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2>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br] '''{{{+1 이성진}}}[br]李星珍 | Lee Sung J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성진 교수.jpg|width=100%]]}}} || || '''출생''' ||[[1934년]] [[6월 6일]] || || '''사망''' ||[[2024년]] [[2월 17일]] (향년 89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마산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2 (교육학 / 학사)}}}[br][[서울대학교]] {{{-2 (교육심리학 / 석사)}}}[br][[조지피바디대학교]] {{{-2 (심리학 / 석사)}}}[br][[캔자스 대학교]] {{{-2 (교육심리학 / 박사)}}} || || '''경력'''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br]캔자스주립뇌병원 임상심리전문가[br]한국교육심리연구회장[br]한국행동과학연구소장[br]한국카운슬러협회 회장[br]한국행동분석학회장[br]한국교육학회 사무국장[br]UNESCO 교육연구자 훈련 세미나 의장 || || '''가족''' ||배우자 주정희, 슬하 2남 이상문·이상욱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수. == 생애 == 그는 서울대 교육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조지피바디대 대학원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캔자스대에서 교육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5년~1970년에 캔자스주립뇌병원에서 임상심리교수를 지낸 뒤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특히 1970년대에 당시 생소했던 행동분석학을 우리나라에 최초로 도입하여 그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였다. 즉 행동분석이론과 그 기법을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토착화시킴으로써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온 힘을 기울였다. 그의 저서인 <교육심리학서설>은 교육심리학의 정체성을 확고히 다지는 데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는 관련 학계의 평을 받고 있다. 이후 1999년 교수직에서 퇴임했으며 2007년 학술원 회원이 됐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학계 발전을 위한 연구를 이어갔다. == 사망 == [[2024년]] [[2월 17일]] 세상을 떠났다. 향년 89세. == 저서 == * 교육·심리 서가 (2023) * 한국인의 삶 (2013) * 행동수정 (2001) * 교육심리학서설 (1990) [[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1934년 출생]][[분류:2024년 사망]][[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마산고등학교 출신]][[분류:캔자스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