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기타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이바라키현 제4구}}}}}}'''[br]{{{-1 {{{#ffffff 茨城県第4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Ibaraki4.svg|width=100%]]}}}|| ||<-2><:>'''선거인 수'''||<-2><:>269,983명 (2022)|| ||<-2><:>'''상위 도도부현'''||<-2><:>[[이바라키현]]|| ||<-2><:>'''하위 행정구역'''||<-2><:>{{{#!folding [ 펼치기 · 접기 ] [[히타치오타시]], [[히타치나카시]],[br][[히타치오미야시]], [[나카시]], [[쿠지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가지야마 히로시]]||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바라키현]]의 북부 지역인 [[히타치오타시]], [[히타치나카시]], [[히타치오미야시]], [[나카시]], [[쿠지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가지야마 히로시]]. == 상세 ==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 간사장과 내각관방장관을 역임한 가지야마 세이로쿠의 지역구였다. 가지야마 세이로쿠가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사망하자 지역 기반이 아들인 가지야마 히로시에게 세습되었다.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이 압승한 2009년 제45회 총선에서도 가지야마 히로시가 승리를 거둘 정도로 자민당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선거구다. 현직 가지아마 의원은 [[스가 요시히데]] 내각에서 경제산업대신으로 재직했다. 스가 총리가 가지야마 의원의 아버지인 가지야마 세이로쿠를 정치적 스승으로 모셨기 때문에 세상을 떠난 부친 덕을 많이 본다는 평가가 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이바라키현 제4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가지야마 세이로쿠 ||<|9>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8> [[가지야마 히로시]]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4구}}}}}}'''[br]{{{#fff 나카미나토시, 히타치오타시, 카츠타시, 나카군, 쿠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지야마 세이로쿠''' || '''112,97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8.33%'''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사이토 젠이치로 || 38,028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23.0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네모토 미치나오 || 14,32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6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5,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4구}}}}}}'''[br]{{{#fff 나카미나토시, 히타치오타시, 카츠타시, 나카군, 쿠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지야마 히로시]]''' || '''139,81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83.35%''' || '''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와다 키이치 || 27,927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6.6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7,744표 ||<|2> '''투표율'''[br]62.49%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4구}}}}}}'''[br]{{{#fff 히타치오타시, 히타치나카시, 나카군, 쿠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지야마 히로시]]''' || '''119,04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74.07%''' || '''당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오시마 슈이치 || 28,660표 || 2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17.8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가와사키 아츠코 || 13,01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1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0,722표 ||<|2> '''투표율'''[br]59.86%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4구}}}}}}'''[br]{{{#fff 히타치오타시, 히타치나카시, 나카군, 쿠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지야마 히로시]]''' || '''122,20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3.20%'''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다카노 마모루 || 59,94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1.0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가와사키 아츠코 || 11,21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8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3,353표 ||<|2> '''투표율'''[br]67.51% || || 선거인 수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4구}}}}}}'''[br]{{{#fff 히타치오타시, 히타치나카시, 나카군, 쿠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지야마 히로시]]''' || '''104,23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0.73%'''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다카노 마모루 || 97,25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47.34% || 비례당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나카무라 신타케 || 3,968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9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5,460표 ||<|2> '''투표율'''[br]69.28% || || 선거인 수 || || 전국적으로 자민당이 참패하고 민주당이 압승하는 선거 판세 속에서, 가지야마 히로시 의원이 가문의 힘과 개인적 인물론으로 지역구를 수성하는데 성공한다.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4구}}}}}}'''[br]{{{#fff 히타치오타시, 히타치오타시, 나카군, 쿠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지야마 히로시]]''' || '''113,71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5.11%'''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다카노 마모루 || 48,395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7.7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노 슈지 || 12,55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1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59.32% || || 선거인 수 ||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4구}}}}}}'''[br]{{{#fff 히타치오타시, 히타치나카시, 히타치오미야시,[br](옛 고젠야마무라 제외), 나카시, 쿠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지야마 히로시]]''' || '''95,65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4.47%'''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다카노 마모루 || 41,50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7.9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호리에 가쿠지 || 9,33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29%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기무라 다카시 || 1,874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7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8,367표 ||<|2> '''투표율'''[br]55.92% || || 선거인 수 || 271,409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4구}}}}}}'''[br]{{{#fff 히타치오타시, 히타치나카시, 히타치오미야시,[br](옛 고젠야마무라 제외), 나카시, 쿠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지야마 히로시''' || '''97,96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9.95%'''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오구마 도시아키 || 29,547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21.1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호리에 가쿠지 || 12,54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9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0,061표 ||<|2> '''투표율'''[br]51.92% || || 선거인 수 || 274,892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4구}}}}}}'''[br]{{{#fff 히타치오타시, 히타치나카시, 히타치오미야시,[br](옛 고젠야마무라 제외), 나카시, 쿠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가지야마 히로시]]''' || '''98,25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70.47%''' || '''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우치 구미코 || 25,162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8.05% || 낙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50]]]] || 사토 유코 || 16,01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11.4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39,434표 ||<|2> '''투표율'''[br]52.81% || || 선거인 수 || 268,147인 || 현역 자민당 가지야마 히로시 의원이 재출마한다. 워낙 자민당 강세인 지역이라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이 후보를 구하지 못했다. 대신 공산당에서 오우치 구미코 전 이바라키현의회 의원(5선)을 공천했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에서도 국회의원 비서등을 지낸 무토 유코 후보를 공천했다. 투표 결과, 자민당 가지야마 후보가 득표율 70%를 넘기며 압승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구에 있던 히타치오미야시 서남부 지역을 넘겨받으면서 시 경계 분할을 해소했다. 자민당에서는 가지야마 히로시 의원의 9선 도전이 예상된다. [[일본공산당]]은 26세의 정치신인인 요시다 츠바사 후보를 공천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이바라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