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일본국 제25대 참의원 의원[br] {{{#white {{{+1 이시가키 노리코}}}[br]石垣のり子 | Ishigaki Norik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石垣のり子.png|width=100%]]}}} || || '''{{{#ffffff 본명}}}''' ||오가와 노리코 (小川 のり子)[* 정치 활동 중에는 ‘이시가키 노리코’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보아 결혼하면서 성씨가 ‘이시가키’에서 ‘오가와’로 바뀐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이유는 불명이다.] || ||<|2> '''{{{#ffffff 출생}}}''' ||[[1974년]] [[8월 1일]] ([age(1974-08-01)]세) ||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 || || '''{{{#ffffff 거주지}}}'''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센다이)|아오바구]][* [[https://oricoma.com/entertainer/14847/|출처]]] || || '''{{{#ffffff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일본국]] || || '''{{{#ffffff 학력}}}''' ||미야기교육대학 {{{-2 (교육학 / 학사)}}} || || '''{{{#ffffff 가족}}}''' ||장녀[* [[센다이시]]의 자택에서 장녀와 둘이 살고 있다고 한다.] || || '''{{{#ffffff 정당}}}'''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 '''{{{#ffffff 의원 선수}}}''' ||'''1''' (참) || || '''{{{#ffffff 지역구}}}''' ||[[미야기현 선거구]] || || '''{{{#ffffff 약력}}}''' ||FM 센다이 아나운서 || || '''{{{#ffffff SNS}}}''' ||[[https://www.norikorock.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norikorock2019/|[[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orinotes, 크기=20)] | [[https://m.facebook.com/NORIKOROCK2019|[[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으로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소속 참의원이다. == 생애 ==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서 태어났으며, 센다이시립 이와키리 소학교(초등학교), 센다이시립 이와키리 중학교, 미야기현 제2 여자고등학교(현 미야기현 센다이 니카 중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미야기교육대학에 진학해, 교육학부 초등학교 교원양성과정 (교육심리학 과정)에 재학 중이던 1996년, 미야기현의 쌀을 홍보하는 이른바 "미야기 라이시 레이디"에도 참여했었다. 미야기교육대학 졸업 후 1998년 4월 FM 센다이에 입사해, 아나운서로서 약 100개의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 정치 활동 === 2019년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당시, 미야기현에 출마할 예정이었던 지역 프리 아나운서인 스가와라 미와가 입후보를 포기하자, 이를 대신하여 미야기현에 야권 단일후보로 공천되었다.[* 당시 일본공산당에서 출마를 준비했던 후나야마 유미는 지역구 출마를 포기하고, 비례대표로 출마했다.] 선거 결과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의 거물급 의원인 아이치 지로(愛知 治郞) 전 재무성 부대신(차관)을 꺾는 이변을 일으키며 약 9천 표 차로 당선되었다. [[하타 유이치로]] 사망 후 "하타 유이치로 참의원 의원의 서거 소식을 듣고, 진심으로 조의를 표합니다. 새로운 입헌 민주당 참의원에서는 간사장이 된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너무나 갑작스러운 일이라 놀랍고 통석하기 그지 없습니다."고 밝혔다.[[https://mobile.twitter.com/norinotes/status/1343175472876666880|#]] == 논란 == === 아베 비난 === 2020년 8월 29일 사임을 발표한 [[아베 신조]] 총리에 대해 자신의 트위터에서 "중요한 순간에 몸을 망치는 버릇이 있는 위기 관리 능력 없는 인물"이라며 작심 비판한 것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https://news.v.daum.net/v/20200829101033969|#]] 이 망언으로 일본 정계는 발칵 뒤집혔다. 정책 평가와 건강에 대한 문제는 별개라며 이시가키 의원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에다노 유키오|소속 정당의 대표]]도 부적절한 발언이었다고 비판했다.[* [[에다노 유키오]]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간 제2차 개조내각]]의 내각관방장관으로 몸을 혹사해서, 내각관방장관에서 5개월 만에 물러난 이후 쓰러져서 [[병원]]에 실려간 적이 있다. 이시가키의 발언은 '''[[팀킬|소속 정당의 당 대표를 저격하는 발언]]'''이기도 한 셈.] 또한 네티즌들은 아픈 사람에 대해 말이 너무 심한 것이 아니냐며 비판을 하고 있으며, 선을 넘었다는 반응이 대다수다. 