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Risk of Rain 2/생존자]] [include(틀:Risk of Rain 2 자료)] [include(틀:Risk of Rain 2/생존자)] [목차] ||<-2> {{{#ffffff '''해금조건'''}}} || || 4종류의 이단 아이템[* 이단의 예지, 이단의 정수, 이단의 갈고리, 이단의 발걸음] 획득 || ||<-3>[[파일:ror2_heretic.jpg|width=300]]|| ||<-3> {{{+1 {{{#ffffff '''이단자'''}}} }}}[br]{{{#ffffff 비정통적인 반항자}}} || || {{{#ffffff '''구분'''}}} || {{{#ffffff 기본 능력치}}} || {{{#ffffff 레벨당 상승치}}} || || '''최대 체력''' || '''440''' || +132 || || '''공격력''' || '''18''' || +3.6 || || '''체력 회복''' || '''-6/s''' || -1.2 || || '''속도''' || 8m/s || - || || '''방어력''' || 0 || - || >"..그렇게 그들은 떠났다, 씁쓸한 복수와 깊은 상실을 이룬 채." == 개요 == >'''이단자는 특별한 방법으로만 이용이 가능한 강력한 캐릭터입니다.'''[* 번역 파일에서 찾아볼 수 있는 캐릭터 설명. 게임 내에서는 볼 수 없다.] 선택 화면에서 선택할 수 없으며, 특정 아이템을 모아서 해당 플레이 동안 변신하는 방식으로만 플레이할 수 있는 생존자. 이 생존자의 정체는 프로비던스에 의해 4가지 아이템[* 눈(예지), 심장(정수), 팔(갈고리), 다리(발걸음)]으로 찢겨진 이단자 '쿠르스칸'이다. 아이템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특징 때문에 미스릭스에 의하여 이단자 아이템을 빼앗기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3번까지 점프할 수 있으며, 기본 스펙이 엄청나게 우월하지만[* 기존 생존자들 중에서 가장 높은 체력을 보유한 생존자는 [[MUL-T]](200+레벨당 60), 가장 높은 공격력을 보유한 생존자는 [[애크리드(Risk of Rain 2)|애크리드]](15+레벨당 3)였다. 그러나 그에 대한 반등으로 지속적으로 체력이 감소된다. 보통 이단자 플레이를 하고자 한다면 방어용 마이크로봇을 기본으로 장비하고 있는 [[캡틴(Risk of Rain 2)|캡틴]]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 스킬 == === 기타(Misc) === ||<-2> [[갈까마귀(시)|{{{#6D638F '''두 번 다시는(Nevermore)'''}}}]] || ||[[파일:Nevermore.png|width=64]]||{{{#ffffff 꽥꽥거리며 근엄하게 대답합니다.}}} [br]{{{#838AA0 쿨타임: 1초}}}|| 기본 스킬. 이단자의 모든 슬롯을 차지하는 기본 스킬이며, 일반적으로는 이단자 아이템에 의해 볼 수 없다. 정화 웅덩이, 질서의 성소, 자기 중심성을 이용해 이단자 아이템을 제거한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면 '꽥'하는 소리만 나고 의미 있는 효과는 없다. === 주요(M1 / RT) === ||<-2> {{{#6D638F '''굶주린 눈길(Hungering Gaze)'''}}} || ||[[파일:Hungering_Gaze.png|width=64]]||{{{#ffffff 약간의 시간이 흐른 후 폭발하는 {{{#95cde5 추적 파편}}}들을 발사하여 {{{#e3c761 120%의 피해}}}를 입힙니다.}}} [br]{{{#838AA0 쿨타임: 2초[br]발동 계수: 각 파편당 0.1, 폭발 시 1}}}|| *[[파일:Visions_of_Heresy.png|width=25]]이단의 예지 아이템으로 교체할 수 있는 주요 스킬. *기본적으로 몬스터를 유도하기 때문에 에임이 쉬운 편이긴 하지만 기동성이 좋은 몬스터들에게는 빗나가기가 쉽다. 따라서 정교한 사용이 요구된다. 또한 스킬을 적중시켜도 바로 데미지가 들어가지않고 약간의 텀이 있기 때문에 처음 해당 스킬을 사용할 경우 적응이 안될 수 있다. 그러나 딜 자체는 괜찮은 편. === 보조(M2 / LT) === ||<-2> {{{#6D638F '''절단의 소용돌이(Slicing Maelstrom)'''}}} || ||[[파일:Slicing_Maelstrom.png|width=64]]||{{{#ffffff {{{#e3c761 175%}}} 피해를 입히는 칼날들로 이루어진 공을 충전합니다. 잠시 지연된 후에 폭발하여 모든 적에게 {{{#e3c761 700%}}} 피해를 입히고 {{{#e3c761 발을 묶습니다}}}.