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기상캐스터, rd1=이설아(1978))]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004EA2 20%, #004EA2 80%, #004EA2)" '''{{{#fff 세계시민선언 공동대표[br]{{{+1 이설아}}}[br]Seolla Lee}}}'''}}}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치인이설아.jpg|width=100%]]}}}|| ||<|2> '''{{{#ffffff 출생}}}''' ||[[1994년]] [[6월 3일]] ([age(1994-06-03)]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 || {{{#ffffff '''학력'''}}} ||[[용인고등학교(경기)|용인고등학교]] {{{-2 (졸업)}}}[br][[단국대학교]] {{{-2 (문예창작학 / 학사)}}}[br]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 (사회복지학[* 다문화정책 전공] / 석사 수료)}}}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ffffff '''현직'''}}} ||[[세계시민선언]] 공동대표[br][[더불어민주당]] 전국대의원[br][[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미디어윤리특별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용인시 병]] 청년위원장[br][[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용인시협의회 자문위원 || || {{{#ffffff '''링크'''}}} ||[[https://seolla.tistory.com|[[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width=20]]]][[https://www.facebook.com/leeseoll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현재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전국대의원과 경기도당 미디어윤리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다. 또한 청년국제연대 시민단체인 [[세계시민선언]]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홍콩 및 태국, 미얀마 민주화 운동에 활발히 참여했다. 특히 홍콩 시민들을 지지하기 위한 '뮬란 보이콧' 1인시위를 통해 언론의 큰 반향을 끌어냈다.[[https://www.news1.kr/photos/view/?4388223|#]] 자녀의 성을 정할 때 아버지의 성을 우선하도록 되어 있는(부성우선주의) 민법 조항에 대해 위헌소원을 제기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10/0000085727?sid=102&fbclid=IwAR2mDxaBs6Pgd3z2CuihjMR7vWpFp7lqbov6qAo1xB3LCUqVd7ySJn-3930|#]] == 생애 == 1994년 경기도 [[용인시]]에서 태어나고 자라 용인시, 서울특별시 등에 거주했다. == 경력 == * 2018년 [[바른미래당]] 경기도당 대학생위원장 * 2019년 [[바른미래당]] 전국대학생위원회 수석부위원장 * 2019년 [[바른미래당]] 용인시갑 여성위원장 * 2020년 [[민생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디지털소통본부 부본부장 * 2020년 [[세계시민선언]] 공동대표 * 2021년 [[더불어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회 대변인 * 2021년 [[더불어민주당]] 교육특별위원회 정책자문위원 * 2021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용인시협의회 자문위원 * 2021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경선 후보 [[열린캠프]] 청년본부 부본부장 겸 미래세대본부장 * 2021년 [[더불어민주당]] [[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청년선거대책위원회 팀장 *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경기도 용인시의원[* 용인시자 선거구] 후보 * 2022년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부대변인 * 2022년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국제연대특별위원장 * 2022년 [[더불어민주당]] 전국대의원 * 2022년 [[더불어민주당]] 용인시병 청년위원장 * 2023년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미디어윤리특별위원장 == 정치 활동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분당]] 이후 [[손학규]] 전 대표를 따라 [[민생당]]에 합류했다. ] 출신이다. 2017년 [[바른정당]]에 입당한 후 [[청년정치학교]]를 수료했다. 바른미래당 경기도당 운영위원 및 전국대학생위원회 수석부위원장을 맡았다. 2020년 총선에 민생당 비례대표로 입후보했다. 번역청, 이민청 등의 설치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민생당 예비후보 [[http://omn.kr/1mzlu|인터뷰]]도 진행했다. ‘제3지대’를 굳건히 지킬 사람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부모 찬스'에 대해 의문조차 쉽게 제기하기 힘든 사회에서, 일단 버텨서 여기까지 온 것을 스스로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순번을 받지 못했다. 