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훈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br] '''{{{#fff 1991 KBO 퓨처스 남부리그 다승왕}}}''' ||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5번}}}''' || || 결번 || {{{+1 →}}} || '''{{{#fff 이상훈[br](1990~1995)}}}''' || {{{+1 →}}} || [[정순명]][br](1996) || ||<-5> '''{{{#fff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4번}}}''' || || [[윤혁(1967)|윤혁]][br](1995.5.10.~1995) || {{{+1 →}}} || '''{{{#fff 이상훈[br](1996~1999.7.31.)}}}''' || {{{+1 →}}} || [[이용훈(야구)|이용훈]][br](2000~2001) || ||<-5> '''{{{#FFD700 [[두산 베어스|{{{#FFD700 두산 베어스}}}]] 등번호 19번}}}''' || || [[김경원(야구)|김경원]][br](1993~1999.5.14.) || → || '''{{{#ffffff 이상훈[br](1999.8.1.~2003)}}}''' || → || 이경민[br](2004) || ||<-5> '''{{{#fff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23번}}}''' || || [[고효준]][br](2002) || {{{+1 →}}} || '''{{{#fff 이상훈[br](2004)}}}''' || {{{+1 →}}} || 최혁권[br](2005~2009)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산 우완 이상훈.jpg|width=100%]]}}} || ||<-2> '''{{{+2 이상훈}}}[br]李相勳 | Sang-hoon Lee''' || ||<|2> '''출생''' ||[[1971년]] [[3월 21일]] ([age(1971-03-21)]세) || ||[[대구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0년/신인드래프트#s-5.1.4|1990년 고졸 연고구단 자유계약]] ([[삼성 라이온즈|삼성]])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1990~1999)''' [br] '''[[두산 베어스]] (1999~2003)''' [br] [[롯데 자이언츠]] (2004)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삼성 라이온즈]] - [[두산 베어스]] - [[롯데 자이언츠]] 소속의 우투우타 [[투수]]. 리틀 이상훈이라는 별명도 있었지만, 둘은 사실 1971년생 동갑으로 [[LG 트윈스]]의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이 10일 빨리 태어났다.[* 단 LG의 이상훈이 학번으로는 1년 선배다.] 등번호는 50번 - 77번 - 34번(이상 삼성) - 19번(두산) - 23번(롯데) == 선수 경력 == [[이상훈(좌완투수)|LG의 이상훈]]과 달리, [[1990년]]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를 졸업하고 곧바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해 [[중간계투]]로 주로 등판했다. [[1993년]]에는 2승 3패 4세이브 [[평균자책점]] 2.56을 기록하는 등, 삼성 라이온즈의 암흑기 속에서 나름대로 괜찮은 성적을 냈다. 1996년 6월 2일에는 현대와 삼성의 인천구장 빈볼 난투극에서 원인 제공자가 되기도 했다. 이날 삼성은 현대와의 원정 주말 3연전에서 모두 패했는데, 일요일인 마지막날 구원투수로 등판한 이상훈이 3이닝 연속으로 현대 타자들에게 몸에 맞는 공을 던졌던 것이다. 그러나 당시 이상훈은 사과는 커녕, '뭘 봐. 불만있어?'라는 표정만 지을 뿐이었고, 이에 분개한 현대는 삼성의 마지막 9회초 공격에서 마무리 [[정명원]]이 자진 등판하여 양준혁-이승엽에게 연속으로 고의 빈볼을 던지면서 패싸움이 벌어졌다. 그러다가 [[1999년]] 트레이드 마감일이었던 7월 31일, 포수난을 겪고 있었던 삼성 라이온즈가 [[두산 베어스]]에서 [[진갑용]]을 [[트레이드]]로 데려오기 위해 이상훈을 현금 4억과 함께 두산 베어스로 보냈다. 그렇게 삼성에서는 전력 외 판정을 받았지만, 당시 [[투수]]가 부족했던 두산 베어스의 입장에서는 이상훈을 나름대로 잘 써먹었다. 당시 두산 베어스의 감독으로 있었던 [[김인식]]은 잘 하건 못 하건, 선발이건 계투건 이상훈을 노예처럼 꾸준히 등판시켜 스윙맨으로 활용했다. 덕분에 1군 풀타임 마지막 시즌인 [[2002년]]에는 70경기(8선발) 133 ⅔이닝을 던져 4W 10L 2SV 6HLD, [[평균자책점]] 3.91로 자신의 최다 이닝 기록을 세웠다. 