}}} [br]{{{#838AA0 쿨타임: 5초[br]발동 계수: 소용돌이 타수당 0.2, 폭발 시 1}}}|| *[[파일:Hooks_of_Heresy.png|width=25]]이단의 갈고리 아이템으로 교체할 수 있는 보조 스킬. *소용돌이는 캐릭터를 관통하고 초당 5회 적을 공격하며, 충전해서 발사하면 투사체가 더 멀리, 더 빠르게 날아간다. 그러나 근접에서 사용해야하고 공중 몬스터들에게 명중시키기가 힘들기 때문에 활용이 쉽지 않아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잦은 편. === 유틸리티(Shift / LB) === ||<-2> {{{#6D638F '''흐린그림자(Shadowfade)'''}}} || ||[[파일:Shadowfade.png|width=64]]||{{{#ffffff 서서히 사라지며 {{{#95cde5 무형}}}의 형태가 되어 {{{#95cde5 이동 속도가 증가}}}합니다. {{{#9CE562 최대 체력의 25%}}}가 즉시 {{{#9CE562 치유}}}됩니다.}}} [br]{{{#838AA0 쿨타임: 6초}}}|| *[[파일:Strides_of_Heresy.png|width=25]]이단의 발걸음 아이템으로 교체할 수 있는 유틸리티 스킬. *툴팁에는 최대 체력의 25%가 즉시 치유된다고 적혀있지만, 실제로는 틱당 체력의 1.3%를 회복하여 총 18.2% 회복한다. 지속시간 동안 캐릭터의 히트박스가 사라지고 다른 스킬을 사용할 수 없으며, 임의로 스킬을 취소할 수 없다. *이단자의 타 스킬들과 별개로 아이템 중첩시 쿨타임이 유일하게 증가하지 않고 지속시간만 늘어나지만, 중첩이 과도할 경우 강제적으로 전투이탈을 하게 될 시간 또한 늘어나게 되므로 자신의 빌드에 따라 알맞게 중첩하는 것이 좋다. === 특수(R / RB) === ||<-2> {{{#6D638F '''붕괴(Ruin)'''}}} || ||[[파일:Ror2_Ruin.png|width=64]]||{{{#ffffff 피해를 입히면 붕괴 중첩 한 개를 추가시킵니다. 이 스킬을 발동하면 모든 붕괴 중첩이 무한 범위로 폭발하여, 300% 피해를 입히고 추가로 붕괴 중첩 하나당 120% 피해를 입힙니다.}}} [br]{{{#838AA0 쿨타임: 8초[br]발동 계수: 1}}}|| *[[파일:Essence_of_Heresy.png|width=25]]이단의 정수 아이템으로 교체할 수 있는 특수 스킬. *스킬의 쿨타임이 도는 동안에는 적에게 붕괴를 중첩시킬 수 없다. == 아이템 운영 == 이단자는 우월한 능력치와 준수한 스킬들 덕분에 거의 모든 아이템들과 궁합이 잘맞는다. 따라서 솔로 플레이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아이템들을 조합하면 되고, 멀티 플레이에서는 상황에 따라서 캐리를 맡거나 아군들이 먹고 남은 아이템들을 주워먹으면서 보조하는 식으로도 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이단자의 경우 타 생존자들과는 달리 체력재생률이 음수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체력이 줄어든다는 점이 있는데, 이는 치유관련 아이템이나 루나 아이템 중 초월을 올리는 것으로 상쇄할 수 있다. 그러나 치유 관련 아이템이 없더라도 쉬프트 스킬을 사용하면 회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식모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면 컨트롤로 충분히 극복이 가능하다. === 추천 아이템 === ==== 디버퍼 빌드 ==== ||[[파일:Hungering_Gaze.png|width=64]][[파일:Slicing_Maelstrom.png|width=64]]|| 무난하게 쓸 수 있는 빌드. 높은 기본 스펙과 함께 계수가 높은 스킬로 딜링을 하며 디버프 부여하는 아군보조 포지션으로 운영할 수 있다. 해당 빌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아이템들은 밑에서 소개될 여러 빌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빌드를 바꿔도 무방하다. *'''티어 1''' *[[파일:ror2회피인형.png|width=25]] 힘들었던 시절: 이단자의 생존력을 증가시킨다. *[[파일:ror2삼각단검.png|width=25]] 삼각 단검: 높은 타수 덕분에 빠른 속도로 출혈 스택을 쌓을 수 있다. *[[파일:ror2민달팽이.png|width=25]] 신중한 민달팽이: 발동 시 2중첩부터 체력이 감소하지 않고, 3중첩부터는 회복된다. 