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조선대학교 총장)]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 }}} || ||<-2> '''{{{#fff 제8대 조선대학교 총장[br]{{{+1 이돈명}}}[br]李敦明 | Lee Donmyeo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故이돈명.png|width=100%]]}}} || ||<|2> '''출생''' ||[[1922년]] [[8월 21일]] || ||[[전라남도]] [[나주군]] 문평면 운봉리 회두마을[br](現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운봉리 회두마을)[*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65578|#]]] || ||<|2> '''사망''' ||[[2011년]] [[1월 11일]] (향년 88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자택 || || '''본관''' ||[[함평 이씨]][* 참판공파(參判公派) 25세 돈(敦) 항렬.] || || '''호''' ||범하(凡下) || || '''학력''' ||[[조선대학교]] {{{-2 ([[정치학]] / [[학사]])}}} || ||<|6> '''재임기간''' ||제8대 조선대학교 총장 || ||[[1988년]] [[9월 6일]] ~ [[1991년]] [[9월 5일]] || ||초대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 || ||[[1995년]] [[6월]] ~ [[1999년]] [[9월]] || ||제4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 || ||[[2001년]] [[4월 13일]] ~ [[2003년]] [[3월 26일]] || || '''경력''' ||조선변호사 예비시험 합격[br]제3회 [[고등고시]] 사법과 합격[br][[대전지방법원]] [[판사]][br][[서울지방법원]] [[판사]][br][[천주교 서울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인권위원장[br][[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고문[br][[한겨레신문]] 상임이사[br][[6월 민주항쟁|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br]6월민주항쟁계승사업회 이사장[br] || || '''상훈''' ||국민훈장 무궁화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 == 생애 == ||[youtube(78XOlI4pTuw)] || > '''인권변호사의 아버지''' 1922년 8월 21일 [[삼봉 정도전]]의 유배지이기도 했던 [[전라남도]] [[나주군]] 문평면 운봉리(現 [[나주시]] [[다시면]] 운봉리) 회두마을에서 아버지 죽은(竹隱) 이경서(李炅緖, 1885. 4. 7 ~ 1963. 1. 17)[* 초명 이창서(李昌緖), 자는 홍규(弘圭).]와 어머니 [[제주 고씨]](1896. 9. 18 ~ 1975. 5. 22)[* 고우진(高宇鎭)의 딸이다.] 사이에서 1남 6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1946년에 [[조선대학교]]의 전신 광주야간대학원 [[정치학과]]에 입학했고, 재학 중이던 1948년에 조선변호사 예비시험에 합격했다. 1950년에는 조선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1952년 제3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하여 판사로 활동했다. 1960년 [[5.16 군사정변]] 이후 법관직에 회의를 느끼고 있던 차, 1963년 1월 17일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1963년부터 법복을 벗었다. 이후 다른 세 변호사와 함께 제일합동법률사무소를 열고 민사사건 전문 변호사로 일했다. 1974년, 동아일보 광고 사태에 이어서 일어난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일명 [[민청학련 사건]])에 충격을 받고 이 사건을 맡은 [[황인철]], [[홍성우(1938)|홍성우]] 변호사에게 찾아가 변론에 동참하겠다고 요청하면서 인권변호사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인권변호사 활동 시절인 1979년 [[가톨릭농민회]] 사건 때는 고문에 못 이긴 의뢰인 오원춘씨가 법정에서 검찰이 시킨 대로 거짓 증언을 하는 바람에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허탈하게 돌아왔다. 70~80년대 고락을 함께한 [[김정남(1942)|김정남]]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은 "재판을 마친 후 기차를 타고 서울로 돌아오는데 선생이 중앙통로에 주저앉아 어린아이처럼 펑펑 울던 모습이 아직도 기억난다"고 말했다. 7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고인은 '인권변호사들의 맏형'으로 불리게 된다. 