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 남자부 종합우승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0deg, #fff 10%, #cd313a 50%, #0047a0 50%, #fff 100%)" '''{{{#fff {{{+1 이승재}}}[br]Lee Seungjae}}}'''}}} || ||<|2> '''출생''' ||[[1982년]] [[4월 6일]] ([age(1982-04-06)]세) ||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 現 [[대구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대학교]][* 고등학교 시절 상위 20% 안에 들었고, 학교장 추천제에 의해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5/13/2009051300392.html|수시]]로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6077000/2001/006077000200102012146001.html|합격했다.]] 쇼트트랙 선수로서는 최초로 서울대학교 입학했다.] {{{-2 (체육교육과 / 학사)}}} || ||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br]{{{-1 주종목: 1000m, 1500m}}} || || '''신체''' ||170cm, 72kg[* 선수시절에는 65kg였다.] || || '''국가대표''' ||1998-99~2004-05, 2006-07, 2009-10(총 9시즌)[* 2006-07 시즌은 6차 월드컵 한정, 2009-10 시즌은 월드컵 시리즈 한정이다.] || || '''SNS''' ||[[https://instagram.com/leesjwa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남자 [[쇼트트랙]] 선수 및 現 쇼트트랙 지도자이다. 한국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쇼트트랙 선수로, 강한 지구력을 바탕으로 중장거리에서 활약했다. == 선수 경력 == === 1998-99 시즌 === 만 16살의 나이로 1999 세계선수권 개인전에 출전하기도 했을정도로 촉망을 받았던 선수였다. 월드컵에서도 어린나이임에도 불구하고 꽤 많은 출전 기회를 받았고,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도 출전했으나 메달권에는 입상하지 못했다.[* 당시 우승자는 [[아폴로 안톤 오노]]였다.] === 1999-00 시즌 === 2000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종합 4위를 기록해 개인종합 포디움에는 오르지 못했다. 월드컵 시리즈에서는 지난 시즌과 비슷한 활약상을 보였다. 세계 팀선수권에는 참가했지만 2000 세계선수권에서는 계주 멤버로만 출전했다. 데뷔는 1년 정도 늦었으나, 동갑내기이자 라이벌이었던 [[민룡]]은 이 시즌에 시니어 세계선수권과 주니어 세계선수권을 모두 석권하며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 2000-01 시즌 === 2001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3관왕을 달성하며 염원하던 종합우승을 차지했으며, 라이벌 민룡을 누르고 우승했기에 더욱 값졌다. 2001 세계선수권에서는 1500m 결승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지만 [[리자쥔]]에게 반칙을 당하며, 리자쥔은 실격, 본인은 5위로 들어왔다. 1000m에서는 준결승에서 [[리자쥔]]과 [[러스티 스미스]]에게 밀려 3위로 결승 진출은 실패했으며, 500m까지 끝나고 합산 포인트 5점을 기록해 슈퍼파이널 진출에는 실패하고 대회를 9위로 마쳤다. === 2001-02 시즌 === ==== 월드컵 시리즈 ==== 1000m 랭킹 3위, 1500m 랭킹 2위를 기록해 종합 랭킹 2위로 월드컵 시리즈 준우승을 해내며 주가를 올렸다. 당시 월드컵 시리즈 종합 우승자이자 세계랭킹 1위는 남자 대표팀의 명실상부 에이스였던 [[김동성]]이었고, 4위는 [[민룡]]이었다. 개인전에 출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었던 셋이 물오른 폼을 보였기 때문에 올림픽을 앞두고 팀의 분위기는 굉장히 좋았다. ====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 당시 올림픽 개인전 출전권은 종목당 2장(총 6장)씩이었고, 첫 3장은 당연히 [[김동성]]에게 돌아갔으니 남은 3장을 [[이승재]]와 [[민룡]]이 나눠서 경기에 출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전명규]] 감독은 이승재에게 500m 출전권을 주었고, 민룡에게는 1500m 출전권을 주었다. 그런데 남은 1000m 출전권을 차지한 것은 '''특례로 차출된 [[빅토르 안|안현수]]였다.''' 빙상연맹은 반발하며 이승재를 출전시킬 것을 요구했지만 전명규 감독은 이 둘보다 전력 노출이 덜 되었다는 억지스러운 이유를 삼아 (심지어 차순위도 아닌)안현수의 출전을 [[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17375|강행했다.]] 사실 이승재 입장에서는 민룡 이상으로 억울할 수 있던게 종합랭킹이나 1500m 세부종목 랭킹 모두 이승재가 가장 높았었고 1000m는 민룡에 이은 3위 이긴 했지만 포인트 자체로는 동률로 막상막하였다. 더군다나 울며 겨자먹기로 출전하게 되는 500m는 이승재의 주종목도 아니여서 결승 진출조차 힘들었을 정도로 취약 종목이었다. 결국 이승재는 예선전에서 실격을 당하며 조기탈락해 우려가 현실이 되었다. 1500m 출전권을 받았던 민룡은 5000m 계주 준결승에서 [[러스티 스미스]]의 반칙으로 넘어지며 선수 생명이 거의 끝날뻔한 부상을 당하고 만다. 