이단자의 체력 감소를 상쇄시키기 위한 수단 중 하나. *[[파일:ror2방어막생성기.png|width=25]] 개인용 방어막 생성기: 기본 체력이 높아서 효율이 좋다. *[[파일:ror2보조탄창.png|width=25]] 보조 탄창: 보조 스킬을 더욱 자주쓰게 되어 안정적인 딜링에 도움이 된다. *[[파일:ror2가솔린.png|width=25]] 휘발유: 범위 딜을 보충해줄 수 있고 화상 디버프도 부여할 수 있다. *'''티어 2''' *[[파일:위스ㅂ.png|width=25]] 도깨비불: 휘발유와 동일. *[[파일:ror2탄약띠.png|width=25]] 탄약띠: 이단자의 스킬은 쿨타임이 짧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인 딜링을 위해 한 두개 정도 챙겨주는 것도 좋다. *[[파일:ror2캬로.png|width=25]][[파일:ror2루널드.png|width=25]] 루널드&캬로의 반지: 스킬 피해를 증폭시켜준다. *[[파일:ror2시간방울.png|width=25]] 시간의 방울: 이동속도를 감소시켜 스킬 적중률을 높여주고 죽음의 표식 스택을 중첩시키기도 용이하기 때문에 이단자와 궁합이 좋다. *[[파일:ror2밀랍.png|width=25]] 밀랍 메추라기: 이단자의 3단 점프는 기본 점프 판정을 받기 때문에 점프력을 강화할 수 있다. *[[파일:ror2뿔피리.png|width=25]] 전투의 뿔피리: 아래에 서술한 장비들과 익사자를 동시에 쓸 경우 효율이 괜찮다. 병 속의 혼돈과도 궁합이 좋다. 상황에 따라서 사용하면 된다. *[[파일:ror2데스마크.png|width=25]] 죽음의 표식: 이단자는 자체적으로 두 가지의 디버프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휘발유와 같은 아이템과의 시너지나 아군의 딜링 보조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궁합이 좋다. *'''티어 3''' *[[파일:57_Leaf_Clover.png|width=25]] 57잎 클로버: 굶주린 눈길의 빠른 공격속도를 통한 아이템 발동 확률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파일:Alien_Head.png|width=25]] 외계인 머리: 모든 스킬에 쿨타임이 있는 이단자 특성상 도움이 된다. *[[파일:Item_Bottled_Chaos.webp|width=25]] 병 속의 혼돈: 아이템과 장비를 가리지 않는 이단자에게 있어서 나쁘지 않은 아이템. 굳이 찾아서 쓸 필요는 없지만 타 캐릭들에 비해서 잘 쓸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 전투의 뿔피리와도 궁합이 좋다. 그러나 아군에게도 피해를 줄 경우가 있기 때문에 사용 전에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보스''' *[[파일:Titanic_Knurl.png|width=25]] 거인의 혹: 체력 보충을 할 수 있고 체력 재생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단자의 체력 감소를 어느 정도 상쇄시킬 수 있다. *[[파일:Mired_Urn.png|width=25]] 진흙 항아리: 유지력과 딜링 양면에 좋고, 타르 범벅 디버프를 부여하기 때문에 죽음의 표식 스택을 쌓는데도 도움이 된다. *'''루나''' *[[파일:Transcendence.png|width=25]] 초월: 체력을 전부 방어막으로 전환하고 최대 체력을 50%(중첩당+25%)를 올려주는 아이템. 이단자의 디버프를 없애주면서 체력량을 단기간에 뻥튀기할 수 있고, 흐린 그림자(2중첩 기준) 한 번으로 6초를 벌 수 있다보니 방어막 충전시간인 7초를 채우기 쉬워서 시너지가 상당히 좋다. 그리고 초반에 집은 치유 아이템들이 무용지물이 되더라도 재활용기를 사용해서 찌꺼기로 변환하여 다른 아이템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찌꺼기를 아군에게 양도하여 보조할 수도 있다. *[[파일:Purity.png|width=25]] 순수: 모든 스킬에 쿨타임이 있는 이단자의 특성상 고정 2초 쿨감은 많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안좋은 결과 산출 디버프 때문에 발동형 아이템을 많이 올리는 빌드에서는 오히려 역시너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신중히 고려를 해야한다. *'''공허''' *[[파일:Safer_Spaces.png|width=25]] 더 안전한 공간: 한 번씩 큰 피해를 막아줄 수 있기 때문에 체력 유지에 도움을 준다. *[[파일:Weeping_Fungus.png|width=25]] 