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肅 (? ~ 192년) [목차] [clearfix] == 개요 == [[후한]] 말의 인물로 [[여포]]와 동향인 병주 오원군 출신. == [[삼국지(정사)|정사]] == 192년 4월에 기도위로 있으면서 [[왕윤]], [[사손서]], 여포와 공모해 동탁을 주살했는데, 10여 명을 거느리고 궁궐을 지키는 병사의 복장을 입고 위장해 액문을 지켰으며, 동탁이 도착하자 그를 막았다. [[자치통감]]에서 이숙이 먼저 동탁을 칼로 베었으나 동탁이 관복 안에 갑옷을 입고 있어서 죽일 수 없었다고 한다. 팔만 베었는데 동탁이 '''여포'''를 불렀지만 결과는 당연히 여포에게 최후를 맞았다. 동탁 사후 난을 일으킨 [[우보]]를 공격하기 위해 섬현을 공격했지만 패하면서 홍농으로 달아났으나 패전의 죄로 여포에게 주살되었다. == [[삼국지연의|연의]] == 그의 역할이 대폭 확대되었는데, [[동탁]]의 부하로 등장해 [[정원(삼국지)|정원]]과 싸운 동탁이 [[여포]]에게 고전하자 여포의 [[적토마]]를 양보해 배반하게 하는 책략을 진언한다. 스스로 여포를 설득해 정원을 토벌하게 했으며, 반동탁 연합군이 쳐들어오자 [[화웅]]과 함께 사수관에서 방어전을 치뤘다. 그러나 적장 여포를 끌어들인 큰 공을 세우고도 이후 취급은 별로 좋지 않았다. 사실 이는 동탁 휘하의 장수들이라면 어쩔 수 없이 겪는 상황이었다. [[조조]]나 [[유비]]처럼 지속적으로 챙겨주는 게 아니라 그날그날 기분에 따라 대우가 바뀌었으니 말이다. 이는 그나마 대우받은 [[이유(삼국지)|이유]]나 여포도 덜해서 그렇지 그리 큰 차이는 없었다. 결국 여포의 추천으로 [[왕윤]]의 동탁 암살 계획에 참가하여 동탁을 궁중으로 유인하는 역을 담당했다. 자신이 여포를 배신하게 했는데 바로 그 여포에게 배신을 권유받은 것이다. 굉장히 묘하다. 또한 동탁을 유인할 때 임기응변의 진수를 보여준다. 먼저 동탁에게 헌제가 황제 제위를 물려준다고 하고, 이에 왕윤도 찬성했다면서 동탁을 꾀어낸다. 동탁은 크게 기뻐하며 일단은 천자의 칙사로 온 이숙에게 집금오의 자리를 약속하지만 이미 여포를 배반시킨 공을 세웠음에도 천대받았던 이숙이었고, 이미 제위선양 자체가 동탁을 죽일 계획의 시작이었기 때문에 회유할 수는 없었다. * 동탁이 미오성에서 출발할 때, "군사가 많으면 제위를 늦게 받으니까 조금만 데리고 가시지요."라고 해서 경비병의 숫자를 줄여 쉽게 암살하게 했다. * 가는 도중에 수레바퀴가 부서지고, 이에 말을 타고 가다가 말고삐가 끊어졌지만 이는 "헌 것을 버리고 새 것을 타실 것이니 놀라실 것 없습니다."라고 포장. * 가는 길이 멀어서 야영을 했는데 번개가 치고 보라빛 안개가 일자 "보라빛은 고귀한 색이니 이는 승상의 고귀함을 드러내는 것입니다."라고 포장. * 장안에 거의 다 온 부근에서 다시 야영을 했을 때, 어린아이들이 노래를 부르자 "유씨가 망하고 동씨가 일어난다는 의미입니다."라고 '''정반대의 해석'''을 해서 속였다. 김홍신 평역판 기준으로 노래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천리초(千里艸) 푸르고 푸르지만 열흘이 되면(十日卜) 살지 못한다." 각 한자를 합치면 '''동탁(董卓)'''으로, "동탁이 살지 못한다"는 의미가 된다. * 장안의 황성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한 도인이 베로 만든 깃발 두 개에 입 구(口)를 하나씩 써서 들고 다녔는데, 단순히 미친놈인 것 같다며 쫓아냈다. 