민룡이 가지고 있던 1500m 출전권은 이승재 혹은 최소 차순위 선수에게 갔어야 마땅했으나 전명규는 그 출전권마저 안현수에게 넘겨주었다.[* 마찬가지로 3월에 열린 세계선수권 개인전 자리 또한 차순위 선수가 아닌 안현수가 차지했다.] 이렇게 이승재의 첫 올림픽(이자 마지막 올림픽)은 허무하게 끝나버렸다. ==== [[200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2 세계선수권]] ==== 올림픽과는 달리 3명이 개인전에 출전할 수 있었고 [[김동성]], 그리고 올림픽에 이어 다시 한번 특혜를 받은 [[빅토르 안|안현수]]와 함께 개인전에 출전했다. 1500m에서는 5위를 기록해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고, 500m는 준준결승에서, 1000m에서는 준결승에서 연달아 실격을 당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또 5점 획득에 그쳐 최종 9위로 슈퍼파이널 진출에 실패해 실망적인 시즌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 2002~05 시즌 === 올림픽 이후 커리어를 마무리하던 [[김동성]]과 부상을 당한 [[민룡]]이 이탈한 반면, 본인은 계속해서 대표팀 승선에 성공했다. 하지만 [[빅토르 안|안현수]]가 김동성을 잇는 에이스로 급부상하고 [[송석우]]도 포텐을 터트리며 이승재는 3인자 자리에 위치하게 되었다. 월드컵 시리즈에서는 어느 정도 준수한 활약을 이어나갔지만, 2001-02 시즌처럼 월드컵 랭킹 3위 이내를 한 적은 없고 세계선수권에서도 [[200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3 세계선수권]] 1500m를 제외한다면 계주에서만 메달을 획득했다. 2004-05 시즌에는 월드컵 대회에만 참가했다. === 2005-06 시즌 ===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1위를 기록해 무난히 대표팀에 승선할 것으로 보였으나, 최종 선발전에 탈락하여 2번째 올림픽 출전은 좌절되었다. === 2006-07 시즌 === 선발전에서 탈락했으나 같이 탈락했던 [[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이승훈]]과 함께 6차 월드컵 500m 경기와 5000m 계주 경기에 출전하였다. 이 당시 추측으로는 컨디션 난조로 인해 6차 월드컵에 불참했던 [[빅토르 안|안현수]]와 역시 6차 월드컵 출전 기록이 없는 김병준[* 2007 세계선수권에서 부상으로 불참한 이호석 대신 개인전에 참가했다.]을 대신해 경기를 한 것으로 보이나 차순위를 따른다면 [[성시백]]이 참가했어야 했는데 어찌된 건지는 의문이다. 성시백은 이후 2007 세계선수권에서 부상당한 이호석을 대신해 계주선수로 참가했다. === 2007~2009 시즌 === 이후로도 선수 생활을 계속 이어 나갔으며 국가대표 선발전에도 계속 도전했다. === 2009-10 시즌 === ==== 국가대표 선발전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 출전하기 위해 다시 한번 국가대표 선발전에 도전하여 기적적으로 5위로 턱걸이 선발에 성공했다![* 당시에는 총 8회 대표팀 선발로 역대최다였으나 이호석이 2013-14 시즌 8회 선발 달성으로 공동으로 올라섰으며, 후에 [[곽윤기]]가 9시즌 선발에 성공해 기록을 경신했다.] 허나 [[이호석]]이 [[20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9 세계선수권]] 우승으로 자동 선발이 된 상황이라 사실상 6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월드컵 및 예비 멤버로만 발탁되었다. ==== 월드컵 시리즈 ==== 당시에는 [[곽윤기]], [[성시백]], [[이호석]], [[이정수(쇼트트랙)|이정수]] 등 단거리 및 장거리를 가릴 것 없이 역대급 실력의 후배들이 맹활약하고 있을 시기였기에, 월드컵 개인전 출전은 윗순위 선수들이 부상을 당하여 500m에 1번만 출전했으며, 계주는 4차 월드컵에서만 참가했다. 혹여나 부상당했던 성시백과 이호석이 돌아오지 못했다면, 차순위로 출전할 가능성도 있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이승재의 실력은 더 이상 2000년대 초반의 정상급 실력이 아닌 주니어 레벨 정도로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우려가 있었다. 물론 그랬더라도 여전히 계주 멤버였을테고 결국엔 성시백과 이호석이 올림픽에 불참할 정도로 심각한 부상은 아니었기에 올림픽 출전도 다시 한번 좌절되었다. === 은퇴 및 그 이후 === 2010년부터 전북도청에서 플레잉 코치로 지내다가 2011년에 사실상 은퇴하여 정식 감독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후 [[2012년]] [[4월]], 2012-13 시즌 2차 선발전이 열린 [[목동아이스링크|목동 아이스링크]]에서 후배 [[성시백]]과 함께 공식 은퇴식을 가졌다. 2012년 6월 영국 국가대표팀 코치로 선임되었다. 잭 웰본, [[엘리스 크리스티]], 샬롯 길마틴 등의 선수를 지도했으며 [[2014 소치 동계올림픽]]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코치 자격으로 참가했다. == 수상 기록 == ||