눈물 버섯: 질주하며 받는 힐로 체력 감소를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궁합이 좋다. *[[파일:Plasma_Shrimp.png|width=25]] 플라즈마 새우: 기본공격 속도가 빠른 이단자에게 보호막만 있다면 확정 발동하는 플라즈마 새우는 DPS 상승에 직결된다. 3단 점프와 흐린 그림자가 있어 전투 중 기동력이 준수하기에 보호막이 깎일 일도 그렇게 많지 않다. *[[파일:Tentabauble.png|width=25]] 촉수 방울: 몬스터들을 안정적으로 상대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중첩이 낮을 때도 높은 타수 덕분에 몬스터를 꾸준히 속박시킬 수 있다. *'''장비''' *[[파일:Gnarled_Woodsprite.png|width=25]] 주름진 나무의 정령: 사실상 이 장비 하나로 체력 감소를 상쇄시킬 수 있으며 쿨타임도 짧아서 익사자를 하나만 올려줘도 힐이 끊이지 않는다. 그러나 초월을 사용할 경우 무용지물이 된다. *[[파일:Royal_Capacitor.png|width=25]] 장엄한 축전기: 쿨타임이 20초밖에 되지 않는데다 적중시키기도 쉬워서 캬로&루널드의 반지를 비롯한 각종 피해 증가 아이템과의 시너지가 좋다. *[[파일:Forgive_Me_Please.png|width=25]] 제발 용서해줘: 그냥 사용해도 괜찮지만 익사자와 함께 사용하면 강력함이 배가 된다. 해당 장비를 사용하게 될 경우 적 처치 시 발동 아이템을 더 섞어주는 것을 추천한다. 상시발동을 위해서는 익사자와 연료 전지 합계 최소 5중첩이 요구되어 상황에 따라서 이를 모으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 지속 피해 빌드 ==== ||[[파일:Hungering_Gaze.png|width=64]]|| '''굶주린 눈길'''을 극대화시키는 빌드. 굶주린 눈길의 많은 타수(12타)를 통해 코만도와 같은 메커니즘의 딜링을 가능케한다. 그러나 굶주린 눈길에 2초의 쿨타임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단자의 3단 점프와 흐린 그림자를 활용하여 카이팅할 필요성이 있다. *'''티어 1''' *[[파일:ror2안경.png|width=25]] 렌즈 제작자의 안경: 다른 치명타 아이템들과 궁합이 좋기 때문에 중첩해두는 것이 좋다. *[[파일:ror2주사기.png|width=25]] 군인의 주사기: 굶주린 눈길의 공격속도를 극대화시켜 딜을 정교하게 넣을 수 있게 된다. *[[파일:ror2삼각단검.png|width=25]] 삼각 단검: 높은 타수 덕분에 빠른 속도로 출혈 스택을 쌓을 수 있다. *[[파일:ror2마비탄.png|width=25]] 마비 수류탄: 타수가 높고 빠른 평타로 인해 쉽게 발동시킬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파일:ror2접착폭탄.png|width=25]] 끈끈이 폭탄: 타수가 높고 빠른 평타로 인해 효율이 좋다. *'''티어 2''' *[[파일:ror2우쿨렐레.png|width=25]] 우쿨렐레: 다수전에 힘을 실어줄 수 있으며, 발동형 아이템과 시너지가 좋기에 활용하기 좋다. 폴리류트를 위한 초석이 되어주는 것도 장점. *[[파일:ror2포식본능.png|width=25]] 포식 본능: 공격 속도를 극대화해준다. *[[파일:ror2낫.png|width=25]] 수확꾼의 낫: 공격 속도가 빠른 만큼 낫의 치유를 많이 받을 수 있어 유용하다. 흡혈 씨앗으로 어느 정도 대체가 가능하다. *[[파일:ror2버저커.png|width=25]] 버저커의 견갑: 적 4마리 처치 시 이동 속도 50%, 공격 속도 100% 증가라는 버프를 부여한다. 발동 조건이 어렵게 보이지만 광역 피해를 주는 스킬이나 아이템을 이용하면 생각보다 간단히 발동할 수 있다. 한 개만 있어도 충분하다. *[[파일:ror2캬로.png|width=25]][[파일:ror2루널드.png|width=25]] 루널드&캬로의 반지: 스킬 피해를 증폭시켜준다. *[[파일:ror2데스마크.png|width=25]] 죽음의 표식: 이단자는 자체적으로 두 가지의 디버프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좋다. *[[파일:Item_Shuriken.webp|width=25]] 슈리켄: 공격 매커니즘과 빠른 공격속도가 잘 맞아 슈리켄 활용도가 좋다. 하나만 먹어도 반지 시리즈를 터뜨릴 수 있는 건 덤이다. *'''티어 3''' *[[파일:Brilliant_Behemoth.png|width=25]] 눈부신 베히모스: 타수가 많은 이단자의 모든 공격에 추가 범위피해를 넣어주는 좋은 아이템. 