu.be/2MYNisomNcg|요코하마, 히로시마 시절]][* '''駆け抜けるスタジアム 君の勇姿 明日の星を掴めよ 石井その手で'''(앞질러가는 스타디움 너의 용감한 모습 내일의 별을 잡아라 이시이 그 손으로)[* 1993년까지 마지막의 가사는 "背番号0(등번호 제로)"였다. 94년에 등번호를 5번으로 교체하면서 가사도 변경된 것.]]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야구 코치이자 전 야구선수. 본명은 이시이 다다노리(石井忠徳)이지만 등록명인 '''이시이 타쿠로(石井琢朗)'''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일명 머신건 타선[* 40홈런 이상을 기대해볼만한 거포는 없었지만, 특유의 컨택과 중장거리 포로 무장한 강력했던 타선으로, 요코하마의 우승에 일조했다.]이라 불리던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의 전성기 시절 주전 리드오프-유격수로 '''하마의 선봉대장(ハマの切り込み隊長)'''으로 불렸다. == 커리어 == === 아마추어 시절 === 체구는 작았지만 나름 재능있는 투수였으며, 고교 2학년 때엔 고시엔에도 출전했었다. 하지만 3학년 때에는 투수로서의 자신감이 없어 프로 입단을 포기하고 [[토요대학]] 진학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당시 스카우터였던 에지리 아키라의 눈에 들면서 번외지명[* 지금은 없어진 제도로, 번외지명을 통해 드래프트 지명을 못 받은 선수가 막차로나마 프로에 입단할 수 있었다. 오늘날의 육성신인과 비슷한 느낌. 하지만 꼭 그런것은 아니고, 실력은 있으나 프로에 꿈이 없던 선수가 스카우터들의 설득으로 뒤늦게 프로에 입단하거나(이시이는 이 쪽에 해당된다.) 각 팀에서 찍어둔 유망주를 타 팀에게 뺏기지 않기 위한 설계(사실상 제도의 악용)로 쓰이는 경우도 있었다. ]으로 베이스타즈의 전신인 다이요 웨일즈에 입단했다. === 요코하마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1120778_624.v1635886866.jpg|width=100%]]}}} || 데뷔 첫 해부터 투수 유망주로 주목 받았고, 입단 동기 [[다니시게 모토노부]]와 배터리를 이루며[* 투수와 포수가 10대의 나이인 배터리로 승리투수가 된 사례는 이시이-다니시게의 1989년 이후 17년 뒤에야 [[세이부 라이온즈]]의 [[와쿠이 히데아키]]-스미타니 긴지로 배터리의 사례로 다시 나타난다.] 처음이자 마지막 선발승을 거두기도 했으나 이후로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본인은 일찍이 타자 전향을 생각하고 있었지만 감독에 의해 묵살당했었는데, 결국엔 이시이가 감독의 고집을 꺾는 데 성공하면서 1992년부로 내야수로 전향하게 되었다.[* 투수로서의 통산 성적은 3년간 28경기(5선발) 49이닝 1승 4패 ERA 5.69 23삼진 29볼넷.] 더불어 이 즈음부터 등록명을 '''이시이 타쿠로'''로 변경했다. 야수전향 첫 해부터 유격수와 3루수를 오가며 준주전급 활약을 펼쳤고, 1993년엔 주전 3루수로 각성에 성공하며 센트럴리그 도루왕과 3루수 골든 글러브를 수상하였다. 1996년부터는 유격수로 전향[* 이 해 새로 부임한 감독 [[오오야 아키히코]]의 구상에 따른 것. 당시 오오야 감독의 구상은 주전 2루수이던 [[로버트 로즈]]를 3루로, 유격수이던 신도 타츠야를 2루로, 3루수이던 이시이를 유격수로 보내며 내야진 전체의 포진을 바꾸는 것이었다. 이시이는 유격수 자리에 성공적으로 안착했지만 로즈가 3루 수비에서 크게 버벅대면서 결국 로즈가 원 포지션인 2루로 돌아가고 신도가 3루로 포지션을 이동한다.], 이후로도 올스타급 유격수로 활약했다. 우승 시즌인 1998년에는 일본 시리즈 우수 선수로 선정되었고, 요코하마 유니폼을 입고 4번의 도루왕(1993, 1998~2000)과 2번의 최다안타, 5번의 베스트 나인과 4번의 골든 글러브를 수상하였다. 2006년엔 통산 2000안타를 기록하며 [[명구회]] 회원 자격을 얻었다. 하지만 그 역시 세월을 피해가진 못했고, 조금씩 하락세를 보이다가 2008 시즌을 끝으로 요코하마에서 방출 당했다. 비슷한 시기에 방출된 요코하마의 또다른 프렌차이즈 스타 [[스즈키 타카노리]]가 은퇴를 선택한 것과는 달리 그는 현역 연장을 택하고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입단했다. === 히로시마 시절 === 히로시마에서 현역 생활을 이어가며 통산 100홈런[* 친정팀 요코하마를 상대로 기록했다. 홈런을 허용한 투수는 [[미우라 다이스케]].], 유격수로서의 최다 경기 출전[* 종전 기록은 [[요시다 요시오]]의 1731경기. ] 등을 기록하다가 2012년에 은퇴를 선언하며 프로생활을 마무리하였다. 통산 성적은 24년간 2413경기 출장, 타/출/장 .282/.356/.372 (OPS .728) 2432안타(NPB 통산 11위) 102홈런 670타점 1298득점(10위) 358도루(16위)[* 169도루사는 NPB 통산 5위]. 