이후 총선에서 민생당 중앙선대위 디지털소통본부에서 부본부장을 맡아 근무했다. [[https://m.facebook.com/leeseolla/posts/pfbid022WLjuxkBBKgNcpD3PJwSND4W7o7gxV54T6QSoPsL4qk7p2xMSWn2ZiRRqHd72yRRl|#]] 2020년 8월 12일, 민생당 부산시장 보궐선거 필승을 위한 간담회에 [[http://m.joongdo.co.kr/view.php?key=20200812010003908|참석]]했다. 2020년 8월 24일, 민생당을 [[https://m.facebook.com/leeseolla/posts/pfbid0754qsDUw8qt5MjftS3uPuEiU7PNG8opMcfMpMMFZmkD1Pmgc3ecbdEmXZ2qLoG8ql|탈당했다.]] 2021년 5월 14일, 공식적으로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음을 알렸다. 민생당 탈당 약 1년 만이다. 변화의 의지가 있는 정당이 야당 중에서는 찾기 어려웠고, 민주당이 최선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2021년 6월부터 [[더불어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회 대변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1년 7월 기사를 통해 이재명 [[열린캠프]]에 합류한 것으로 드러났다.[[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0365|#]] 이후 이재명 대선캠프에서 청년 선대위 팀장직을 맡아 근무했다. 2022년 3월 28일, 용인시 다 선거구 시의원 출마를 선언했으나, 현직 시의원 등과 경선에서 겨룬 끝에 낙선하였다. 경선 전후로 선거구 내 유일한 2030 후보로서 당의 청년공천 30% 할당 약속이 이행되지 않음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다 5월 9일, 용인시 자 선거구에 전략공천 되었다. 원래 준비했던 지역에 출마하지 못했는데 선당후사의 정신으로 당의 공천 제안을 받아들였다고 밝혔다.[[http://www.d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5314|#]] 결국 당선되지 못하고 출마한 후보 4명 중 4등을 하면서 낙선했다. 당의 지지율이 10%p 낮은 가운데서 3위와 68표 차이로 떨어졌다. === 국제연대 활동 === 2019년 12월 바른미래당 경기도당 대학생위원장의 신분으로 정의당 서울시당 학생위원회, 민주평화당 전국청년위원회, 청년녹색당, 미래당 정책국 등 원내외 5개 정당과 함께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575776007492967054|"홍콩 민주항쟁에서 5·18 정신을 만나다"]]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다. 최초의 홍콩 민주화 운동 관련 국회 행사이자 정당 간 협업이다. 해당 토론회를 통해 '국제인권보장을 위한 청년학생정치협의회'를 결성했다. 이후 2020년 4월 10일 민생당과 정의당, 녹색당 및 시민단체가 국회 정론관에서 [[http://newsfield.net/archives/12312/|"홍콩의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한국 국회의 역할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할 때 민생당 중앙선대위 디지털소통본부 부본부장의 신분으로 [[박창진]] 정의당 비례대표 후보, 김혜미 녹색당 비례대표 후보, 나현필 국제민주연대국장, 박도형 홍콩의진실을알리는학생모임 공동대표, 이상현 국가폭력에저항하는아시아공동행동 활동가 등과 함께 발언했다. 이후 2020년 6월 '홍콩의진실을알리는학생모임'과 '국제인권보장을 위한 청년학생정치협의회'를 통합해 '[[https://www.segyesimin.org|세계시민선언]]'을 창설하고 공동대표가 된다. 2020년 11월 태국 민주항쟁에 연대하는 정당 및 대학, 시민단체의 선언식을 진행했다. 2021년 2월 미얀마 군부 쿠데타 규탄 침묵행진을 진행했고, [[포스코]]가 미얀마 군부와의 협력사업을 중단하고 ESG 경영을 실천해야 한다는 내용의 수차례 시위를 진행했다. === 미디어 시민운동 활동 === 2020년 7월 국제연대 활동의 일환으로 '뮬란 보이콧 선포식'을 개최하고 홍콩 민주화 운동을 비판한 주연배우들이 출연한 영화 뮬란의 보이콧 운동을 주도했고, 영화가 개봉한 9월에는 1인 시위에 나섰다. 2021년 12월 역사왜곡 논란이 있던 드라마 [[설강화]]에 대해 법원에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을 했으나 "사건 드라마 내용이 가처분 신청자 주장과 같이 왜곡된 역사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하더라도 이를 접하는 국민들이 그 내용을 맹목적으로 수용할 것이라고 보기 어렵고, 임의로 모든 국민을 대신해 가처분을 신청할 수 없다"는 이유로 기각됐다. === 페미니스트 활동 === ==== 부성우선주의 폐지 활동 ==== 2021년 3월, 부성우선주의 원칙에 헌법소원심판청구를 제기했다. 여러 인터뷰와 칼럼에 참여했다. 인터뷰에서 민법 제781조 제1항 "자는 부의 성과 본을 따른다. 다만, 부모가 혼인신고시 모의 성과 본을 따르기로 협의한 경우에는 모의 성과 본을 따른다."는 '부성우선주의 원칙'이 별도의 협의가 있음을 적극적으로 증명하지 않으면 모의 성을 사용할 수 없게 해 남성과 여성을 차별취급하고 있으면서도, 그와 같은 차별취급에 대한 정당한 입법목적을 찾을 수 없어 혼인과 가족생활에 있어서의 양성의 평등을 명하고 있는 헌법 36조 1항에 위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선 운동 중, ‘포용적 가족문화를 위한 간담회’에 부성우선주의 패널로 참석했다. 