수류탄과의 시너지도 존재한다. *[[파일:57_Leaf_Clover.png|width=25]] 57잎 클로버: 빠른 공격속도를 통한 아이템 발동 확률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파일:Item_Symbiotic_Scorpion.webp|width=25]] 공생 전갈: 높은 타수 덕분에 빠른 속도로 몬스터들의 방어력을 깎아낼 수 있다. *'''보스''' *[[파일:Shatterspleen.png|width=25]] 폭발하는 비장: 높은 타수 덕분에 빠른 속도로 출혈 스택을 쌓을 수 있다. *[[파일:Molten_Perforator.png|width=25]] 마그마 천공기: 높은 타수 덕분에 빠른 속도로 화염 상태를 부여할 수 있다. *[[파일:Charged_Perforator.png|width=25]] 충전 천공기: 마그마 천공기와 유사한 아이템. 단일 딜이 더욱 강력하다는 차이가 있다. *'''루나''' *[[파일:Transcendence.png|width=25]] 초월: 위에서 언급한 이유와 동일. 지속적으로 딜을 넣기에는 초월을 가지 않는 편이 조금 더 유리하기 때문에 체력관리에 자신이 있으면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파일:Spinel_Tonic.png|width=25]] 첨정석 토닉: 파격적인 버프를 부여하는 장비이며 엄청나게 강화된다. 그러나 버프 종료 시 일정 확률로 발생하는 후유증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왠만하면 추천하지 않는다. 익사자와 연료 전지를 합쳐서 4개를 가게되면 버프가 끊기지 않고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토닉의 버프 중에 체력 회복량 +300%가 이단자의 음수 체력 회복량과 맞물리게 되면 체력 감소가 더욱 빨라져버리기에 체력관리에 주의를 해야한다'''. 초월을 올리게 되면 해당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공허''' *[[파일:Plasma_Shrimp.png|width=25]] 플라즈마 새우: 기본공격 속도가 빠른 이단자에게 보호막만 있다면 확정 발동하는 플라즈마 새우는 DPS 상승에 직결된다. 3단 점프와 흐린 그림자가 있어 전투 중 기동력이 준수하기에 보호막이 깎일 일도 그렇게 많지 않다. *[[파일:Tentabauble.png|width=25]] 촉수 방울: 몬스터들을 안정적으로 상대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중첩이 낮을 때도 높은 타수 덕분에 몬스터를 꾸준히 속박시킬 수 있다. *[[파일:Polylute.png|width=25]] 폴리류트: 발동형 아이템을 다수 획득하는 해당 빌드 이단자에게 특히나 시너지가 좋은 공허 아이템. *'''장비''' *[[파일:Gorag's_Opus.png|width=25]] 고라그의 작품: 자신과 아군 모두에게 이동 속도 50%, 공격 속도 100% 증가라는 버프를 부여한다. 루나 코인에 여유가 있다면 익사자와 함께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상시발동을 위해서는 익사자와 연료 전지 합계 최소 5중첩이 요구되어 상황에 따라서 이를 모으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 치유 빌드 ==== ||[[파일:Slicing_Maelstrom.png|width=64]]|| 지속적인 힐로 탱킹하면서 은쿠하나의 견해로 서브딜링을하는 빌드. 기본스펙이 높기 때문에 타 생존자들보다 생존력이 강하다. 해당 빌드는 근접전을 주로 하기 때문에 '''절단의 소용돌이'''를 주로 활용한다. 또한 힐을 메인 기믹으로 삼기 때문에 초월은 가지 않는다. *'''티어 1''' *[[파일:ror2회피인형.png|width=25]] 힘들었던 시절: 근접전을 주로 하는 이단자의 생존력을 증가시킨다. *[[파일:ror2몬스터이빨.png|width=25]] 몬스터 이빨: 근접에서 난전을 펼쳐야 하는 이단자에게 소량의 체력을 보충해주는 아이템. 체력 비례 회복이기 때문에 중첩해두면 의외로 쏠쏠하며 체력 감소를 어느 정도 보완해줄 수 있다. *[[파일:ror2메디킷.png|width=25]] 의료 키트: 몬스터 이빨과 동일. *[[파일:ror2보조탄창.png|width=25]] 보조 탄창: 근접에서 전투를 하기 때문에 보조 스킬을 더욱 자주쓰게 되어 안정적인 딜링에 도움이 된다. 다만 아이템이 갖춰질수록 보조 스킬이 안쓰이기 때문에 고중첩하지 않아도 좋다. *[[파일:ror2철판.png|width=25]] 반발성 방어구 철판: 힘들었던 시절과 동일. *'''티어 2''' *[[파일:ror2스텔스.png|width=25]] 옛 전쟁의 은폐 키트: 가끔씩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해줄 수 있는 아이템. 