그렇게 불꽃같은 커리어 하이를 만들고 팔꿈치가 너덜해진 그는 [[2003년]] 12경기에 등판하여 16 ⅔이닝에 9점대의 평균자책점을 찍고 방출당했으며, 이듬해인 [[2004년]]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하여 2경기 3이닝 9.00을 기록하고 은퇴했다. == 은퇴 후 == 은퇴 후에는 [[신동주(야구)|신동주]]와 함께 [[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침산2동에 스크린 골프장을 열고 티칭 프로로 활동했으며,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모교인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의 투수코치를 맡았다. 2016년 12월 말에는 [[kt wiz]]의 투수코치에서 물러나고 대구로 내려온 [[전병호]]와 함께 [[중구(대구)|중구]] 남산1동에 피칭 아카데미를 열었다. == 여담 == * 2013년에 마구마구의 모바일 버전인 마구마구 2014에 1항목의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선수 레전드 카드를 업데이트하면서 우투우타 이상훈 선수의 기록과 스텟이 기재되어 있다. 후에 좌투로 변경되었지만 기록과 스텟은 변경되지 않았고, 심지어 LG의 이상훈의 동일인물 취급을 받으며 엔트리에 동시 등록도 안 되었다.[* 한 마디로 LG 좌완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과 삼성 우완 이상훈이 동일한 선수 취급을 받는다는 소리다.] 그런데 2014년 2월 마구마구에서 레전드 이상훈 카드를 [[마무리 투수]]로 출시해 듀얼 포지션이 적용되지 않는 모바일에서는 선발로 되어 있는 터라 당장 적용 및 수정이 안 되게 되었다(+장발위엄을 가진 카드이미지). 돈에 멀어서 독단적으로 카드를 출시한 블루페이퍼의 추태 중 하나.[* 08 엘리트 [[봉중근]]이라던가 아직 선발도 되지 않는 14아시아 대표팀이란가 스페, 노멀선수 스텟의 선수를 레어로 퍼준다던가.] == 연도별 주요 성적 == * 투수 기록 ||<-12> {{{#ffffff 역대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1990||<|9> [[삼성 라이온즈]] || 4 || 16 || 0 || 2 || 0 || - || 9.56 || 30 || 9 || 7 || ||1991|| 17 || 42⅔ || 1 || 0 || 0 || - || 5.91 || 54 || 23 || 21 || ||1992|| 10 || 24⅓ || 1 || 0 || 0 || - || 9.62 || 35 || 20 || 18 || ||1993|| 26 || 84⅓ || 2 || 3 || 4 || - || 2.56 || 76 || 36 || 46 || ||1994|| 27 || 70⅓ || 2 || 2 || 0 || - || 4.48 || 75 || 28 || 35 || ||1995|| 6 || 4⅔ || 1 || 0 || 0 || - || 13.50 || 7 || 2 || 5 || ||1996|| 25 || 76⅓ || 2 || 3 || 1 || - || 3.30 || 71 || 29 || 35 || ||1997|| 31 || 58 || 1 || 2 || 3 || - || 5.59 || 75 || 25 || 33 || ||1998|| 12 || 21 || 0 || 0 || 0 || - || 4.29 || 20 || 10 || 12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1999|| [[삼성 라이온즈|삼성]] / [[두산 베어스|두산]] || 37 || 101⅔ || 4 || 6 || 0 || - || 6.20 || 119 || 70 || 59 || ||2000||<|4> [[두산 베어스]] || 40 || 88⅔ || 4 || 4 || 2 || 0 || 5.99 || 103 || 49 || 63 || ||2001|| 20 || 34 || 0 || 0 || 0 || 2 || 8.21 || 43 || 17 || 15 || ||2002|| '''70'''[br](4위) || 133⅔ || 4 || 10 || 2 || 6 || 3.91 || 129 || 50 || 93 || ||2003|| 12 || 16⅔ || 1 || 1 || 0 || 1 || 9.72 || 26 || 6 || 9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사사구 || 탈삼진 || ||2004|| [[롯데 자이언츠]] || 2 || 3 || 0 || 0 || 0 || 0 || 9.00 || 7 || 0 || 2 || ||<-2> 통산 || 339 || 775⅓ || 23 || 33 || 12 || 9 || 5.22 || 870 || 374 || 453 || * 타자 기록 ||<-12> {{{#ffffff 역대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1997|| [[삼성 라이온즈]] || 1 || 1 || .000 || 0 || 0 || 0 || 0 || 0 || 0 || 0 || ||<-2> 통산 || 1 || 1 || .000 || 0 || 0 || 0 || 0 || 0 || 0 || 0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1971년 출생]][[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