은퇴경기 겸 은퇴식은 친정팀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와의 원정경기 때 이루어졌는데, 이시이가 히로시마 이적 후에도 요코하마 시절의 응원가를 그대로 이어 쓴 덕분인지 양 팀의 팬들이 함께 응원가를 불러주는 장관이 펼쳐졌다.[[https://www.youtube.com/watch?v=xUtWoJwSTps]] === 코치 시절 === 2018년까지는 유능한 모습을 보이며 히로시마와 야쿠르트의 타선에 보탬이 되었지만, 2019년에는 야쿠르트 타선 침체의 원인으로 꼽히는 등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이후 요미우리의 야수 종합 코치로 새 둥지를 차렸다. 그러다가 2021시즌 막바지 급작스럽게 3군 야수코치로 내려갔는데 담당기자의 말에 따르면 [[하라 타츠노리]] 감독과 다툼이 있었고 그 영향으로 3군행이 정해졌다는 모양. 이제껏 실적이 좋았고 인망도 두터웠던 코치가 3군에 계속 있을 가능성은 없으니 정규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 구단을 떠나는 것이 기정사실화 되었고 11월 2일자로 퇴임이 결정되었다. 그리고 다음날, 친정팀인 요코하마 DeNA의 코치로 초빙된 사실이 알려졌다. 현재 [[2021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앞두고 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팀 사정상 정식 발표는 추후에 있을 예정이다. 같은 해 11월 중순, 마침내 정식으로 요코하마 코치로 취임하면서 오랜만에 친정팀으로 돌아왔다. 2022년에는 야수 종합 코치를 역임했지만 22년 [[스즈키 타카노리]] 타격 코치의 지도하에 있던 팀 타선이 저조한 득점력을 보이자 2023년부터는 치프 타격 코치를 맡게 되어 코칭을 주도하게 되었다. 히로시마 팀 타선을 만든 이시이의 실적이 어디 안 가긴 했는지 만년 백업이던 [[세키네 타이키]]가 아름다운 2달 이후 커리어 평균으로 회귀하긴 했어도 주전 외야수로 안착하고 팀 득점력도 전년도에 비해 어느정도 개선되는 결과를 보이긴 했다. 하지만 고질병이자 근본적인 문제라 할 수 있는 부족한 볼넷과 그에 따른 저조한 출루율은 여전히 고쳐지지 않고 있는 실정. == 기타 == 최후의 번외지명 출신 야구선수였다. 그의 은퇴를 끝으로 번외지명 출신 선수는 전원 은퇴했다. 일본의 걸그룹 [[CoCo]]출신 가수 세노 아즈사와 결혼했으나, 이시이의 바람으로[* 심지어 미성년자와의 불륜이었다. 이시이 본인에겐 큰 과오인 셈. 당시에는 대서특필 되었지만, 현재는 거의 묻힌 사건이 되어버렸다. ] 이혼하였다. 이후 이시이는 아나운서 아라세 시오리와 재혼했다. [youtube(yZKVZFUlTIA)] 그 외에도 [[CoCo]]와는 인연이 있는데, 아직 총각이던 1993년경, CoCo 멤버들(당시 세노 아즈사는 이미 탈퇴), [[사사키 카즈히로]], [[다니시게 모토노부]]등의 팀 동료들과 함께 Winning이라는 응원가를 녹음하기도 했다. 여담이지만 Winning은 작곡된지 30년이 다 되어가는 현재까지도 베이스타즈 응원단에게 쓰이고 있다. [youtube(2MYNisomNcg)] ||駆け抜けるスタジアム 君の勇姿 카케누케루스타지아무 키미노유우시 앞질러가는 스타디움 너의 용감한 모습 明日の星を掴めよ 石井その手で[* 1993년까지 이 부분의 가사는 "背番号0(등번호 제로)"였다. 94년에 등번호를 5번으로 교체하면서 가사도 변경된 것.] 아시타노호시오츠카메요 이시이소노테데 내일의 별을 잡아라 이시이 그 손으로 || 앞서 언급되었듯 1993년부터 사용했던 이 응원가를 이적 후인 2012년까지 사용하였다. 당시의 요코하마 응원가가 그렇듯[* 90년대의 요코하마 응원가는 그 시대 응원가 치곤 꽤 세련되고 듣기 좋기로 유명했다. ] 곡의 퀄리티나 팬들의 반응이 그럭저럭 괜찮았던 편이다. [youtube(iYbW7rp6MD8)] ||かっとばせ 見せろ男意気 카앗토바세 미세로 오토코이키 날려버려 보여줘 사나이의 의지 それ打つぞ 勝利へ導け 소레 우츠조 쇼오리에 미치비케 자 쳐라 승리로 이끌어라|| 1992년, 다이요 시절 사용했던 응원가는 가사 중 それ만 さあ로 바꿔서(둘다 뜻은 '자' 정도로 거의 비슷하다.) [[쿠라모토 토시히코]]의 응원가로 재사용되었다. 이시이의 응원가를 물려받기를 원했던 쿠라모토의 바램을 응원단이 우회적으로나마 이루게 해준 셈이다. * [[야구 관련 인물(NPB)]]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70년 출생]][[분류:사노시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은퇴, 이적]][[분류:히로시마 도요 카프/은퇴, 이적]][[분류:명구회 멤버]][[분류:야수로 전향한 투수]][[분류:1989년 데뷔]][[분류:2012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