도움은 되지만 필수는 아니다. *[[파일:ror2반사.png|width=25]] 철조망: 근접에서 피격을 많이 받기 때문에 챙겨두면 도움이 된다. *[[파일:ror2데스마크.png|width=25]] 죽음의 표식: 이단자는 자체적으로 두 가지의 디버프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좋다. *'''티어 3''' *[[파일:N'kuhana's_Opinion.png|width=25]] 은쿠하나의 견해: 이단자는 기본적으로 체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꾸준하게 체력을 회복시킬 수 있어서 아이템 활용도가 높다. *[[파일:Rejuvenation_Rack.png|width=25]] 회춘의 선반: 체력 회복의 중요도가 높아서 효율이 좋다. *[[파일:Aegis.png|width=25]] 방패: 아이템만 갖춰지면 꾸준히 체력을 회복할 수 있어 임시 장벽을 유지하기 쉬우므로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보스''' *[[파일:Mired_Urn.png|width=25]] 진흙 항아리: 유지력과 딜링 양면에 좋고, 타르 범벅 디버프를 부여하기 때문에 죽음의 표식 스택을 쌓는데도 도움이 된다. *[[파일:Planula.png|width=25]] 플라눌라: 앞장서서 피해를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지력에 도움을 준다. *'''루나''' *[[파일:Corpsebloom.png|width=25]] 시체꽃: 치유량 2배를 댓가로 순간 회복을 0.2초 단위의 지속힐로 바꿔버리는 아이템. 초당 10%라는 제한이 커보이지만 지속적인 체력 감소가 있는 이단자에게는 오히려 좋은 상황이 자주 연출된다. 또한 은쿠하나와 회춘과의 시너지도 매우 뛰어나다. *'''공허''' *[[파일:Safer_Spaces.png|width=25]] 더 안전한 공간: 한 번씩 큰 피해를 막아줄 수 있기 때문에 체력 유지에 도움을 준다. *[[파일:Weeping_Fungus.png|width=25]] 눈물 버섯: 질주하며 받는 힐로 은쿠하나 딜을 뿌릴 수 있기 때문에 궁합이 좋은 편이다. *'''장비''' *[[파일:Gnarled_Woodsprite.png|width=25]] 주름진 나무의 정령: 위에서 언급했듯 이 장비 하나로 체력 감소를 상쇄시킬 수 있으며, 지속적인 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은쿠하나 딜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쿨타임도 짧아서 익사자를 하나만 올려줘도 힐이 거의 끊이지 않는다. ==== 익사자 + 팅크 빌드 ==== ||[[파일:Gesture_of_the_Drowned.png|width=64]][[파일:Helfire_Tincture.png|width=64]]|| 루나 아이템 '''익사자들의 손짓'''과 '''지옥불 팅크''' 활용하여 [[https://youtu.be/KaLDZH6BVhg|무한 장비 조합]]을 사용하는 빌드. 이단자로 해당 빌드를 할 경우 압도적으로 높은 기본 체력으로 데미지를 극대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타 생존자들에 비해 차이가 크다. 다만 체력 감소와 팅크의 자해딜이 중첩되어 체력관리가 상당히 어렵기에 방어 아이템을 갖추면서 천천히 올리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초월을 같이 사용할 경우 최대 체력에서 방어막을 제외하는 판정이 되어 적에게 주는 피해가 1이 되기 때문에 절대 같이 사용하지 말 것'''. 해당 빌드 외에도 다양한 익사자 활용 빌드가 존재하나 굳이 이단자로 할 필요성은 없기 때문에 생략. *'''티어 1''' *[[파일:ror2회피인형.png|width=25]] 힘들었던 시절: 지옥불 팅크로 인한 피해를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중첩을 할수록 도움이 된다. *[[파일:ror2메디킷.png|width=25]] 의료 키트: 힘들었던 시절과 동일, 능동적으로 발동시킬 수 있어 궁합이 좋다. *[[파일:ror2가솔린.png|width=25]] 휘발유: 지옥불 팅크 범위 밖에 있는 몬스터들에게도 딜을 넣어줄 수 있어 좋다. *[[파일:ror2철판.png|width=25]] 반발성 방어구 철판: 지옥불 팅크로 인한 피해를 줄여주기 때문에 궁합이 