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제국 황실의 후손]][[분류:도정궁 종주]][[분류:조선귀족 후작]][[분류:일본의 후작]][[분류:1887년 출생]][[분류:1962년 사망]][[분류:종로구 출신 인물]][[분류:조선 귀족의 자녀]] ---- [include(틀:조선귀족)] [include(틀:역대 도정궁 주인)] ---- ||<-3> [[조선귀족|'''{{{#ffffff 조선귀족 후작}}}''']]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2642B, #397431 20%, #397431 80%, #32642B); color: #FFD400" '''도정궁 제16대 궁주'''}}} || ||<-3> '''{{{#fff 조선 중종의 16대손[br]{{{+1 이덕주 | 李德柱}}}}}}''' || ||<-2> '''[[본관|{{{#ffffff 본관}}}]]''' ||<(> [[전주 이씨|전주]](全州) || ||||<:> '''[[이름|{{{#ffffff 이름}}}]]''' ||<(> 덕주(德柱) || ||||<:> '''[[자(이름)|{{{#ffffff 자}}}]]''' ||<(> 흥여(興汝)[[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icro21c&logNo=2020302386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 ||||<:> '''{{{#ffffff 생부}}}''' ||<(> [[창산군]] || ||||<:> '''{{{#ffffff 생모}}}''' ||<(> [[남양 홍씨]](南陽 洪氏)[* [[홍종우]]의 딸.] || ||||<:> '''{{{#ffffff 부인}}}''' ||<(> 숙부인 [[한산 이씨]](韓山 李氏)[* [[명성황후]]의 외종질녀(외사촌오빠의 딸).][br] 숙부인 [[전의 이씨]](全義 李氏)[[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icro21c&logNo=2020302386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 ||||<:> '''{{{#ffffff 생몰기간}}}''' ||[[1887년]] [[6월 28일]] ~ [[1962년]] [[11월 7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제국]]의 [[황족]] 출신 [[관료]]이자 [[일제강점기]]의 [[조선귀족]]. [[선조(조선)|선조]]의 아버지 [[덕흥대원군]]의 종가 [[도정궁]]의 15대 사손(嗣孫)[* 제사를 받드는 후손이란 뜻이다.]이자 16대 주인이며 [[창산군|창산군 이해창]]의 [[장남]]이다. == 생애 == === 조선 및 대한제국 === 1887년([[고종(대한제국)|고종]] 24년)[* 고종은 이덕주의 [[증조|증조할아버지]] 뻘이나 나이는 35살 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즉, 이덕주는 [[이원(1962)|이원]] 황사손과 같은 [[항렬]]이다.] 6월 28일에 [[한성부]] [[사직동(종로구)|사직동]] [[도정궁]]에서 태어났다. 주로 역임한 관직은 국가 제향시설의 관리였다. [[사직단|사직]]과 [[영희전]]을 비롯하여 [[목릉]][* [[선조(조선)|선조]]와 [[의인왕후]], [[인목왕후]]의 능.], [[정릉(서울 성북)|정릉]][* [[태조(조선)|태조]]의 비 [[신덕왕후]]의 능.], [[동구릉#s-3.8|경릉]][* [[헌종(조선)|헌종]]과 [[효현왕후]], [[효정왕후]]의 능.], [[의릉(조선 경종)|의릉]][* [[경종(조선)|경종]]과 [[선의왕후 어씨|선의왕후]]의 능.], [[서오릉#s-2.4|익릉]][* [[숙종(조선)|숙종]]의 첫 왕비 [[인경왕후]]의 능.], [[동구릉#s-3.7|원릉]][* [[영조]]와 [[정순왕후(조선 영조)|정순왕후]]의 능.]의 참봉을 지냈다. 이외에 경효전[* [[명성황후]]의 혼전이다.] 사승과 태복시[* 국가에서 사용하는 [[말]]과 [[목장]], [[수레]]를 관리하던 곳.] 주사, 태자시강원[* [[황태자]] [[교육]]을 담당하던 곳.] 시종관을 역임했고 조경단[* [[전주 이씨]] 시조 [[이한(신라)|이한]]의 [[위패]]를 모신 장소.]을 수리한 공으로 상을 받기도 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4403004_005|#]] [[고종(대한제국)|고종]] 퇴위 직전인 1907년([[광무]] 11년) 5월에는 정3품 비서감승 직을 맡았다.[[http://sjw.history.go.kr/id/SJW-K44030280-00200|#]] === 일제강점기 === 1910년([[융희]] 4년)에 일어난 [[경술국치]] 이후 이덕주의 아버지 [[창산군|이해창]]은 [[일본 제국|일본 정부]]에게서 [[조선귀족]] [[후작]] 작위를 받았다. 그리고 4년 뒤 이덕주는 이해창의 법적 상속자라 해서 종5위를 받았다. 1915년 10월에는 일본[[적십자사]] 특별회원으로 추천받았다. 그해 11월에는 [[일본 제국|일본 정부]]에게서 다이쇼대례기념장, 1928년 11월에는 쇼와대례기념장을 받았다. 1945년 3월에 아버지 [[창산군|이해창]]이 사망하자 [[조선귀족]] [[후작]] 작위를 물려받았다. 그리고 5달 뒤에 [[조선]]은 [[8.15 광복|해방]]되었다. === 광복 이후 === [[8.15 광복]] 이후인 1949년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된 뒤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이후 1950년대에 [[도정궁]]을 매각했다. 1962년 11월 7일 오전 0시 30분에 [[서울]] [[종로구]] 당주동 자택에서 사망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110800209208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2-11-08&officeId=00020&pageNo=8&printNo=12623&publishType=00020|#]][* 기사 원문에는 이름이 이흥여로 적혀있다. 흥여는 그의 [[자(이름)|자]]이다.] 향년 75세.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덕송리에 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들어갔다.[[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8D%95%EC%A3%BC_(1887%EB%85%84)|#]] == 가족 == 어머니 [[남양 홍씨]]는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을 암살한 [[홍종우]]의 딸이다. 결혼을 총 두 번 했다. 첫째 아내 한산 이씨는 [[명성황후]]의 외사촌오빠인 이경직의 딸로, 이덕주보다 1살 연상이었으며 1913년에 사망했다. 이후 11살 연하인 [[전의 이씨]] 부인과 [[재혼]]했다.[[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icro21c&logNo=2020302386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장남]] 이우갑(李愚甲)은 1918년 3월에 태어났고 1950년 5월에 [[참척|아버지보다 먼저 죽었다.]][[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icro21c&logNo=20203024305&parentCategoryNo=&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그래서 이덕주 사후 [[도정궁]] 사손 자리는 이우갑의 장남 이영기(李英基)가 물려받았다. 이영기는 1946년생으로 2022년 현재까지 생존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