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기타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이바라키현 제2구}}}}}}'''[br]{{{-1 {{{#ffffff 茨城県第2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Ibaraki2.svg|width=100%]][br]}}}|| ||<-2><:>'''선거인 수'''||<-2><:>304,799명 (2022)|| ||<-2><:>'''상위 도도부현'''||<-2><:>[[이바라키현]]|| ||<-2><:>'''하위 행정구역'''||<-2><:>{{{#!folding [ 펼치기 · 접기 ] [[카시마시(이바라키)|카시마시]], [[이타코시]], [[카미스시]],[br][[나메가타시]], [[호코타시]], [[오미타마시]],[br]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br]([[이바라키마치]], [[오아라이마치]])}}}||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누카가 후쿠시로]]||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바라키현]]의 [[카시마시(이바라키)|카시마시]], [[이타코시]], [[카미스시]], [[나메가타시]], [[호코타시]], [[오미타마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이바라키마치]], [[오아라이마치]])등 이바라키현의 남동부 지역인 ‘롯코 지역’을 관할하는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누카가 후쿠시로]]. == 상세 == 전체적으로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우세한 이바라키현답게, 이 곳 역시 자민당 지지도가 강한 지역구다.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이 압승한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5회 총선]]을 제외한 모든 선거에서 자민당 [[누카가 후쿠시로]]가 승리했다. [[2014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7회 총선]]의 경우 제1야당인 민주당이 아예 후보를 내지 못해 자민당과 공산당의 1대 1 승부가 펼쳐졌다. [[2017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8회 총선]]에서는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이 후보를 냈으나, 누카가 의원이 다시 압승했다.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9회 총선]]도 누카가 의원의 압승이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이바라키현 제2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4> [[누카가 후쿠시로]]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이시즈 마사오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누카가 후쿠시로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2구}}}}}}'''[br]{{{#fff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니시이바라키군 일부,[br]카시마군, 나메가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누카가 후쿠시로]]''' || '''109,13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1.90%'''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도코이 요시하루 || 54,138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30.7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코쿠라 타츠이 || 13,03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4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6,316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2구}}}}}}'''[br]{{{#fff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니시이바라키군 일부,[br]카시마군, 나메가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누카가 후쿠시로]]''' || '''135,29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7.20%'''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도코이 요시하루 || 54,698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7.1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코쿠라 타츠이 || 11,35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6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1,348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2구}}}}}}'''[br]{{{#fff 카시마시, 이타코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br]니시이바라키군 일부, 카시마군, 나메가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누카가 후쿠시로]]''' || '''127,36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6.53%'''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도코이 요시하루 || 55,444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8.96%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다카하시 츠토무 || 8,63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5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1,439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2구}}}}}}'''[br]{{{#fff 카시마시, 이타코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br]니시이바라키군 일부, 카시마군, 나메가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누카가 후쿠시로]]''' || '''138,72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4.75%'''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고바야시 마코토 || 65,268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0.46%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다카하시 츠토무 || 10,25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7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4,255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2구}}}}}}'''[br]{{{#fff 카시마시, 이타코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br]니시이바라키군 일부, 카시마군, 나메가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시즈 마사오[br](石津政雄)''' || '''114,455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9.07%'''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누카가 후쿠시로]][br](額賀福志郎) || 111,674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7.88% || 비례당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나카무라 고키[br](中村幸樹) || 7,125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3.0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3,254표 ||<|2> '''투표율'''[br]64.74% || || 선거인 수 || 360,278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2구}}}}}}'''[br]{{{#fff 카시마시, 이타코시, 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br]니시이바라키군 일부, 카시마군, 나메가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누카가 후쿠시로]][br](額賀福志郎)''' || '''113,89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6.28%'''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시즈 마사오[br](石津政雄) || 47,922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3.68% || 낙선 || ||<|2> [[모두의 당|[[파일:다함께당 로고.png|width=50]]]] || 하라다 마사야[br](原田雅也) || 31,846표 || 3위 || || [include(틀:모두의 당)][*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추천] || 15.7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메자와 타츠코[br](梅沢田鶴子) || 8,70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3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2,362표 ||<|2> '''투표율'''[br]56.35% || || 선거인 수 || 359,147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2구}}}}}}'''[br]{{{#fff 미토시 일부, 카사마시 일부, 카시마시, 이타코시, 카미스시,[br]나메가타시, 호코타시, 오미타마시 일부,[br]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누카가 후쿠시로]][br](額賀福志郎)''' || '''142,23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76.66%''' || '''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가와이 히로코[br](川井宏子) || 43,303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3.3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5,541표 ||<|2> '''투표율'''[br]54.59% || || 선거인 수 || 357,635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2구}}}}}}'''[br]{{{#fff 미토시 일부, 카사마시 일부, 카시마시, 이타코시, 카미스시,[br]나메가타시, 호코타시, 오미타마시 일부,[br]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누카가 후쿠시로]][br](額賀福志郎)''' || '''104,18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9.21%'''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이시즈 마사오[br](石津政雄) || 57,098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32.4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호시노 후미오[br](星野文雄) || 14,67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3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5,956표 ||<|2> '''투표율'''[br]49.63% || || 선거인 수 || 363,181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이바라키현 제2구}}}}}}'''[br]{{{#fff 미토시 일부, 카사마시 일부, 카시마시, 이타코시, 카미스시,[br]나메가타시, 호코타시, 오미타마시 일부,[br]히가시이바라키군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누카가 후쿠시로]][br](額賀福志郎)''' || '''110,83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4.46%'''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후지타 유키하사[br](藤田幸久) || 61,103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35.5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1,934표 ||<|2> '''투표율'''[br]49.80% || || 선거인 수 || 355,390인 || 현역 자민당 누카가 후쿠시로 의원이 만 77세의 고령이라 정계은퇴를 선언할 가능성도 있었다. [[2021년]] 6월 28일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 양성판정을 받고 입원했으나, 다행히 동년 7월 20일에 건강을 회복한 후 퇴원했다. 이후 다시 자민당의 공천을 받았다. 야당인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는 후지타 유키히사 전 의원이 출마한다. 만 71세이며, 중의원 재선과 참의원 재선을 모두 지낸 베테랑 정치인이다. 자민당 누카가 의원이 재출마하고, 후보 단일화를 위하여 다른 야당 및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았기에 두 70대 노장 정치인의 1대1 대결이 이뤄진다. 투표 결과, 자민당 누카가 당선인이 64% 득표율로 압승했고 13선 고지에 올랐다. 입헌민주당 후지타 후보는 예상보다 더 큰 표차로 패하는 바람에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로 부활하는 데에도 실패했다. 결국 노정객의 국회 복귀는 실패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미토시]]의 남서부 지역과 [[카사마시]] 남동부 지역을 1구로 넘기고, 6구의 오미타마시 남서부 지역을 넘겨받아 경계 분할이 해소되었다. 자민당에서는 누카가 후쿠시로 의원이 재출마할 경우, 14선 도전이 된다. 하지만 파벌 영수에서 물러났고 나이도 중의원 해산 전에 80을 넘길수도 있기에, 이번에 불출마 후 정계은퇴를 선언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에서는 이마무라 도시아키 전 치바시의원이 지부장으로 선임되었다. [[일본공산당]]은 카시마시 시의원을 두차례 지내고 2014년 제47회 총선에 출마해 누카가 의원과 1대1 승부를 벌였던 가와이 히로코 후보를 거의 10년만에 다시 공천했다. 자민당 출신의 무소속 오타카 신이치 전 이바라키현의원이 출마를 선언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이바라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