좋다. *'''티어 2''' *[[파일:위스ㅂ.png|width=25]] 도깨비불: 휘발유와 동일. *[[파일:ror2인퓨전.png|width=25]] 주입 약물: 체력을 증가시켜 안정성을 늘려줌과 동시에 지옥불 팅크의 딜 또한 강화시킬 수 있다. *[[파일:ror2장미.png|width=25]] 장미 버클러: 질주 중에 지옥불 팅크의 피해를 줄여주기에 이동하면서 딜을 넣는 일이 잦은 해당 빌드 특성상 궁합이 좋다. *[[파일:ror2반사.png|width=25]] 철조망: 팅크의 피해에 발동이 되기 때문에 챙겨두면 딜을 보충할 수 있다. *[[파일:ror2데스마크.png|width=25]] 죽음의 표식: 이단자는 자체적으로 두 가지의 디버프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좋다. *[[파일:Item_Ignition_Tank.webp|width=25]] 점화 탱크: 지옥불 팅크의 딜이 화상 피해이기 때문에 딜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이 받는 피해 또한 늘어난다는 점을 주의할 것. *'''티어 3''' *[[파일:Interstellar_Desk_Plant.png|width=25]] 우주 관상용 식물: 이동하면서 광역딜로 적을 처치하는 빌드 특성상 발동시키기 쉬우며 장판 힐로 유지력도 증가시킬 수 있다. *[[파일:Item_Bens_Raincoat.webp|width=25]] 벤의 레인코트: 디버프 하나를 방지하여 지옥불 팅크의 피해 부담을 어느 정도 덜어준다. 다만 5초마다 터지기 때문에 디버프를 완전히 막아줄 수는 없다. *'''보스''' *[[파일:Mired_Urn.png|width=25]] 진흙 항아리: 다수의 적을 상대할 때의 딜을 보충할 수 있고, 타르 범벅 디버프를 부여하기 때문에 죽음의 표식 스택을 쌓는데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항아리의 회복효과 하나로는 지옥불 팅크의 피해와 이단자의 체력 감소 둘을 보완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래도 있으면 도움이 된다. *[[파일:Planula.png|width=25]] 플라눌라: 지옥불 팅크로 인해 지속적으로 데미지를 받기 때문에 유지력에 큰 도움을 준다. *'''루나''' *[[파일:Gesture_of_the_Drowned.png|width=25]] 익사자들의 손짓: 해당 빌드의 핵심 아이템1. 장비의 쿨을 50%(중첩당+15%)줄여주는 대신 장비가 자동으로 작동되는 효과. 지옥불 팅크와는 4중첩만 하면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하다. 익사자는 2중첩부터 쿨이 15%감소되기 때문에 루나코인이 부족한 유저들은 익사자 1개와 연료 전지 3개를 써도 무방하다. *[[파일:Helfire_Tincture.png|width=25]] 지옥불 팅크: 해당 빌드의 핵심 아이템2. 12초간 자신과 주변에 화상 피해를 부여하는 장비. 쿨타임은 45초. 아군에게도 피해가 가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솔로 플레이에서 사용할 것. *'''공허''' *[[파일:Weeping_Fungus.png|width=25]] 눈물 버섯: 질주하며 받는 힐로 유지력을 올릴 수 있다. === 비추천 아이템 === 이단자는 게임 내 거의 모든 아이템들을 잘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추천 아이템은 없는 편이다. 다만 빌드에 따라 궁합이 안맞는 아이템은 존재하기에 주의할 필요는 있다. *'''루나''' *[[파일:Shaped_Glass.png|width=25]] 모양이 있는 유리: 이단자의 체력 감소율은 체력 비례가 아닌 고정수치이기 때문에 유리를 가도 체력 감소율이 줄어들지 않는다. *[[파일:Item_Egocentrism.webp|width=25]] 자기 중심성: 이단자 아이템이 전환될 경우 스킬도 함께 사라지기 때문에 사실상 행동불능이 된다. == 평가 == === 장점 === *'''우월한 기본 능력치''' 압도적으로 높은 체력, 타 생존자들보다 빠른 이동속도와 3단점프, 아이템 효과를 더욱 강력하게 해주는 높은 공격력을 지녔다. 체력 재생량과 방어력을 제외한 모든 능력치에서 다른 모든 생존자들보다 크게 우월하다. *'''강력한 스킬들''' 이단자 아이템으로 얻는 스킬들은 전부 훌륭한 성능을 갖고 있다. 유도 성능이 존재하는 굶주린 눈길, 적의 발을 묶고 강력한 피해를 주는 절단의 소용돌이, 회복+무적+비행의 삼신기를 지닌 이동기 흐린그림자, 높은 타수의 스킬들로 빠르게 중첩해서 한 번에 터트릴 수 있는 붕괴. 