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 남자 싱글 챔피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피겨 이동원.jpg|width=100%]]}}} || || '''이름''' ||이동원(Lee Dongwon)||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2> '''출생''' ||[[1996년]] [[11월 18일]] ([age(1996-11-18)]세)|| ||[[서울특별시]]|| || '''학력''' ||[[과천초등학교]] {{{-2 (졸업)}}}[br][[과천중학교]] {{{-2 (졸업)}}}[br][[과천고등학교]] {{{-2 (졸업)}}}[br][[단국대학교]] {{{-2 (졸업)}}}|| || '''종목''' ||[[피겨 스케이팅]]|| || '''신체''' ||176cm|| || '''링크'''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남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 노비스 시절 === [[2006년]]에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2007년]] [[신혜숙]] 코치를 만난 뒤 트리플 5종 점프를 장착했다. 2008-09 시즌, 2008 아시안 트로피 노비스 부문에서 우승하였다. 2009 종합선수권 주니어 부문에서 총점 144.62점으로 우승했는데, 이 점수는 역대 남자 주니어부 최고기록이었다.[* 시니어 부문 우승자인 [[김민석(피겨 스케이팅)|김민석]]보다도 12.07점이나 높은 점수였다. ] 동계체전 초등부에서도 우승했다. 2009 트리글라브 트로피 노비스 부문에서 우승했다.[* 2002년 [[김연아]]의 같은 대회 우승 이후 [[대한민국|한국]] 남자 선수의 첫 우승이다.] 2009-10 시즌, NRW 트로피 노비스 부문에서 우승했다.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시니어 부문 우승을 차지하고, 종합선수권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동계체전 중등부에서도 우승했다. === 2010-11 시즌 === 주니어 데뷔 가능 연령이 되어,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서 1위를 차지하며 출전권 2장을 얻었다. 주니어 그랑프리 2차 [[2010 JGP 루마니아]]에 출전하며 주니어 데뷔를 했다. 이 대회에서 총점 165.12점으로 최종 4위에 올랐다. 주니어 그랑프리 4차 [[2010 JGP 일본]]에서는 최종 11위를 했다. ||
[[파일:2011 종합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width=100%]] || || [[2011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1 종합선수권]] || 회장배 랭킹대회와 [[2011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1 종합선수권]]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기대를 모았던 [[2011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1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 30위로 프리컷을 당했다. === 2011-12 시즌 === 환태평양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고, 아시안 트로피 주니어 부문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11 JGP 호주]]와 [[2011 JGP 루마니아]]에서 모두 5위를 기록했다. 회장배 랭킹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하고, [[2012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2 종합선수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 2012-13 시즌 === 회장배 랭킹대회 4위, [[2013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3 종합선수권]]에서 3위를 차지했다. === 2013-14 시즌 === [[2013 JGP 슬로바키아]]와 [[2013 JGP 폴란드]]에서 각각 15위와 13위를 기록했다. ||
[[파일:2014 종합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png|width=100%]] || || [[2014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4 종합선수권]] ||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2위, [[2014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4 종합선수권]]에서는 3위[* 이 대회 쇼트프로그램에서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트리플 악셀, 트리플 플립 점프를 모두 성공하며 비공인 최고점인 72.36점을 받았다.]를 차지했다. 처음으로 출전한 [[2014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4 사대륙선수권]]에서는 19위를 기록했다. 동계체전 고등부에서는 총점 194.75점으로 좋은 점수대를 획득하며 우승[* 이 대회 프리스케이팅에서 2번의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며 비공인 최고점인 131.67점을 받았다.]