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 [[경상북도]] [[청도군]]의 [[이서면(청도)|이서면]] * [[전라남도]] [[화순군]]의 [[화순군/행정#s-2.8|이서면]] [include(틀:완주군의 읍면)] ||<-2> '''[[완주군|{{{#000000,#dddddd 완주군}}}]]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이서면}}}'''[br]伊西面 | Iseo-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완주군 이서면&zoom=11,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전라북도]] || || '''기초자치단체''' || [[완주군]] || || '''행정표준코드''' || 4720047 || || '''관할 법정리''' || 10리 || || '''하위 행정구역''' || 61행정리 110반 || || '''면적''' || 33.80㎢ || || '''인구''' || 14,436명[*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000 '''인구밀도'''}}} || 427.1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3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안호영]] ,,(재선),, || ||<-2> '''전라북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윤수봉]] ,,(초선),, || ||<-2> '''완주군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유의식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경애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 '''행정복지센터'''}}}]] || 이서로 55 (상개리 586) || || [[https://www.wanju.go.kr/eup/index.wanju?menuCd=DOM_000001005001000000|이서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완주군]] 최서단의 면. 면 소재지는 상개리. 동쪽이 [[전주시]] [[덕진구]] 장동·중동, 서쪽이 [[김제시]] 백구면, 남쪽이 [[김제시]] 금구면, 북쪽이 [[전주시]] [[덕진구]] 성덕동에 접한다. 백제시대는 두이현, 통일신라때는 두성현, 고려시대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69718&cid=65973&categoryId=66046|이성현]]이었던 곳이다. 1987년에 북쪽의 조촌읍, 1989년에 남동쪽의 구이면 용복리·중인리·원당리 등이 전주시로 편입되면서 [[완주군]]의 다른 지역과 지리적으로 분리된 [[월경지]]가 되어, 완주군 동부에서는 전주시를 거쳐야만 왕래할 수 있다. [[전주시]]와 연담화된 [[전북혁신도시]]가 건설되어 있다. == 전주시로의 편입 논의 == [[전주시]]와 연담화된 [[전북혁신도시]]가 있으며 이서면 내 고속도로 나들목 명칭도 [[서전주IC]]로 불리고, 완주군 동부와 월경지이기 때문에 당장 내일 '''전주시 덕진구 이서동'''[* 실제로는 면이 해체되어 갈산동, 반교동, 용서동 등으로 편입될 것이다.]으로 바뀌어도 겉으로나 속으로나 전혀 이상하지 않을 지역이다. 이에 따라 전주시 편입에 대한 의견이 존재한다. === 찬성 === * 이서면은 완주군과 월경지로 있어 전주시를 거쳐야만 왕래가 가능하여, 이서면 주민들의 완주군청 등 행정서비스 접근성이 떨어진다. * 특히 이서면에는 전주시와 연담화된 전북혁신도시가 건설되어있는데, 행정구역이 다름으로 인한 혁신도시 내 이서면 주민들의 교통, 교육, 행정서비스 등의 불편이 예상된다. === 반대 === * 월경지라고 해도 완주군에서 출장소 등을 설치함으로써 행정서비스의 충분한 제공이 가능하다. * 이서면 인구는 완주군 인구의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더해 [[전북혁신도시]]의 기업 등이 전주로 흡수되면 완주의 인구 및 세수 유출이 엄청나다. 이게 가장 큰 반대의 이유일 것이다. 완주도 전주시의 이서면 통합에 대비하기 위해서 인지 완주군청, 완주경찰서 소재지인 [[봉동읍]]과 [[용진읍]]의 개발을 진행 중이다. * 완주에서 이미 많은 지역이 [[전주시]]로 편입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완주 입장에서 더 이상 전주에게 여러 지역을 주는 것을 막을 수 밖에 없다. *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완주군]]에서 이서면을 포기할 일은 절대로 없다. [[행정구역 개편/호남/전주시-완주군 통합|완주 전체가 전주와 통합된다면]] 모르겠지만. == 교통 == === 도로 === * [[서전주IC]] --완주군에서 이서면의 전주 편입은 막았으나 고속도로 나들목 명칭까지는 어떻게 못 했다-- * [[이서휴게소]] === 버스 === * [[완주군 버스]] * [[완주 버스 이서20]] * [[완주 버스 이서21]] * [[완주 버스 이서22, 이서23]] * [[완주 버스 이서24]] * [[완주 버스 이서25]] * [[완주 버스 이서26]] * [[완주 버스 이서27]] * [[김제시 시내버스]] * [[김제 버스 26]] * [[전주시 시내버스]] * [[전주 버스 165]] * [[전주 버스 820]] ==== 갈산리 경유 버스 ==== 아래에 기재되어 있는 버스는 [[전북혁신도시]] 지역인 이서면 갈산리만 경유하는 노선이다. * [[전주 버스 74, 75]] * [[전주 버스 110]] * [[전주 버스 200]] * [[전주 버스 220]] == 교육시설 == === 초등학교 === * [[이서초등학교(전북)|이서초등학교]] * 이성초등학교 === 중학교 === * [[삼우중학교]] == 하위행정구역(법정리) == * 이문리 * 갈산리 * 금계리 * 용서리 * 상개리 : 면사무소 소재지 * 반교리 * 남계리 * 금평리 * 은교리 * 이성리 : 전주시와 김제시 금구면과 인접해 있는 곳이고 이성현의 치소가 있었던 곳이지만 지금은 한적한 농촌이다. [[분류:완주군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