오마이뉴스 기고를 통해 윤석열 대선후보의 ‘더이상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는 발언이 해괴한 논리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 부성우선주의 현황을 언급하기도 했다. ==== 평등법 제정 운동 ==== 2021년 6월 23일 국회의원 [[이상민(1958)|이상민]], [[박주민]], [[권인숙]]이 주최한 평등법 제정을 위한 더불어민주당 긴급 토론회에 패널로 참석하고, 2022년 [[권지웅]], 김태진 등과 함께 평등법 제정을 위한 릴레이 일일 동조 단식 투쟁에 나서는 등 꾸준히 평등법 제정을 요구하고 있다. ==== 낙태죄 비판 ==== 2022년 6월 미국 연방 대법원의 로 대 웨이드 판결 폐지에 반대하는 1인 시위를 벌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273595?sid=102|#]] === 청년정책 === 2022년 3월 29일, 청년출마자 간담회에 참석했다. 2022년 3월 31일,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37041.html|<제20대 대통령 선거 이후 '''2030 여성들'''의 민주당 입당 의미와 과제>]] 토론회의 토론 패널로 참여했다. 2022년 4월 13일, 2030세대 지방선거 출마자 7명과 함께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 정당혁신추진위원회의 4차 혁신안을 환영하며 "단순히 또래 세대를 대변하는 것을 넘어 더 다양한 목소리를 들으며 포용적 혁신을 이뤄나도록 노력하겠다"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64OG9PJK9|#]] 꾸준히 4.19 민주묘지를 찾아 헌화하고 묘역을 둘러보며, 불의에 항거한 청년과 학생들의 정신을 기리고 있다. == 언론 보도 == 이설아의 사회 활동과 정치 활동을 보도한 기사들이다. * [[https://www.kdtimes.kr/m/page/view.php?no=1000|역사 속 숨겨진 여성 리더십 통해 통일의 비전을 찾는다]] (코리안드림타임즈, 2019년 1월 24일) *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31811480000657|'90년대생 부부'는 왜 헌법재판소에 갔을까]] ([[한국일보]], 2021년 3월 18일) * [[https://m.edaily.co.kr/amp/read?newsId=03302966629281144&mediaCodeNo=257|'설강화' 역사왜곡 논란…시민단체,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 ([[이데일리]], 2021년 12월 22일) * [[https://www.as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81360|이설아 민주당 자문위원, 용인시의원 출마…“모든 가족이 화목한 처인 만들겠다”]] (경인신문, 2022년 3월 19일) * [[https://news.v.daum.net/v/20220331143001959|"2030 여성, 민주당 집토끼 아냐.. 팬으로 보지 말라"]] ([[오마이뉴스]], 2022년 3월 31일) * [[http://www.hg-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40550|이설아 용인시의원 예비후보, “청년ㆍ여성들의 대변인 될 것”]] (한강타임즈, 2022년 4월 11일) *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273595?sid=102|美 낙태권 폐기에 대사관앞 시위…"성차별주의자들에 힘 실려"]] ([[연합뉴스]], 2022년 6월 28일) === 인터뷰 === 이설아와의 인터뷰를 포함한 기사들이다. * [[http://omn.kr/1mzlu|” ’최연소 국회의원’, 영광스러운 타이틀”]] ([[오마이뉴스]], 2020년 3월 23일) * [[http://www.sideview.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22|[주목!人] ‘뮬란 보이콧’ 외친 이설아 세계시민선언 공동대표]] (사이드뷰, 2020년 9월 14일) * [[https://www.joongang.co.kr/amparticle/23872871|“영화 뮬란 보이콧 왜 하냐고요? 홍콩 인권 무관심에 부끄러워”]] ([[중앙일보]], 2020년 9월 16일) * [[https://m.pressian.com/m/pages/articles/2020092115485886697|청년 정치는 왜 검찰개혁보다 '보이콧 뮬란'인가?]] ([[프레시안]], 2020년 9월 22일) *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spot.html?ID=113223|“폭력이 정당화되지 않는 사회를 꿈꿔요”]] (스카이데일리, 2020년 10월 9일) * [[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0119.html|한국 청년이 미얀마 군부 규탄하는 이유]] ([[한겨레21]], 2021년 3월 24일) *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402|“아빠 성 우선주의는 기본권 침해”… 낡은 가족제도 흔드는 94년생 여성]] ([[여성신문]], 2021년 3월 26일) * [[https://amp.seoul.co.kr/m/20210412016001|“아빠 성 따라야 ‘정상가족’인가요? 비정상적 사회에 물음표 던진 것”]] ([[서울신문]], 2021년 4월 11일) * [[https://www.vop.co.kr/A00001565436.html|[만민보] 아빠 성 물려주는 게 원칙? ‘부성 우선주의’에 어퍼컷 날린 이 사람]] ([[민중의소리]], 2021년 4월 23일) === 칼럼 === 이설아가 언론에 기고한 칼럼들이다. * '''경인신문''' 설왕설래 시리즈 * [[http://www.as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013|기본소득, 격차보다 중요한 것은 ‘최저 생계망’]] (2021년 2월 24일) * [[http://www.as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418|민주당, ‘이대녀’의 이탈을 두려워하라]] (2021년 4월 9일) * [[http://www.as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28744|군필원팀? 