을 차지했다. === 2014-15 시즌 ===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9위를 기록했다. 동계체전 대학부에서 우승했다. === 2015-16 시즌 ===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7위, [[2016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6 종합선수권]]에서 8위를 기록했다. 동계체전 대학부에선 2위를 차지했다. === 2016-17 시즌 ===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7위, [[2017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7 종합선수권]]에서 8위를 기록했다. 동계체전 대학부에선 2위를 차지하고, [[2017 알마티 동계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하여 쇼트 30위로 프리컷을 당했다. 이후 은퇴했으며 현재는 [[신혜숙]] 코치팀에서 보조코치로 일하고 있다. == 기술 및 평가 == ||
[[파일:이동원트악더토.gif|width=100%]] || || 3A+2T[* [[2014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4 사대륙선수권]] 당시 수행점수(GOE) 0.43점] ||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를 뛸 수 있었으며, 이동원의 트리플 악셀은 2022년 기준 현재까지도 국내 남자 선수 중 탑급 퀄리티의 점프로 꼽힌다.[* 트리플 악셀의 회전을 풀고 내려왔을 정도이다.] 그러나 [[러츠 점프]]가 롱엣지였다. 기술적인 요소 외에도 몸을 잘쓴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어린 시절엔 즉흥적으로 프로그램을 연기할 정도로 끼가 많았던 선수였다. 남자 싱글 1996년생 3인방([[김진서(피겨 스케이팅)|김진서]], [[이준우(1996)|이준형]], 본인) 중 가장 먼저 주목받던 유망주였다. 노비스 시절부터 트리플 5종을 마스터하며 국제대회를 휩쓸었고, 국내에서도 ‘남자 [[김연아]]’라는 수식어를 붙이며 주목했으나 주니어 데뷔 이후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이며 크게 성장하지는 못했다. == 기록 == * 국제대회에서 우승한 최초의 [[대한민국|한국]] 남자 선수 * [[악셀 점프|트리플 악셀]]을 국제대회에서 성공한 다섯번째 [[대한민국|한국]] 남자 선수[* [[정성일(피겨 스케이팅)|정성일]] - [[김민석(피겨 스케이팅)|김민석]] - [[김진서(피겨 스케이팅)|김진서]] - [[이준우(1996)|이준형]] - 본인 순.](2014 사대륙선수권) == ISU 공인 최고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쇼트''' ||61.16([[2014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4 사대륙선수권]])|| || '''프리''' ||113.33([[2010 JGP 루마니아]])|| || '''총점''' ||166.93([[2011 JGP 루마니아]])|| == 커리어 == ||<-10>
'''{{{#white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08–09''' || '''09–10''' || '''10–11''' || '''11–12''' || '''12–13''' || '''13–14''' || '''14–15''' || '''15–16''' || '''16–17''' || ||사대륙선수권|| || || || || || 19th || || || || ||동계유니버시아드|| || || || || || || || || 30th || ||<-10> '''{{{#white 국제대회:주니어, 노비스}}}''' || ||주니어 세계선수권|| || || 30th || || || || || || || ||JGP 루마니아|| || || 4th || 5th || || || || || || ||JGP 슬로바키아|| || || || || || 15th || || || || ||JGP 일본|| || || 11th || || || || || || || ||JGP 폴란드|| || || || || || 14th || || || || ||JGP 호주|| || || || 5th || || || || || || ||NRW 트로피|| || 1st N || || || || || || || || ||아시안 트로피|| 1st N || || || 3rd J || || || || || || ||트리글라브 트로피|| 1st N || || || || || || || || || ||환태평양선수권|| || 1st N || || 1st J || || || || || || ||<-10> '''{{{#white 국내대회}}}''' || ||종합선수권|| 1st J || 2nd || 1st || 4th || 3rd || 3rd || || 8th || 8th || ||회장배 랭킹대회|| || 1st || 1st || 3rd || 4th || 2nd || 9th || 7th || 7th || ||동계체전|| 1st J || 1st || 1st || 2nd || 2nd || 1st || 1st || 2nd || 2nd || ||JGP 선발전|| || || 1st || 1st || 3rd || 3rd || || || || ||<-10> JGP=주니어 그랑프리, J=주니어, N=노비스 ||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96년 출생]][[분류:과천초등학교 출신]][[분류:과천중학교 출신]][[분류:과천고등학교 출신]][[분류:단국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유니버시아드 참가 선수]][[분류:2017 알마티 동계 유니버시아드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