입구 자 두 개와 베(布, 베 포)를 합치면 '''여포(呂布)'''가 된다. 다른 창작물에서는 이 '여포'라는 의미를 동탁에게 옳게 해석해서 전달하기는 하나 "여포 장군의 도움으로 천자의 자리에 오른다는 의미입니다."라고 속이기도 한다. 결국 이런 교묘한 거짓말에 동탁이 속아넘어가 입궐하자 병사들이 애워싸고, 가장 가까이에 있던 이숙은 칼을 빼어들고 역적을 처단하겠다며 동탁을 벤다.[* 이숙 자신이 설득한 여포가 이것과 비슷하게 정원을 죽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정말 아이러니하다.] 하지만 동탁은 무용이 뛰어나고 옷 속에 갑옷을 입고 있었기 때문에 부상만 입고 도망가게 되나, 결국은 여포에 의해 최후를 맞이한다. 동탁 사후에 장안을 지키고, [[이각]] 등 동탁의 옛 신하와 싸운다. 처음에는 우보를 상대로 승리하나, 이후 야습을 받아 대패해 격노한 여포에 의해 참수된다. 단 한 번의 패배로 [[고향]] 친구이자 자신을 두 번이나 출세길로 이끌어준 이숙을 죽인 여포의 [[의리]] 없음 혹은 성격 장애가 특히 강조되는 부분.[* [[여포]]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여포는 자기에게 잘해준 일이나 자기가 남에게 피해를 준 일은 당연시 하거나 잊어버리고 자기가(간접적으로) 남에게 잘해준 일이나 남이 자기에게 피해를 준 일은 과장해서 기억하는 이상한 성정이 있다. 그런 이유로 이숙이 자신에게 정권을 넘겨준 공은(악한 동탁에게서 자신에게 정권이 넘어오는 건 당연한 것이니) 당연시 여기고 이숙이 패배해서 자기 병력을 깎아먹은 건 실책이니 처형했다고 하면 여포의 행동 일관성에 맞는다.] 연의에서 이숙은 여포를 설득하여 여포가 정원을 배신하고 동탁에게 붙게 하는데 정작 나중에는 자신이 여포에게 설득당하여 동탁을 배신하고 왕윤에게 붙었다가 마지막에는 서로 배신을 권유하고 권유당한 사이였던 여포에게 죽임당하는 아이러니한 캐릭터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Li_Su_(ROTK11).png]] ||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52.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연환지계 관련 이벤트에서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능력치로는 문관인데도 불구하고 문관 쪽 능력치조차 낮다. 심지어 삼국지 12에서는 오히려 지력이 61, 정치력이 45인 반면에 통솔력은 46, 무력은 69다. 정말 눈물나는 능력치. 솔직히 재평가될 만한 일을 한 적이 없는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재평가를 받아야 할 정도의 낮은 능력치다. 최소한 문관과 무관 구분은 해 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 그러나 애초에 무관이라도 능력이 떨어졌을 것이다. 사망한 이유부터가 [[우보]]를 토벌할 때 토벌에 실패해서 여포에게 처형당한 것이니 별 활약도 없는 패장인 이상 후한 능력치를 받지 못할 것은 분명한 노릇.[* 심지어 우보는 통솔이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이다. 즉, 이숙보다 낮다. 오히려 승패를 따지면 이숙의 저 통솔도 높은 것이다. 물론 우보의 통솔을 60정도로 높이고 이숙도 50으로 높이는 방안도 있겠지만 우보 항목에 가봐도 알겠지만 이쪽도 군사적 능력이 영 형편없는 인물인지라 말이다.] 