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대법관|{{{#fff '''前 대한민국 대법관'''}}}]][br]{{{+1 '''이상훈'''}}}[br]'''李尙勳 | Sanghoon Le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운로드파일_20231116_120315.jpg|width=100%]]}}} || ||<|2> '''출생''' ||[[1956년]] [[10월 9일]][* [[https://www.scourt.go.kr/supreme/news/ChfJusticeListAction.work?gubun=705&top=N&searchWord=%A4%B7#|#]]] ([age(1956-10-09)]세) ||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주시]][br](現 [[광주광역시]]) || || '''본관''' ||[[함평 이씨]][* 기성군파(箕城君派) 28세 범(範) 항렬. 족보에 기록된 일명은 이상범(李尙範).] || ||<#005596> {{{#fff '''현직'''}}}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2><#005596> {{{#fff '''재임기간'''}}} ||대법관 {{{-2 ([[이용훈|이용훈 대법원장]] 제청 / [[이명박|이명박 대통령]] 임명)}}} || ||[[2011년]] [[2월 28일]] ~ [[2017년]] [[2월 27일]] || ||<#005596> {{{#fff '''가족'''}}} ||[[배우자]] 이덕미[* 1959년 7월 6일생([age(1959-07-06)]세). [[광산 이씨]] 이연술(李連述)의 딸이다. 이연술은 광주광역시 화니백화점 창업주이다.], [[아들]] 이화송[* 1982년 3월 11일생 ~ ([age(1982-03-11)]세)] || || '''학력''' ||[[광주제일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법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71562|生命保險契約(생명보험계약)의 成立(성립)에 관한 硏究(연구)]](1980).])}}}[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법학]][* [[상법]] 전공]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6077640|多數株主權濫用(다수주주권남용)에 대한 會社法上(회사법상)의 訴(소)에 관한 硏究(연구) : 會社利益槪念(회사이익개념)을 중심으로]](1991).])}}}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 前 [[대법관]]으로 [[2020년]]까지 [[사법연수원]] 석좌교수 재직 후, [[법무법인]]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변호사로 근무중이다.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를 지낸 [[이광범]]이 남동생이다. == 생애 == 1956년 10월 9일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주시]](現 [[광주광역시]])에서 아버지 이계환(李啓鋎, 1928. 11. 25 ~ 2014. 2. 29)[* 초명 이계남(李啓南).]과 어머니 [[광산 김씨]](1929. 12. 14 ~ )[* 김정호(金正鎬)의 딸이다.] 사이에서 3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975년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법과대학]] [[법학과]]에 입학해 1979년 졸업했다. 198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1987년부터 1988년까지 [[프랑스/사법|프랑스 국립사법관학교]]에서 연수를 받았다. 199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상법]] 전공으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재학 중이던 1977년 제19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1980년 [[사법연수원]]을 제10기로 수료했다.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인천지방법원]] 판사로 근무한 것을 시작으로, 1985년부터 1987년까지 [[서울동부지방법원|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 1988년부터 1989년까지 마산지방법원 진주지원 판사, 1989년부터 1990년까지 [[대구고등법원]] 판사, 1990년부터 1993년까지 [[서울고등법원]] 판사, 1993년 [[대법원]] 재판연구관, 1994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을 지냈다. 부장판사로 승진한 뒤 1994년부터 1997년까지 [[광주지방법원]] 부장판사,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사법연수원]] 교수,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서울지방법원]] 부장판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대전고등법원]] 부장판사,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수석부장판사,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제주지방법원]]장 겸 [[광주고등법원]] 제주부 부장판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인천지방법원]]장을 거쳤다. 2010년부터 법원행정처 [[차장]]을 지내던 도중 2011년 2월 28일[* [[양승태]] 대법관의 후임으로 지명되었는데 [[2011년]] [[9월]], 양승태 [[대법원장]]으로 다시 마주하게 되었다.], [[이용훈]] 대법원장 지명으로 후보자에 오른 뒤 [[이명박]] 대통령이 임명하여 [[대법관]]을 지냈다. [[2017년]] [[2월]] 임기가 끝나[* [[2월]]부터 한 명이 공석으로 인선이 계속 지연되었는데 5달이 지난 [[7월 19일]], 후임으로 [[조재연]] 변호사가 [[대법관]]으로 취임했다.] 대법원을 떠났고, 2019년 3월부터 [[변호사]] 이상훈 법률사무소를 개업하는 한편, [[사법연수원]] 석좌교수로 재임했다. [[2020년]] [[4월]]부터 대형 로펌인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소송 전문 변호사로 [[https://www.kimchang.com/ko/professionals/view/sanghoon.lee1|근무 중이다]]. == 여담 == * 형 이철(李鐵, 1954. 7. 13 ~ )[* 족보명 이철범(李鐵範).]은 [[전남대학교/학부 및 대학원|전남대학교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명예교수]]로 [[https://french.jnu.ac.kr/french/13043/subview.do?enc=Zm5jdDF8QEB8JTJGcHJvZiUyRmZyZW5jaCUyRjM2NiUyRjE0NjMlMkZ2aWV3LmRvJTNG|있다]]. 전공 분야는 19세기 프랑스 소설(특히 [[오노레 드 발자크]])이다. * 아들 이화송(李和松, 1982. 3. 11 ~ )[* 족보명 이재화(李載和).] 또한 제48회 [[사법시험]]에 합격, [[사법연수원 기수|사법연수원]]을 38기로 수료한 뒤 현재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로 근무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1956년 출생]][[분류:함평 이씨]][[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 [[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대법관]][[분류:김앤장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