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이세범의 수상 내역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 || '''[[2005-06 KBL 챔피언결정전|{{{#ffcc33 2006}}}]]''' || '''[[2007-08 KBL 챔피언결정전|{{{#ffffff 2008}}}]]''' || ---- ||<-5> '''{{{#FFFF00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FFFF00 대구 동양 오리온스}}}]] 등번호 4번}}}''' || || 팀 창단 || → || '''{{{#FF0000 이세범[br](1997~1998)}}}''' || → || [[문혁주]][br](2002~2005) || ||<-5> '''{{{#FFFF00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FFFF00 대구 동양 오리온스}}}]] 등번호 3번}}}''' || || 팀 창단 || → || '''{{{#FF0000 이세범[br](1998~2000)}}}''' || → || [[김승현(농구)|김승현]][br](2001~2007) || ||<-5> '''{{{#fed300 [[전주 KCC 이지스|'''{{{#fed300 대전 현대 걸리버스}}}''']] 등번호 6번}}}''' || || 김현주[br](1997~1999) || → || '''{{{#028935 이세범[br](2000~2001)}}}''' || → || [[김태진(농구)|김태진]][br](2001~2002) || ||<-5> '''{{{#ffffff [[서울 SK 나이츠|'''{{{#ffffff 서울 SK 나이츠}}}''']] 등번호 5번}}}''' || || [[윤호영(1970)|윤호영]][br](1999~2001) || → || '''{{{#FFEB2A 이세범[br](2001~2005)}}}''' || → || [[정락영]][br](2005~2007) || ||<-5>
'''{{{#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 등번호 3번}}}''' || || [[이병윤(농구)|이병윤]][br](2004~2005) || → || '''{{{#074ca1 이세범[br](2005~2006)}}}''' || → || [[박영민(농구)|박영민]][br](2006~2011) || ||<-5> '''{{{#ffffff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동부 프로미}}}]] 등번호 3번}}}''' || || [[김상영(농구)|김상영]][br](2005~2006) || → || '''{{{#ffffff 이세범[br](2006~2009)}}}''' || → || [[김진호(농구)|김진호]][br](2009~2010)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20066 0%, #020066)" {{{+1 {{{#ffffff '''용산고등학교 농구부 코치'''}}}}}}}}} || ||<-3> {{{#020066 '''YONGSAN HIGH SCHOOL BASKITBALL TEAM'''}}}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827 이세범.jpg|width=100%]]}}} || ||<-3> '''{{{+2 {{{#020066 이세범}}}}}}[br]{{{#020066 李世凡}}}''' || ||<-2> {{{#ffffff ''' 출생 ''' }}} ||[[1974년]] [[8월 20일]] ([age(1974-08-20)]세) || ||<-2> {{{#ffffff ''' 국적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2> {{{#ffffff ''' 신체 ''' }}} ||[[키(신체)|키]] 180cm|[[체중]] 70kg || ||<-2> {{{#ffffff ''' 직업 ''' }}} ||농구선수([[포인트 가드]] / ^^은퇴^^)[br][[코치(스포츠)|농구 코치]] || ||<-2> {{{#ffffff ''' 학력 ''' }}} ||[[서울대방초등학교]] {{{-2 (졸업)}}}[br]용산중학교 {{{-2 (졸업)}}} [br][[용산고등학교]] {{{-2 (졸업)}}}[br] [[중앙대학교]] {{{-2 (졸업)}}} || ||<-2> {{{#ffffff ''' 프로 입단 ''' }}} ||1997년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대구 동양 오리온스]] 입단 || ||<-2> {{{#ffffff ''' 현역시절 등번호 ''' }}} ||4, 3, 6, 5 || ||<|2> {{{#ffffff,#e5e5e5 ''' 소속 ''' }}} || {{{#ffffff,#020066 ''' 선수 '''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대구 동양 오리온스]] (1997~2000) [br] [[전주 KCC 이지스|대전 현대 걸리버스]] (2000~2001) [br] [[서울 SK 나이츠]] (2001~2005) [br] [[서울 삼성 썬더스]] (2005~2006) [br][[원주 DB 프로미|원주 동부 프로미]] (2006~2009) || || {{{#ffffff,#e5e5e5 '''코치''' }}} ||[[원주 DB 프로미|원주 동부 프로미]] (2009~2017) [br] [[용산고등학교]] (2017~) || [목차] [clearfix] == 소개 == 한국의 전 농구선수이자, 현 농구 지도자. == 선수 시절 == === 고교-대학 시절 === [[김병철(농구)|김병철]]과 함께 용산고의 앞선을 책임지며 용산고를 90년대초 고교 3강으로 이끈 가드로, 김병철이 졸업한 뒤 첫 대회였던 1992년 춘계연맹전에서 안정적인 게임 운영으로 [[서장훈]]-[[현주엽]]의 장신군단 휘문고와 [[박성배(농구)|박성배]]의 경복고를 연파하며 우승, 본인은 MVP를 차지한다. 