또 동탁을 죽일 때도 어설프게 공격해서[* 속에 갑옷을 입고 있었다고 하지만 맡이다.] 죽이지 못한 탓도 있는 것 같다. 여포를 배반하게 만들고 동탁을 변설로 속인 부분에서 지력이, 용맹이 뛰어난 동탁을 벤[* ~~죽이진 못했지만~~] 부분에서 무력이 높게 평가되고, 폭군 동탁의 신하로 있다가 개인적인 이유로 배신을 했기 때문에 정치력과 매력이, 우보에게 패한 것 때문에 통솔력이 각각 낮아져 문관도 무관도 아닌 이런 이상한 능력치가 되어버린 듯 하다. 하지만 어차피 이숙이 통솔을 더 받아봤자 50대 후반이 고작일테고 정치는 어거지로 더 받아봤자 60대 초반이 끝이다. 근데 이 능력치로는 어차피 최하위 무관직이나 문관직도 못 받는다... 무력, 지력이 높은 형태가 애매한 건 맞지만 그게 아니더라도 이숙이 쓰일 일은 없었을 거라는 것. 동탁을 꾀어낼 때에 임기응변을 잘 했던 것으로 묘사되어 변설 특기를 받을 수도 있었겠지만, 변설은 고사하고 특기조차 하나도 없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5]]에서 시나리오 2에서 장안천도 이벤트를 보고 192년 연환계 이벤트의 발생조건으로 왕윤, 여포, 이숙이 필요하다. 물론 동탁으로 플레이 시에는 연환계 이벤트는 보지 않는게 좋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7/무력 68/지력 61/정치력 17. 돌파와 혼란을 가지고 있다. 무장과 책사 양면으로 활약할 수 있긴 한데 두 쪽다 참 한심하다. 특히 모략계 병법 숙련도는 0.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8/무력 61/지력 64/정치력 30/매력 26에 특기는 상업, 반목, 간첩 3개. 여포를 끌어들인 걸 반영한 듯한 능력치와 특기인데, 그래봤자 능력치가 구린 이상 별 쓸모는 없다. [[삼국지 11]]까지 무관복으로 등장하다가 [[삼국지 12]]부터 갑자기 문관복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찌질한 얼굴을 한 채 두 손을 모으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6/69/61/45. 특기는 설파 1, 교섭 1. 전수특기는 설파로 전법은 창공약화. 전작에 비해 정치력이 상향되었는데 문관임에도 불구하고 무력이 높은 것이 이상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7, 무력 67, 지력 60, 정치 30, 매력 28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2 상승한 대신 무력이 2, 지력이 1, 정치력이 15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나약, PK에서는 교사 개성이 추가되었으며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2, 진형은 봉시, 안행, 전법은 연노, 도발, 친애무장은 [[여포]], 혐오무장은 없다. [[삼국지 영걸전]]에서는 사수관 전투에서 레벨2 궁병으로 나오는 것이 유일한 등장이며, 능력치가 무력 54/지력 68/통솔력 50으로 평범하다. 꼴에 그래도 [[화웅]]과 대화라도 한다. [[삼국지 조조전]]에서는 도사계열로 등장하며, 무력이 34, 통솔력이 38대로 대폭 감소된 반면 지력은 82로 상승했다. 영걸전과 마찬가지로 사수관 전투에서 등장하며, 연의의 내용과는 다르게 퇴각시킬 경우 연합군이 이렇게 강한지 몰랐다는 말을 남기고 사망한다. [[삼국지 조조전 온라인]]에서도 마찬가지로 도사계열로 등장한다. 