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자)] ||<-2> '''{{{+1 이보 안드리치}}}[br]Ivo Andrić | Иво Андрић'''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_Kragujevic,_Ivo_Andric,_1961.jpg|width=100%]]}}}||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30]] '''[[노벨문학상|{{{#fff 1961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 ||<|2> '''출생''' ||[[1892년]] [[10월 9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 트라브니크 돌라츠|| ||<|2> '''사망''' ||[[1975년]] [[3월 13일]] (향년 82세)||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SR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직업''' ||소설가, 외교관, 정치인|| || '''학력''' ||벨리카 김나지야 {{{-2 (졸업)}}}[br]자그레브 대학교[br]그라츠 대학교 {{{-2 (남슬라브사 / 박사)}}}|| || '''배우자''' ||밀리카 바비치 ^^(1958년 결혼)^^ ^^(1968년 사별)^^|| || '''종교''' ||[[가톨릭]]|| || '''서명''' ||[[파일:Ivo_Andric_signature.jpg|width=200&bgcolor=#fff]]|| [목차] [clearfix] == 개요 == 옛 [[유고슬라비아]]의 보스니아 출신 소설가. == 생애 == 보스니아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치하에 있을 당시에 태어났다. 두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생활고에 시달리자 어머니는 안드리치를 고모가 계신 비셰그라드로 보냈다. 비셰그라드에는 400여년 전 오스만 제국의 고위 관리가 지은 다리가 있었고, 이 다리는 뒷날 그의 대표작인 《드리나 강의 다리》의 배경이 된다. 12살 때인 1914년, 사라예보에 있는 고등학교인 벨리카 김나지야에 재학할 당시 [[합스부르크 제국]] 치하에 놓인 남슬라브 민족들의 해방을 주장하는 단체인 '청년 보스니아 운동'에 가담하기도 했다. 그러나 [[사라예보 사건]]이 일어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경찰에게 체포되어 1차 세계대전 기간 대부분을 가택연금 상태로 지내다가 1917년에 사면되어 석방되었다. 전후에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외교관으로 일했다. 1939년 독일 주재 유고슬라비아 대사가 되었지만 1941년 [[유고슬라비아 침공]]으로 귀국해야 했다. [[베오그라드]]로 온 안드리치는 아파트에서 거의 연금되다시피 했다. 이때부터 대표작인 《드리나 강의 다리》를 쓰기 시작한다. 이후 공산국가가 된 유고슬라비아 연방에서도 여러 직책을 맡다가 1961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자국 역사의 주제와 운명을 서사시적 필력으로 그려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이후 노벨상 상금을 모두 보스니아의 도서관 책 구매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후 유고슬라비아에서 사회주의 노동 영웅 훈장 등 여러가지 훈장들을 받았고, 1974년부터 건강이 악화되어 이듬해인 1975년 3월 사망했다. == 문학 == 안드리치는 어려서부터 수많은 문학을 접했다. 그 중 그의 작품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작가는 [[프란츠 카프카]]였다. 또한 철학은 [[쇠렌 키르케고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또한 중국과 일본 문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안드리치의 작품의 가장 주된 배경은 다름 아닌 [[보스니아]]다. 안드리치가 살던 시절도 그렇고 지금도 보스니아는 이슬람교인 오스만 제국의 지배와 이어진 기독교 제국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겪으면서 복잡한 문화를 형성해 왔던 곳이다. 안드리치는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면서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충돌, 동양과 서양의 충돌로 만들어진 보스니아를 몸으로 느껴왔다. 이러한 점이 안드리치 문학의 배경을 형성하였다. == 기타 == 자란 곳은 보스니아이지만, 스스로를 [[세르비아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세르보크로아트어]]로 글을 썼지만, 굳이 따지면 그는 [[세르비아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Ekavski를 사용하였다. 이런 이유로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에서 그에 대한 평가는 민족에 따라 다소 달라지기도 한다. [[세르비아]]에서는 그의 문학이 이론의 여지 없이 높게 평가되는 반면, [[크로아티아]]에서는 강경 민족주의자들로부터 "세르비아 문학"이라며 부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유고 내전]]을 통해 유고슬라비아가 조각나 버린 이후 [[크로아티아]]의 [[프라뇨 투지만]] 정권에서 그의 책들이 블랙리스트에 오른 적이 있었다. 투지만이 죽고 난 1999년에 와서 해금되었다. 이러한 평가는 문학적이라기보다는 정치적인 것이고, 크로아티아에서도 대체로 그의 문학은 높이 평가된다. 한편 [[보스니아]]의 [[보슈냐크인]] 중에서는 그의 문학의 [[무슬림]]들이 부정적으로 나온다는 이유로 싫어하는 사람들이 좀 있다. 1950년대에 강경 보슈냐크 민족주의자들은 이미 그에게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라는 비난을 가한 바 있고, 1992년 보스니아가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할 때 [[사라예보]]에 있는 그의 동상이 파괴되기도 하였다. == 작품 == * 보스니아 3부작 * 드리나 강의 다리 * 트라브니크 연대기 * 아가씨 * 저주받은 안뜰 * 몸통 * 술잔 * 물방앗간에서 * 올루야크 마을 * 삼사라 여인숙에서 일어난 우스운 이야기 * 파노라마 * 서커스 * 아이들 * 창(窓) * 탑 * 책 * 아스카와 늑대 * 제파 강의 다리 * 갈증 * 르자프 강변의 언덕들 * 1920년에 씌어진 편지 * 아니카의 전성 시대 * 농부 시만 이야기 국내에서는 [[한국외대]] [[세르보크로아트어]]학과 교수를 지낸 김지향 교수의 번역이 원전 번역이다. == 여담 == [[파일:Bosnia_Herzegovina_CBBH_200_convertible_maraka_2022.00.00_B215b_P71_AB_5820049_f-768x367.jpg]] 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0 [[태환 마르카]] 지폐의 인물이며, 과거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지폐에도 여러 차례 도안으로 사용되었다. [[분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소설가]][[분류:1892년 출생]][[분류:1975년 사망]][[분류:화폐의 인물]][[분류:중앙보스니아주 출신 인물]][[분류:노벨문학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