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제국 황실의 후손]][[분류:전주 이씨 은전군파]][[분류:1923년 출생]][[분류:1952년 사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조선귀족 후작]][[분류:조선 귀족의 자녀]][[분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출신]] ---- [include(틀:조선귀족)] ---- ||<-2> [[조선귀족|'''{{{#fff 조선귀족 후작}}}''']] || ||<-2> '''{{{#fff 대한제국 장조의 5대손[* 실제로는 조선 선조의 13대손이다. 후술하겠지만, 그의 할아버지 완평군이 장조(사도세자)의 서3자 은전군의 양손자로 입적하였기에, 은전군 일가의 마지막 군주(추존 군주 포함)이었던 장조(사도세자)를 기준으로 적었다. 수정하지 말 것.][br]{{{+1 이덕용 | 李德鎔}}}}}}''' || || '''{{{#ffffff 이름}}}''' ||<(> 이덕용 (李德鎔) || || '''{{{#ffffff 본관}}}''' ||<(> [[전주 이씨]] [[은전군]]파 || || '''{{{#ffffff 출생}}}''' ||<(> [[1923년]] [[4월 4일]] || || '''{{{#ffffff 사망}}}''' ||<(> [[1952년]] [[9월 16일]] {{{-1 (향년 29세)}}} || || '''{{{#ffffff 작위}}}''' ||<(> [[조선귀족]] [[후작]] || || '''{{{#ffffff 생부}}}''' ||<(> [[의양군]] || || '''{{{#ffffff 적모}}}''' ||<(> 정부인 류씨(柳氏) || || '''{{{#ffffff 비고}}}''' ||<(> [[친일인명사전]] 등재||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의 [[조선귀족]]. [[정조(조선)|정조]]의 이복동생 [[은전군]]의 현손이며, [[의양군|의양군 이재각]]의 [[서자]]이자 [[외아들]]이다. 생모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본적]]은 [[경기도]] [[경성부]] [[종로구]] 계동이다. 원래 이덕용의 가계는 '''[[선조(조선)|선조]]의 9남 [[경창군]]의 후손'''이다. 이덕용이 태어난 시기는 조선 왕실 직계와 갈라진 지 300년이 지난 때였기에 이덕용은 원칙적으로 [[종친]]이 될 수 없었다. 그러나 이덕용의 할아버지 [[완평군|완평군 이승응]]이 1860년([[철종(조선)|철종]] 11년)에 [[사도세자]]의 [[서자]] [[은전군]]의 [[양자(가족)|양자]]로 입적했기 때문에 이덕용은 태어날 때부터 왕실과 가까운 친척이었다. 그러나 [[작호]]는 받지 못했다. 왜냐하면 [[족보]] 상 이덕용의 가계에서 마지막으로 [[왕]][* [[추존]] 왕 포함.]이었던 사람은 5대조 [[사도세자|장조(사도세자)]]인데, 법적으로 임금의 4대손까지만 [[황족]]으로 인정했기 때문이다. [[항렬]]로는 [[순종(대한제국)|순종황제]], [[의친왕]]의 동생 뻘이나, 나이는 '''50여 세''' 가까이 차이난다. 왜나하면 아버지 이재각은 [[완평군]]이 늦게 낳은 아들이고, 이덕용 또한 이재각이 49세에 낳은 [[늦둥이]]이기 때문이다.[* 특히 세대 진행이 빨랐던 [[도정궁]]가([[덕흥대원군]] 종가)의 같은 항렬인 [[경원군(1842)|경원군 이하전]]과 비교하면 나이 차이가 더욱 두드러진다. 무려 '''81살'''(...) 차이다.] == 생애 == 12세이던 1935년 5월에 아버지 [[의양군|이재각]]을 여의었다. 비록 [[서자]]이지만 이재각의 유일한 아들이라서 그해 7월에 이재각의 [[조선귀족]] [[후작]] 작위와 은사공채에 대한 권리를 물려받았다. 1940년에 일본 기원 2600년 축전에 초대받았고[[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7HIL_A1923_1_0024539|#]] 경성공립직업학교 전수과 기계과에 입학했다.[[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8D%95%EC%9A%A9_(1923%EB%85%84)|#]] 졸업 후 1943년 4월에는 일본 정부에게서 종5위로 서임받았다.[[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7HIL_A1923_1_0024539|#]] [[8.15 광복]] 이후인 1949년 8월 30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연행되어 조사를 받았다. 하루 뒤인 8월 31일 불구속 기소 처분을 받았고 특검부로 송치되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908310032920201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9-08-31&officeId=00032&pageNo=2&printNo=920&publishType=00020|#]]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려져있지 않다. == 사망과 이후 == [[6.25 전쟁]] 중이던 1952년 9월 16일에 사망했다. 친일파 708인 명단의 조선귀족 부문,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작/습작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모두 이름을 올렸다.[[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8D%95%EC%9A%A9_(1923%EB%85%84)|#]] == 가족 == 알려진 것이 없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달용, version=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