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0 1em 1em;float:right;font-size:.95em;text-align:center;width:400px;max-width:100%;min-width:50%;" [[파일:이르민술.png|width=100%]]{{{#!wiki style="margin:0 0 5px 0;" 이르민술을 묘사한 심볼.}}}}}}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르민술'''(Irminsul) 또는 '''에르멘술'''(/ˈer.men.sul/)은 고대 [[게르만족]]의 일파인 색슨족(Saxons)에 의해 신성시되었던 대상 또는 이를 묘사한 상징으로, 오늘날에는 이르민술이 정확히 무엇을 지칭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대개 '[[신목]](神木)', '교목' 또는 '(나무) 제단', '신성한 기둥' 등으로 묘사된다. 전자에 따르면 이르민술은 북유럽 신화의 [[위그드라실]]에 버금가는 [[세계수]]를 지칭한 것으로 추정되며, [[베네딕도회]] [[수도자]]였던 루돌프 폰 풀다(Rudolf von Fulda)가 이러한 설을 주장했다. 이르민술이라는 어휘를 분석해 보면 게르만조어 '*ermunaz'에서 파생되어 '강한' 또는 '위대한'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접두사 '*irmin-' 혹은 '*ermin-'에 '고랑', '쟁기'라는 뜻의 '-sul'이 결합한 형태이다. '*irmin-'은 노르드조어(Old Norse)의 요르문('jormun-')과도 같은 어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르민(Irmin)은 고대 색슨족에서 숭배되던 전쟁의 신이자 주신 중 하나의 이름이기도 했는데, 이는 북유럽의 주신인 [[오딘]] 또는 전쟁의 신 [[티르]]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이러한 신화에 비추어 보면, 이르민술은 이르민과 관련한 종교적 상징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 여담 == * [[나치 독일]]의 우생학 연구 기관인 [[아넨에르베]]에서는 이르민술을 자신들의 상징 중 하나로 사용했다. [[분류:게르만 신화]][[분류:서게르만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