중앙대 진학 후엔 같은 포지션의 쟁쟁한 [[김승기(농구)|선]][[임재현(농구)|후]][[홍사붕|배]][[김희선(농구)|들]]의 존재와 본인의 득점력 부재로 인해 4년내내 주로 벤치만 지켰고, 주가가 많이 하락한 상태로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대구 동양 오리온스]]에 자유계약으로 스카웃된다. === 프로 시절 === [[파일:서울 SK 시절의 이세범 2003-04시즌.jpg]] 하지만 의외로 프로에 오면서 백업 가드로 쏠쏠한 활약을 하며 2009년까지 총 5팀을 거치며 무려 12시즌 연속 선수생활을 했다. 대구동양 시절엔 기회를 거의 얻지 못했고 00-01 시즌을 앞두고 달랑 2500만원에 현금트레이드 되기도 하지만, 서울 SK 시절부터는 안정적인 경기운영 능력을 가진 백업가드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팀에서 꽤나 쏠쏠한 역할을 해주었고 03-04 시즌엔 [[황성인]]에 이은 NO.2 포인트 가드으로 총 47게임을 뛰기도 했다. [[파일:썬더스 이세범.jpg]] 05-06 시즌 서동용(188cm,F)와 1:1 트레이드로 서울 삼성에 합류한 이세범은 '2쿼터의 사나이'[* 당시 KBL은 2쿼터 한정으로 외국인 선수를 1명만 기용할 수 있었는데, [[서장훈]]의 존재감이 컸던 삼성은 2쿼터에 외국인 빅맨을 빼고 이세범을 기용해 스피드를 보완하고, 서장훈에게 엔트리 패스를 찔러줘 쏠쏠한 재미를 봤다.]라는 애칭을 얻으며 준주전급 1번으로 활약, [[서울 삼성 썬더스|서울 삼성]]의 챔피언결정전 업셋에 깨알같은 공을 세운다. 서울 삼성에서의 한 시즌 맹활약을 바탕으로 이세범은 [[2006년]] FA 시장에서 [[포인트 가드]]를 원하는 팀들의 영입대상이 되었고, 두 배로 뛰어오른 연봉(6천만원 → 1억 2천만원)에 [[원주 DB 프로미|원주 동부 프로미]] 유니폼을 입게 된다. 06-07 시즌 전반기까지 원주 동부의 주전 [[포인트 가드]]를 맡았으나 [[김주성(농구)|김주성]]의 아시안게임 출전 공백과 ~~[[양경민(1972)||양토토]]~~의 출장정지 파문까지 겹치며 팀이 하위권으로 추락하는 걸 막지 못했다. 시즌 후반기에 [[표명일]]이 트레이드로 합류하면서 이세범은 다시 백업가드로 돌아갔고 팀은 2게임차 8위로 아쉽게 플레이오프에 나가지 못한다. 다음시즌인 07-08 시즌엔 [[표명일]]의 백업요원으로 활약하며 [[원주 DB 프로미|원주 동부]]가 정규리그 1위 및 통산 세 번째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차지하는 데 일조하지만, 정작 이세범 본인은 [[서울 삼성 썬더스|서울 삼성]]과의 챔프전 결정전을 앞두고 '''급성 맹장염'''에 걸려 병원에서 팀의 우승을 지켜봐야 했다. 이후 08-09시즌에도 팀을 플옵 4강까지 이끈 뒤 은퇴했다. == 지도자 생활 == [[파일:external/www.jumpball.co.kr:43473/news_20160623205613_DP.jpg]] 은퇴 직후 [[2009년]]부터 16-17 시즌까지 [[원주 DB 프로미|원주 동부]]의 코치를 맡아 ~~[[강동희]]~~-[[이충희]]-[[김영만(농구)|김영만]] 감독 순으로 보좌했으며 김영만 감독이 계약 연장을 하지 않고 물러나자 코치직을 사임했다. [[2017년]] [[6월]]부터 모교인 [[용산고등학교]]에서 고교 지도자로서의 첫발을 내디뎠다. [[https://www.jumpball.co.kr:43473/article/view.php?no=33475|관련 기사]]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선수단]] * [[부산 KCC 이지스/선수단]] * [[서울 SK 나이츠/선수단]] * [[서울 삼성 썬더스/선수단]] * [[원주 DB 프로미/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1974년 출생]][[분류:1997년 데뷔]][[분류:2009년 은퇴]][[분류:포인트 가드]][[분류: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은퇴, 이적]][[분류:전주 KCC 이지스/은퇴, 이적]][[분류:서울 SK 나이츠/은퇴, 이적]][[분류:서울 삼성 썬더스/은퇴, 이적]][[분류:원주 DB 프로미/은퇴, 이적]][[분류:서울대방초등학교 출신]][[분류:용산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