'''대회''' || '''금''' || '''{{{#white 은}}}''' || '''{{{#white 동}}}''' || || 세계선수권 || 3 || {{{#white 1}}} || {{{#white 1}}} || || 세계 팀선수권 || 1 || {{{#white 2}}} || {{{#white 2}}} || || 아시안 게임 || 1 || {{{#white 1}}} || {{{#white 1}}} || || 유니버시아드 || 2 || {{{#white 0}}} || {{{#white 1}}}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3 || {{{#white 0}}} || {{{#white 1}}} || || '''합계''' || '''10''' || '''{{{#white 4}}}''' || '''{{{#white 6}}}''' || ||<-5>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white 월드컵 시리즈 수상성적}}} || || 월드컵 랭킹 || 0 || {{{#white 2}}} || {{{#white 1}}} || 3 || || 월드컵 메달 || 15 || {{{#white 17}}} || {{{#white 22}}} || 54 || || '''합계''' || '''15''' || {{{#white 19}}} || {{{#white 23}}} || 57 ||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0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2 몬트리올]]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0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3 바르샤바]]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04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4 예테보리]] || 5000m 계주 || || 은메달 || 1999 소피아 || 5000m 계주 || || 동메달 || [[200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3 바르샤바]] || 1500m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세계 팀선수권}}} || || 금메달 || 2004 상트페테르부르크 || 단체전 || || 은메달 || 2000 헤이그 || 단체전 || || 은메달 || 2003 소피아 || 단체전 || || 동메달 || 2001 나가노 || 단체전 || || 동메달 || 2002 밀워키 || 단체전 || ||<-3>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25]] {{{#white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2003 아오모리]] || 5000m 계주 || || 은메달 || [[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2003 아오모리]] || 3000m || || 동메달 || [[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2003 아오모리]] || 1500m || ||<-3> [[파일:FISU 로고.svg|width=25]] {{{#white 유니버시아드}}} || || 금메달 || 2001 자코파네 || 1500m || || 금메달 || 2001 자코파네 || 3000m || || 동메달 || 2001 자코파네 || 1000m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주니어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01 바르샤바 || 종합 || || 금메달 || 2001 바르샤바 || 1000m || || 금메달 || 2001 바르샤바 || 1500m || || 2위 || 2001 바르샤바 || 1500m S.F. || || 동메달 || 2001 바르샤바 || 2000m 계주 || === 월드컵 성적 === ||<-5>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월드컵 수상 기록}}} || ||
'''월드컵 랭킹''' || '''우승''' || '''{{{#white 2위}}}''' || '''{{{#white 3위}}}''' || '''포디움''' || || 종합 || '''0''' || {{{#white 1}}} || {{{#white 0}}} || '''1''' || || 1000 m 랭킹 || '''0''' || {{{#white 0}}} || {{{#white 1}}} || '''1''' || || 1500 m 랭킹 || '''0''' || {{{#white 1}}} || {{{#white 0}}} || '''1''' || || '''합계''' || '''0''' || {{{#white 2}}} || {{{#white 1}}} || '''3''' || ||<-5> || || '''월드컵 메달''' || '''금''' || '''{{{#white 은}}}''' || '''{{{#white 동}}}''' || '''포디움''' || || '''개인전 합계''' || '''8''' || {{{#white 14}}} || {{{#white 18}}} || '''40''' || || 계주 || 7 || {{{#white 3}}} || {{{#white 4}}} || 14 || || '''메달합계''' || '''15''' || {{{#white 17}}} || {{{#white 22}}} || '''54''' || ||<-5> || || '''랭킹 + 메달 합계''' || '''15''' || {{{#white 19}}} || {{{#white 23}}} || '''57''' ||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82년 출생]][[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2001 자코파네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