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승엽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1번}}}''' || || 백승훈[br](2002~2003) || {{{+1 →}}} || '''{{{#000 이승엽[br](2006)}}}''' || {{{+1 →}}} || [[강동우]][br](2007)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24번}}}''' || || [[강동우]][br](2006) || {{{+1 →}}} || '''{{{#000 이승엽[br](2007)}}}''' || {{{+1 →}}} ||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br](2008) || }}} || ||<-2> [[파일:external/file.osen.co.kr/201111250402773870_1.jpg|width=100%]] || ||<-2> '''{{{+2 이승엽}}}[br]李承燁 | Lee Seungyeop''' || ||<|2> '''출생''' ||[[1982년]] [[11월 28일]] ([age(1982-11-28)]세) || ||[[부산직할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대저초 - 동성중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 - [[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s-3.2|2002년 2차 6라운드]] (전체 49번, [[두산 베어스|두산]])[* 대학 진학으로 인해 실제 입단은 2006년에 했다.] || ||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06~2007) [br] [[고양 원더스]] (2011~201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야구선수. == 선수 경력 == [[부산고등학교|부산고]] 재학 시절 [[추신수]], [[정근우]], [[김백만]]와 함께 1999-2000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2년 연속 우승에 기여했다. 투-타를 겸업했으나 [[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 때 본격적으로 타자에 매진했다. 맞추는 능력이 뛰어나고 주루 플레이에 능해 외야 유망주로 분류됐다. [[이승엽]]과 [[동명이인]]으로 주목을 받았지만, 1군에서 남긴 성적은 11타수 무안타 1타점. 2006년 광주 기아전에서 1군 데뷔를 하였다. 이후 잠실 홈경기에서 삼성과 맞대결하게 되었는데, 두산 홈 관중들이 삼성과의 경기에서 이승엽 홈런을 연호하는 광경도 나타났다. 당시 삼성의 이승엽은 일본 진출로 한국에 없었기에 동명이인의 맞대결은 없었으나, 이승엽의 부재로 허전하던 삼성팬들도 이승엽을 연호하기도 했다. 2006년 시즌 후 미야자키 교육리그에 참여하였는데 요미우리전에 1루수로 출장하여, 일본 언론에서는 두산에도 이승엽이 있다며 제법 흥미를 보였다. 2007년 두산에서 방출된 후 군복무를 거쳤으며 독립야구단 [[고양 원더스]]에 합류했다. 부상이 있었는지 전지훈련에서는 제외되었다가 다시 팀에 포함되었으나 이내 다시 제외되었다. 부상으로 2014년 야구선수 생활을 마감하였다. [[파일:86168062.1.jpg]] 은퇴 이후 고향인 부산에서 평범한 생활을 하다가 야구 아카데미 감독으로 활동하였다. [[https://www.donga.com/news/Sports/article/all/20170905/86168066/1|‘프로 무안타’ 이승엽 “승엽 선배 덕에 분 넘치는 기회”]] [[최강야구]] 2023 시즌에 육성선수로 합류한 비선수출신 선성권이 해당 야구아카데미에서 코칭을 받았다고 한다. [[https://youtu.be/xiVOTT04Ww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1분 50초~] 2022년 삼성 라이온즈 출신의 레전드 이승엽이 82년생 이승엽의 전 소속 구단인 두산 베어스 감독으로 취임하면서 팬들 사이에서 재조명되었다. === 여담 === [[삼성 라이온즈]]의 [[이승엽]]과 이름의 한자(李承燁)까지 동일하다. 2006년 당시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0039070|짝퉁 인생에 대한 넋두리를 소개한 기사가 있다]]. 대학 때 나간 소개팅에서 "이승엽"이라 소개하자, "네가 이승엽이면, 난 [[김희선]]이다"란 대답이 돌아왔다. 결국 주민등록증을 '깐' 후 이승엽으로 인정받았는 것이 압권. 1982년생이고 부산고 출신인지라 추신수, 정근우 그리고 경남고 이대호와도 어느 정도 친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82년 출생]][[분류:2006년 데뷔]][[분류:2014년 은퇴]][[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고양 원더스 은퇴/이적]][[분류:외야수]][[분류:우투좌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