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분류:대한민국의 야구상]][[분류:이만수]] [목차] == 개요 == 2017년부터 시상하는 [[고교야구]] 최우수 포수상으로, [[KBO 리그]] 레전드 포수이자 [[헐크파운데이션]] 이사장인 [[이만수]]가 수여하는 상이다. 이만수 이사장은 최근 유소년 야구에서 포수라는 포지션이 기피를 받는다는 점을 안타까워하며 "포수도 충분히 매력이 있고, 좋은 대우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리면서 동기부여도 해주고 싶었다"며 제정 배경을 밝혔다. 이와 함께 이만수 이사장이 선수 시절 [[KBO 리그]] 1호 홈런을 기록했다는 것과 관련하여 특별부문 홈런상도 시상한다. 각 부문 수상자는 상금 100만원과 400만원 상당의 야구용품을 받게 된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69&aid=0000259121|3년간 11만㎞ 누빈 이만수 “포수 기피, 안타까워” 포수상 제정]] == 부문별 역대 수상자 == === 포수상 === || 연도 || 이름 || 소속 학교 || 프로 경력 || || [[2017년]] || [[김형준(1999)|김형준]] || [[세광고등학교 야구부|세광고]] || [[NC 다이노스|NC]] (2018~) || || [[2018년]] || [[김도환]] ||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 || [[삼성 라이온즈|삼성]] (2019~) || || [[2019년]] || [[강현우(야구선수)|강현우]] ||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 || [[kt wiz|kt]] (2020~) || || [[2020년]] || [[손성빈]] || [[장안고등학교 야구부|장안고]] || [[롯데 자이언츠|롯데]] (2021~) || || [[2021년]] || [[허인서]] || [[순천효천고등학교 야구부|효천고]] || [[한화 이글스|한화]] (2022~) || || [[2022년]] || [[엄형찬]] || [[경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경기상고]] || [[캔자스시티 로열스|캔자스시티]] (2023~) || 2021 시즌까지는 이만수 포수상의 주인이 늘 한 명으로 압축되었으나 2022시즌에는 지명순위가 가장 높은 포수(드래프트 신청 포지션 기준)은 1라운드 6순위로 지명된 [[김건희(야구선수)|김건희]]였으나 포지션 변경 확률이 있어서 고교 시절 타격기록이 좋은 [[김범석(야구선수)|김범석]]과 이들 중 지명 순위는 가장 낮지만 청소년 대표 주전 포수였던 [[김동헌]]까지 세 명이 경합하게 되었다. 홈런상 수상이 확실시 되는 후보가 이만수 포수상 후보에까지 오른 경우는 처음이며, 후보인 TOP3 포수 중 두 명이 같은 팀에 지명된 것은 대단히 희귀한 경우다. 그러나 MLB진출로 물망에서 벗어나 있었지만 실질적 포수 최대어였던 [[엄형찬]]이 결국 이 상을 가져갔다. === 홈런상 === || 연도 || 이름 || 소속 학교 || 프로 경력 || || [[2017년]] || [[한동희]]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 || [[롯데 자이언츠|롯데]] (2018~) || || [[2018년]] || [[변우혁]] ||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 || [[한화 이글스|한화]] (2019~) || || [[2019년]] || [[안인산]] ||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 || [[NC 다이노스|NC]] (2020~) || || [[2020년]] || [[박찬혁(야구선수)|박찬혁]][* 최초로 2학년 때 수상] ||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 || [[키움 히어로즈|키움]] (2022~) || || [[2021년]] || [[조세진]] ||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서울고]] || [[롯데 자이언츠|롯데]] (2022~) || || [[2022년]] || [[김범석(야구선수)|김범석]][* 최초 나무배트 두자릿 수 홈런]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 || [[LG 트윈스|LG]] (2023~) || == 관련 문서 == * [[이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