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홍대부고 코치 프로필 사진.jpg|width=200]] || || '''이름''' || 이무진(李武振) || || '''출생''' ||1971년 5월 21일 || || '''국적''' || [[대한민국]] || || '''학력''' ||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 [[홍익대학교]] ||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 || '''가족''' || 아내, 아들 이경민 || || '''신체''' || 186cm || || '''지도자 경력''' ||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농구부 코치 ([[2000년]] ~ ) || [목차] [clearfix] == 소개 == [[대한민국]]의 농구인.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홍대부고]] 3학년 때 [[이상민(농구)|이상민]] - [[노기석]]과 함께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홍대부고]] 3인방으로 불렸고, 그 해 전국대회 3관왕을 달성한다. 대학 무대의 강호 [[고려대학교|고려대]], [[연세대학교|연세대]]로 진학한 동기들과 달리 [[홍익대학교|홍익대]]로 진로를 잡은 뒤, 매 대회마다 예선 통과도 버거운 팀 환경 속에도 고군분투하며 고교 시절과 마찬가지로 단신 포워드로서 골밑까지 지켜야 하는 올 어라운드 플레이어로서 활약했다. [[홍익대학교]] 졸업 후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대우증권]]에 입단하였으나 KBL 출범 후 군 문제 등으로 프로에서는 단 한 게임도 뛰지 못한 채 방출, 1999년 드래프트에 재도전하여 2라운드 20위로 [[수원 kt 소닉붐|광주 골드뱅크]]에 지명되었지만 99-00 시즌 단 한 게임 뛴 게 KBL 커리어의 전부다. == 지도자 경력 == 은퇴 후 20년이 넘게 모교 홍대부고 코치를 맡고 있으며, [[임동섭]](12년 졸), [[강상재]](13년 졸) 등을 키워낸 바 있다. 2016년 아시아 U-18 대회부터 이듬해 세계대회까지 청소년 대표팀 감독을 맡아, 2016 FIBA 아시아 U-18 3위, 2017 FIBA U-19 14위[* 조별리그 3패 후, 순위결정전에서도 연패하며 1승 6패로 16팀 중 14위.]을 이끌었다.[* 당시 주력멤버로는 [[양재민]], 박지원(이상 연세대), [[하윤기]], [[신민석]](이상 고려대) 등이 있었다. 하지만 세계대회에서, 부진에 빠진 일부 선수들을 계속 기용하는 바람에, 기대했던것 보다 성적이 나지 않았다는 비판이 좀 있었다. 1년전 2016 FIBA U-17 대회에서 거의 같은 로스터로 오세일(군산고) 감독이 세계대회 8강 신화를 거둔 바 있기 때문에 더욱 비판이 거셌다.] == 여담 == 아들 이경민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서 홍대부중-홍대부고 소속 농구선수로 활약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선수단]] * [[수원 kt 소닉붐/선수단]]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2000년 은퇴]][[분류:스몰 포워드]][[분류: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은퇴, 이적]][[분류:수원 kt 소닉붐/은퇴, 이적]][[분류:홍익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