이후 여론이 악화되자 결국 "질병이나 위험을 떠안고 일을 하는 사람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는 점을 반성한다"고 사과했다.[[https://m.mt.co.kr/renew/view_amp.html?no=2020082910420255235|#]] === [[불륜]] 논란 === 공공연한 불륜 논란이 있다. [[https://news.line.me/articles/oa-shujoprime/5b4fbd8f279b|#]] == 외교적 성향 == === 과거 [[친러]] === 북방 영토 섬 4개중 2개만 돌려받자는 일본 정치인들이야 많지만 북방영토 섬 4개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모두 포기 하자는 일본 정치인은 이 사람이 유일무이하다. [[사할린]]에 파이프 라인을 직통으로 연결해 싼 값에 에너지를 수입해서 쓰고 있는 일본한테는 매우 좋은 국가인데 이미 전쟁 패전으로 영유권 잃은지 70년이나 지난데다 일제 패망 이후에 러시아인들이 다 정착해버렸고, 뭐하러 필요도 없는 섬들을 돌려 받자고 협상을 벌이냐는 것이 요지이다. 또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일본 [[유도]] 매니아고 [[푸틴]] 딸이 [[닌텐도]] 매니아라는 사실은 언급하면서 호의적인 반응이다. 이런 성향 때문에 러시아 언론 rt에도 출연한적 있다. 또한 LGBT 인권을 탄압하는 러시아 정부를 비난하는 영국에에 대해 "너무 러시아에 대한 묘사가 과장되었고 러시아가 완벽한 국가는 아니지만 영국 또한 내부 차별 문제가 있다."고 옹호했다. 그래서 러시아 중심의 외교의 반대적이라고 볼 수 있는 [[아베 신조]] 총리의 적극적인 [[친영]] 외교에 비판을 한적 있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러시아를 더 이상 옹호하지 않으며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를 비판하고 있다. [[https://twitter.com/norinotes/status/1510456821529874438|#]] === 친인도 === [[인도]]에 매우 우호적이다. 인구가 무려 14억이나 되는 거대 시장이고 일본 자동차,바이크를 많이 구입하고 일본 에어컨 공조기 기업 다이킨을 먹여 살린다는것. 그래서 인도의 강력한 반파키스탄 외교와 무슬림 인권 탄압을 옹호한 경우도 있다. 이에 입각해 [[일본]],[[러시아]],[[인도]]만의 삼각 경제 협정을 제안한적이 있다. === [[지한]] === 독도는 일본의 영토가 맞지만, 외교에 부담이 되니 적극적인 독도 영유권 주장은 하지 말라고 발언한 적이 있다. 또한 [[방탄소년단]]의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작은 것들을 위한 시]]'라는 노래가 좋다고 발언했다. [[한일 무역 분쟁]]에 대해서는 일본의 전쟁책임 경시 때문에 벌어졌기 때문에 전적으로 아베 정부의 책임이며 한국의 책임이 아니라는, 2010년대부터 [[혐한]]이 극심해진 일본 내에서 그나마 한국의 입장도 고려하는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다. [[https://twitter.com/norinotes/status/1165441379478077441|#]][*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이것은 이시가기 노리코 "개인"의 입장일 뿐 이러한 지한~친한 계열 정치인들은 더 이상 입헌민주당에서 주류가 아니라는 것이다.''' 가령 2023년 3월 윤석열 대통령이 방일했을때 입헌민주당 당 대표 이즈미 겐타는 [[일본 해상초계기 저공위협 비행 사건|초계기 문제]]와 [[평화의 소녀상]] 관련한 질문을 했다고 하는데, 입헌민주당은 소녀상 철거를 지지하는 입장이라고 한다.[[https://www.khan.co.kr/world/japan/article/202303172114025|#]] 즉, [[하토야마 유키오]] 시절 민주당 같은 전향적인 자세는 [[사회민주당(일본)]]이나 [[일본공산당]] 정도 아니면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 || 2019 - 2020 || 정계 입문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020 - || 합당[* [[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과 신설 합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일본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9 ||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미야기현 선거구|미야기현]]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 || '''474,692 (48.63%)''' || '''당선 (1위)''' || '''초선'''[*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 [[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 [[일본 공산당]], [[사회민주당(일본)|사회민주당]] 단일화 후보] ||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본 참의원 의원(2022년-2025년)/입헌민주당)] [include(틀: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분류:일본의 여성 정치인]][[분류:일본의 전직 아나운서]][[분류:아나운서 출신 정치인]][[분류:제25대 일본 참의원 의원]][[분류:입헌민주당(2017년) 국회의원]][[분류:입헌민주당(2020년) 국회의원]][[분류:미야기노구 출신 인물]][[분류:1974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