의외로 고유외형까지 받았다. 연의 [[동탁전]]에서 등장하는데, 동탁의 목욕물 셔틀로 나온다.[* 동탁이 뭐만 하면 이숙에게 목욕물을 데우라고 한다. 심지어 [[팽형]] 준비조차 이숙에게 시킬 정도. 이숙이 배신한 것도 여포가 설득한 것도 있지만 목욕물 셔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로 나온다. 동탁에게 남긴 마지막 말조차 팔팔 끓는 기름에 목욕 시켜주면 목욕에 목자도 못 꺼낼 거라는 말이다.] 효과는 책략피해반사 10% - 방해계 책략 강화 10% - 간접피해감소 10% - 책략모방으로 사실상 아무도 안 쓰는 캐릭터. 동탁전의 책모 셔틀말고는 쓸데도 없으며 책모조차도 둔갑천서나 기문둔갑으로 해결한다. [[파일:전략이숙.png]]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에서는 이숙이 여포의 진영에 찾아왔을 때 바로 정원이 암살된다. [[파일:이숙.png]] 웹툰 [[삼국지톡]]에서 당연히 동탁군 소속으로 나온다. 다만 여포를 설득해서 정원을 배신하게 만드는 장면과 여포에게 동탁을 배신할 것을 권유받는 장면과 심지어 동탁 사후 이각, 곽사 등에게 패배한 뒤 여포에게 죽임당하는 장면도 생략되어 굉장히 밋밋한 캐릭터가 되었다. [[화봉요원]]에서는 [[명장]] 이숙이라고 불릴 정도로 뛰어난 장수로 나온다. 동탁이 살해당한 후 동탁의 복수를 위해 장안으로 진군하는 우보의 군대 장병들이 이숙을 명장이라고 하며 이숙이 지용을 겸비해서 상대하기 쉽지 않다고 한다. 그러나 결국 가후의 계략으로 패배하여 여포에게 목이 잘려서 효수된다. [[창천항로]]에서는 동탁을 주살하기 위해 조서를 읽는 사자로 등장했으나, 분노한 동탁에 의해 칼로 몸이 두 동강나 죽는 단역으로 등장한다.[* 애니메이션 판에서는 이름이 언급되지 않았으나, 원작 만화에서는 사손서에 의해 언급되었다. 즉 동탁을 주살하기 위해 조서를 읽은 자는 이숙이 확실한 듯하다.] 애니메이션 [[최강무장전 삼국연의]]에서는 정원 군 소속이었던 여포를 동탁군으로 끌어들이는 것은 삼국연의와 비슷하나, 이숙이 왕윤의 집을 수색하고 "동탁이 나의 친구였던 장온을 죽였소."라며 배반하는 부분이 나온다. 아마 이숙의 배신에 조금 더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였는 듯. 실제로 연의에서도 동탁이 장온을 죽일 때 이숙이 동요하는 판본이 있긴 하지만 친구라는 기술은 없다. 또 여기엔 이숙이 젊고 잘 생기게 나왔다. 또한 삼국연의에서 왕윤이 쓴 연환계를 이숙이 제안한 것으로 나오고, 선양을 핑계로 나온 동탁을 가로막는 것으로 등장 끝. 뭐 그래봐야 잉여라는 점은 별반 차이는 없다. [[와이파이 삼국지]]에서의 성우는 [[이자영]]. 성우에서 보다시피 [[TS]] 되었다. [[동탁]]이 [[여포]]를 회유할 때 첫 등장했으며 이때 자칭한 별명은 "아는 누님 이숙", [[동탁]]의 편에 서서 여포를 회유한 뒤 아무런 보상이 없자 [[왕윤]]의 편에 붙어 결탁한다. [[여포]]의 동탁 참살 이후, [[삼보의 난]]이 일어난 시점에서, 장안을 지키기 위해 싸우다가 크게 패배해 끝내 여포에게 숙청되었다.[* 와이파이 삼국지 한정으로 여포의 성격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각주] [[분류:후한의 인물]][[분류:한나라/무관]][[분류:19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