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이성형.jpg]] * 李成炯 * [[1959년]] ~ [[2012년]]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특히, [[라틴아메리카]] 정치 및 지역연구의 한국 최고 권위자 중 한 사람이었다. == 생애 == 1959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부산시]] 출생. [[부산상업고등학교]], [[부산대학교]] [[회계학과]]를 졸업하였으나, 3학년 재학 중 겪은 [[부마항쟁]]을 계기로 정치학으로 방향을 틀어 학자의 길을 걸었다. [[1990년]]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특히 박사과정 재학 당시에는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국가론 연구자로 활동하였는데, 각종 사회과학 무크지에 기고활동을 벌이며, [[사회구성체 논쟁]]에 있어서도 80년대 한국을 신식민지 상황으로 본 PD계열의 주류 시각과 달리 1930년대 ~ 70년대에 걸친 [[라틴아메리카]] 권위주의 정권과 한국의 현 상황을 비교하며 한국은 과도기적 상황에 있음을 지적하며 이를 비판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학문적 편력을 배경으로 그의 박사논문 역시 라틴아메리카의 사회구성체 논쟁을 주제로 출간되었다. [[냉전]] 붕괴 후 라틴아메리카의 [[신자유주의]] 도입 및 그 영향을 연구하기 시작한 그는 [[서울대학교/대학원#s-2.4|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현재의 국제대학원] 설립에 관여하는 한편, 다양한 라틴아메리카 정치 연구서를 출간하는 등, 국내에서 대체불가한 지역 전문가로 자리잡는다. 그러나 초창기부터 관여한 국제지역원 교수 임용에서 탈락하고,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연구교수로 임용되었으나 역시 재임용은 거절하는 등의 비운을 겪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성형 교수가 작고한 후, [[한겨레신문]] 등 여러 언론에서 해당 임용 거부 사례를 비판하였다. [[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32723.html|링크]] 다행히 [[2009년]]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임용되었으나, [[2012년]] 지병으로 별세하였다. == 주요 저서 == 라틴아메리카 자본주의 논쟁사([[까치(동음이의어)#s-3|까치글방]], 1990년) IMF시대의 멕시코(서울대학교출판부, 1998년)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와 사상([[까치(동음이의어)#s-3|까치글방]], 1999년) 신자유주의의 빛과 그림자(라틴아메리카의 정치와 경제)(한길사, 1999년) 배를 타고 아바나를 떠날 때([[창비|창작과비평사]], 2001년) 라틴 아메리카 영원한 위기의 정치경제(역사비평, 2002년) 콜럼버스가 서쪽으로 간 까닭은([[까치(동음이의어)#s-3|까치글방]], 2003년) 라틴아메리카의 문화적 민족주의 : 벽화 국민음악 축구를 통해 본 정체성 정치(길, 2009년) 대홍수 : 라틴아메리카 신자유주의 20년의 경험(그린비, 2009년) 브라질: 역사 정치 문화([[까치(동음이의어)#s-3|까치글방]], 2010년) [[분류:1959년 출생]][[분류:2012년 사망]][[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사회과학 교수]][[분류:경주 이씨]][[분류:대한민국의 정치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