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별명]] [목차] == 한국의 음악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박사)] == 한국의 영어강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박사(강사))] == 초대 [[대한민국 대통령]] [[이승만]]의 [[별명]] == 여기가 '''[[원조]] [[이박사]]'''다. 이승만이 한국인 최초로 서구권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기 때문에 "이박사"라는 별명이 생겼다.[* 흔히 사람들이 이승만 이전에 [[서재필]]이 박사학위를 딴 줄 알지만 사실이 아니다. '''서재필은 박사 학위 자체를 받은 적이 없다.''' 의사와 박사 둘 다 영어권에서는 Dr.(닥터)라고 하는 데 Dr. Jaisohn(서재필의 미국식 성)을 사람들이 박사로 오해하여 서재필 박사로 잘못 알려진 것이다.] 1910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Neutrality As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 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국내에는 2000년 "이승만의 전시중립론"으로 번역 출간되었다. 이승만에게 박사 학위를 수여했던 사람이 바로 당시 프린스턴 대학의 학장이었고, 후에 [[미국]]의 28대 대통령이 되는 [[우드로 윌슨]]이다. 그래서인지 프린스턴 대학교의 ‘우드로 윌슨 스쿨'에 ‘이승만 홀(Syngman Rhee·1910 Lecture Hall)’이라고 하는 대형 강의실이 있을 정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11대한뉴스_263호_%20경무대를%20떠나는%20리승만%20박사(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10180000892.jpg|width=100%]]}}} || || [[제2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승만의 포스터 || 1959년 공보실[* 국정홍보처의 전신. 현재는 [[문화체육관광부]]로 흡수.]에서 펴낸 책[br]『우리 대통령 리승만 박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11대한뉴스_263호_%20경무대를%20떠나는%20리승만%120박사(1).jpg|width=100%]]}}} || ||<-2> [[4.19 혁명]] 이후 하야한 이승만의 모습을 다룬 [[대한뉴스]]의 한 장면 || 이승만 본인도 자신의 박사 학위에 상당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하였듯 이승만 자신이 한국인 최초의 서구권 대학 박사인 것도 그렇지만, 구한말~건국 초창기의 한국에서는 박사는 커녕 [[학사]] 학위를 가진 사람도 매우 찾아보기 어려웠고, [[대학생]]들은 엄연한 [[지식인]] 대우를 받았다. 심지어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엘리트]] 대접을 받던 시절이었고 [[문맹|글자도 못 읽는 사람들]]이 전체의 70퍼센트가 넘었다. 이승만이 이박사라는 별명을 맘에 안 들어할래야 안 들어할 수가 없었던 현실이었던 것이다.] 이 별명을 무척 마음에 들어했다. 심지어 얼굴 앞에서조차 "각하"라는 호칭보다는 "박사님"이라고 불리는걸 더 좋아했다는 설도 있을 정도이다. 당대에 이박사라는 별명이 워낙 유명하여 널리 쓰였기 때문에 중장년층 중에는 아직도 이승만을 이박사라고 부르는 사람이 많다. 심지어 신문과 방송 등 언론 매체에서조차 이박사라고 불렀을 정도... 거의 준(準) 공식적 호칭이었다고 보면 된다.[* 보통 개도국에는 박사 학위가 드물기 때문에 Dr. 를 꼭 붙여달라는 사람이 많다. 이집트 전 대통령 [[무함마드 무르시]]도 이집트 사람들 사이에선 Dr. 무르시라고 불렸다. 무르시는 [[재료공학]] 박사학위 소위자이다. 미국에서 [[강사]]도 했었다.][* 서구권도 박사 학위 소지자부터는 호칭 자체가 Dr.로 바뀌며, 가능하면 그렇게 불러주는게 예의이다. 심지어 [[독일]] 같은 경우는 ***부 [[장관]] ***박사 와 같은 식으로 부를 정도로 박사 학위를 대단히 떠받들어 주는 편. 그 예가 [[앙겔라 메르켈]]로, 총리 재임중인 2019년 한 공식행사에서 "앙겔라 메르켈 박사"라고 소개한 화면 사진이 있다.] 이승만 외에 박사 학위를 딴 [[조병옥]]이나 [[장면]] 등도 뒤에 박사 호칭을 붙여 부르는 것이 관습이었다. 가끔 가수 [[이박사]]와 연결해서 개그 소재로 써먹는 경우가 있다. 가령 '국부(國父) 이박사께서 친히 부르신 노래'라고 제목을 쓰고 정작 내용은 ''''신바람 메들리'라든지'''(...) == [[대한민국]]의 [[개그맨]] [[이윤석]]의 별명 == 항목 참조. [[이승만]]과 마찬가지로 '''진짜로 박사학위를 갖고 있어서''' 붙은 별명이다. 인상도 박사 느낌이 풀풀 나긴 한다(...). == 역사학자, 팟캐스트 출연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종우(역사학자))] == [[어른스러운 철구]]의 등장인물 [[이용석]]의 별명 == 1을 패러디한 캐릭터. 원숭이 복제에 성공한 이력이 있어서 '''몽키매직 이박사'''라는 별명이 붙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용석)] == [[이성동(1979)]]가 사용하는 별명 == 유튜브에서 사용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박사, version=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