여성·장애인 배제하는 ‘정상성’을 성토한다]] (2021년 7월 18일) * [[http://www.as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31217|‘숏컷논란’에 ‘쥴리의 꿈’…대한민국이 21세기가 맞는가]] (2021년 7월 30일) * '''시민일보''' 청년정치 시리즈 * [[http://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8152315452|청년정치가 검찰개혁이 아닌 이유]] (2021년 1월 7일) * [[http://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0089526405|청년정치가 국제연대로 연결되는 이유]] (2021년 2월 8일) *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3436192671|청년정치가 헌법개정을 수반해야하는 이유]] (2021년 5월 5일) * [[오마이뉴스|[[파일:오마이뉴스 로고.svg|width=50]]]] '''오마이뉴스''' * [[http://omn.kr/1oat7|조지 플로이드에게 우리가 연대하는 이유]] (2020년 7월 14일) * [[http://omn.kr/1rumf|혼인신고서 작성하다 깜짝... 우리 부부가 '비정상'인가요?]] (2021년 1월 27일) * [[http://omn.kr/1s00s|요즘 것들의 결혼식은 이렇습니다]] (2021년 2월 13일) * [[http://omn.kr/1s91y|저희 부부, 부성우선주의에 '헌법소원 제기'합니다]] (2021년 3월 2일) * [[http://omn.kr/1sixz|[이상결혼③] 보통시민에서 세계시민으로]] (2021년 3월 22일) *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mp.aspx?CNTN_CD=A0002731630|제대로 된 청년정치인의 조건]] (2021년 4월 1일) * [[http://omn.kr/1sqmn|지속가능한 취미생활과 건강권에 대하여]] (2021년 4월 6일) * [[http://omn.kr/1szzm|염수정 추기경님, 저는 친구가 또 죽을까 두렵습니다]] (2021년 4월 27일) * [[http://omn.kr/1t2op|제 '부성우선주의' 헌법소원이 기각됐으면 좋겠습니다]] (2021년 5월 3일) * [[http://omn.kr/1x8sq|성차별 없다는 윤석열 후보님, 민법 '부성우선주의'는요?]] (2022년 2월 7일) === 영상 인터뷰 === * [우리정치+다준다연구소 정치토크 5탄] 1부. 내가 차별금지 활동에 연대하는 이유 [youtube(l_FjaSTNv0g)] * [김성완의 시사야] 엄마 성도 쓸 수 있게 법 개정 추진. '부성우성주의'에 헌법 소원 제기한 이유? [youtube(w6dVyV2KFSM)] * 한국 청년들이 ‘뮬란 OUT’ 외치는 이유 [youtube(ukWXs5TiMjE)]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 용인 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8,910 (14.46%) || 낙선 (4위) ||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대지방선거용인시의원후보이설아.jpg|width=100%]]}}}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e5e5e5 8회 지선}}}]] ([[용인시|{{{#000000,#e5e5e5 경기 용인시 자선거구}}}]])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바른정당)] || 2017 - 2018 || 정계 입문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018 - 2020 || 합당[*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생당)] || 2020 || 합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2021 || 당내 노선 차이로 탈당[* 대변인의 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옹호 등을 비롯한 '당의 여성혐오적 이념과 맞지 않는다'는 것을 직접적인 탈당 사유로 언급]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1 - 현재 || 입당 || == 여담 == * 기자 일을 하기도 했는데, 인터뷰 기사에서 정치를 하며 유동적으로 시간을 낼 수 있으면서도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선택했던 다양한 직업 중 하나라고 밝혔다. 정치인 외에도 기자나 국회 비서, 방송국 편집자 등 정말 많은 일들을 해 본 경험이 있다고 한다. [* 기자활동을 하며 2019년 [[조국 사태]] 때 [[조국(인물)|조국]] 장관 후보자에 간담회에서 질문을 했다가 지지자들에게 악플을 듣기도 했다고 한다. [[https://youtu.be/MEOhwSTelKg?t=5542|영상]]] 한강타임즈, 파이낸셜투데이, 폴리뉴스에서 정치부 기자로 일했으며 현재 매일일보 정치부 기자로 재직 중이다. * 취미는 [[포켓몬스터]] 배틀이라고 밝혔다. 매 시즌 2000~3000위의 등수를 기록하는 중이라고 한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1994년 출생]][[분류:처인구 출신 인물]][[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용인고등학교(경기) 출신]][[분류:단국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