사실상 인권변호 활동의 총지휘자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시국사건이 일어나면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변호인단 분배, 피고인 접견, 변론 준비를 도맡았다. 동일방직 사건, YH 사건,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 통혁당재건 사건 등이 모두 그의 손을 거쳐갔다. 광주민주화운동과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문을 연 80년대에는 소수 인권변호사들의 고군분투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시국사건들이 쏟아졌다. 그때 [[조영래]], 최병모, [[박원순]] 등 10여명의 변호사들이 이돈명 변호사를 찾아왔다. 이들과 함께 85년 최초의 인권변호사 모임인 '정의실천법조인회(정법회)'를 조직하게 된다. 정법회는 지금의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의 전신이 되었다. 86년 말엔 옥고도 치렀다. [[5.3 인천사태]]에 관련돼 수배 중이던 [[이부영]] 민통련 사무처장(전 국회의원)을 숨겨줬다는 이유로 옥고를 치뤘다. 그러나 이부영을 숨겨준 것은 이 변호사가 아니라 [[고영구]] 변호사였다.[* 당시 이돈명 변호사를 변호하기 위하여 '''총 283명의 변호인단'''이 구성되었다.[[https://news.joins.com/article/2077009|출처]]] [[고영구]] 변호사의 노모와 와병 중이던 부인이 받을 충격을 염려해 자신이 숨겨준 것으로 했다. [[이부영]] 전 의원은 "선생은 내 거짓진술로 예순 넘은 나이에 감옥생활을 하시게 됐는데도, 그 사건 이후 처음 만나자마자 '이 사람아, 자네 덕분에 나도 이제 진짜 민주투사가 됐네'라며 껄껄 웃었다"고 전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구속되는 이돈명 변호사.png|width=100%]]}}} || || 법정에 들어서는 도중 웃음을 짓는 이돈명 변호사 || 이후 1988년 9월 6일부터 1991년 9월 5일까지 [[https://www3.chosun.ac.kr/chosun/141/subview.do|제8대]] 조선대학교 총장을 지냈고, 2011년 1월 11일 오후 7시 20분에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https://www.joongang.co.kr/article/4918943|사망하였다]]. == 주요 변호 활동 == * [[윤보선]],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동아투위, 조선투위 긴급조치 위반사건 * 크리스찬 아카데미 국가보안법 위반사건 * [[김재규]] 내란음모사건 *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 * [[문부식(시인)|문부식]] 등 국가보안법 위반사건 * [[김지하]] 시인 국가보안법 위반 사건 * [[서울대 민간인 감금 폭행 고문 사건]][* 이때 [[유시민]]이 이돈명 변호사의 도움을 받았고 항소이유서를 작성했다고 밝혔다.] * [[YH 사건]] * [[민청학련 사건]] == 이돈명 인권상 == 이돈명인권상은 2011년 1월 작고한 이돈명 변호사를 기려서 천주교인권위원회가 이 시대의 인권을 위해 실천하는 사람이나 단체에 수여하기 위해 제정한 상이다. 이돈명 변호사가 남긴 인권의 발자취를 기억하고 인권의 가치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매년 1월에 시상한다. || '''{{{#fff 회차}}}''' || '''{{{#fff 선정 연도}}}''' || '''{{{#fff 수상자(수상단체)}}}''' || || 제 1회 || 2011년 || 학생인권조례 운동본부 || || 제 2회 || 2012년 || 밀양 765kV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 || || 제 3회 || 2013년 || 장애등급제 폐지 공동행동 || || 제 4회 || 2014년 || 무지개 농성단 || || 제 5회 || 2015년 ||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 || || 제 6회 || 2016년 || 전쟁없는 세상 || || 제 7회 || 2017년 || 초등 성평등 연구회 || || 제 8회 || 2018년 || 선거연령하향 청소년 행동단 || || 제 9회 || 2019년 || 성소수자 부모모임 || || 제 10회 || 2020년 || 대구장애인차별철폐연대 ||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나주시 출신 인물]][[분류:함평 이씨]][[분류:1922년 출생]][[분류:2011년 사망]][[분류: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출신 인물]][[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국민훈장 무궁화장]][[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사립대학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