스킬들의 성능이 기본적으로 탄탄한데다 캐릭터 자체 능력치가 매우 좋기 때문에, 이단 세트를 완성시키면 갖고 있는 아이템 만으로도 어지간히 클리어 각을 세울 수 있다. 이단자 아이템 스택을 쌓는 것으로 스킬 자체의 성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기에[* 단 아래에 서술한 것처럼 스킬 성능이 증가하는 동시에 쿨타임도 증가하므로 이단자 아이템을 더 먹는 것은 그다지 좋지 않다.] 스킬들의 유통기한을 유동적으로 늘릴 수도 있다. *'''최종보스전에서의 이점''' 이단자는 [[Risk of Rain 2/몬스터#s-3.13|최종보스전]]에서 구성 아이템을 뺏기지 않는다. 때문에 타 생존자들에 비해 공백기 동안 살아남기 쉽다. === 단점 === *'''지속적인 체력 감소''' 체력 재생량이 음수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체력이 감소하며, 흐린그림자의 회복이나 [[Risk of Rain 2/아이템/티어 1#s-2.10|신중한 민달팽이]], 주름진 나무의 정령 등의 다른 아이템으로 재생량을 커버쳐야 한다. 피해를 받는 판정도 아니라서 철조망이나 플라눌라 등의 효과도 발동시키지 않고, 개인용 보호막을 둘러도 순수 체력만 깎인다. 이는 [[Risk of Rain 2/아이템/루나#s-2.3|초월]]을 획득하여 상쇄할 수 있다. *'''낮은 접근성''' 성능 외적인 단점이지만, 한번 플레이하는 데에 루나 코인이 너무 많이 소모된다. 확정적으로 빠르게 변신하기 위해선 최소 9개[* 뉴트 제단(1) + 시장에서 4피스 (2x4) = 9코인. 이마저도 시장에서 루나 장비가 나오면 코인을 더 사용해야 한다.], 루나 꼬투리만 사용하면서 변신하기 위해선 최소 4개[* 물론 이 경우엔 상당한 시간과 운이 필요하다. 게다가 꼬투리에서도 루나 장비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운이 없으면 코인 5~6개를 쓰고도 변신에 실패할 수 있다.]의 코인이 소모되며, 해금할 수 있는 생존자가 아니라서 한번 플레이할 때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거부감이 들게 된다. 이로 인해 이단자라는 생존자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기 힘들다. == 기타 == *이단자의 생존력의 핵심은 적절한 타이밍에 사용되는 흐린 그림자 스킬에 있다. 흐린 그림자 스킬로 몬스터의 공격을 무시하면서 체유로 체력 감소를 상쇄시킬 수 있다. *이단자의 체력 감소는 난이도에 따라 바뀌는데, 가장 쉬운 난이도인 '''이슬비'''에서는 체력 감소가 증폭되는 반면 가장 어려운 난이도인 '''몬순'''에서는 체력 감소가 줄어든다. *이단자의 체력 감소는 피격 판정이 아니기 때문에 체력 감소에 대해서 '''방어구 철판''', '''철조망''', '''플라눌라'''와 같은 아이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위와 같은 이유로 체력 감소로 체력이 25%아래로 내려가게 되어도 '''파워 엘릭서'''나 '''섬세한 시계'''의 효과는 발동되지 않는다. *이단자는 체력 감소 때문에 낙하 데미지에 특히 더 취약하다. 땅에 떨어지기 전에 흐린 그림자를 사용해도 낙하 데미지는 적용되기 때문에 이단자를 플레이할 떄 주의할 필요가 있다[* 흐린 그림자 스킬은 히트박스를 없애고 직접적인 피격 데미지를 없애는 것만 가능하다.]. *이단자는 미스릭스와의 마지막 대결 중 몇 가지의 특한 상호작용을 볼 수 있다. *미스릭스 4페이즈 시 아이템을 흡수 할 때 이단자 아이템을 가져가지 않기 때문에 변신하기 전 생존자로 돌아가지 않는다. ==# 기록 정보 #== ||<#3E4E5B>{{{#BEC4D0 컨택트 라이트의 화물칸 중 한 곳에 푸른 섬광이 번쩍였다. 그 다음 함선에 일어난 혼돈은 완벽하게 주의를 돌려 주었다. 쿠르스칸은 포탈 밖으로 나오자마자 몸을 숙이고 질주했다. 그녀에겐 시간이 없었다. 그녀는 포화와 불덩이를, 유랑자의 에너지와 내장 보안 시스템의 발사체를 피해 움직였다. 무엇도 깃털 달린 형체에 신경을 쓰지 않았고, 그녀는 닫히는 방폭문을 빠른 속도로 통과했다. 그녀는 함선의 복도를 빠르게 달려갔다. 인간의 함선에 탄 건 처음이었지만, 그녀는 벽 속의 전자기장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들이 어디에서 하나로 합쳐지는지도. 그녀는 환기구로 몸을 던졌다. 선장은 그녀가 통제실에 불쑥 나타난 다음에야 그녀의 존재를 알아차렸다. 선장이 피스톨에 손을 뻗는 동안 그녀는 두 개의 바람칼날을 날렸다. 잠시 후 선장은 바닥에 쓰러졌다. 그녀는 그대로 몸을 움직여 제어 패널에 달려들었고, 두 발은 모니터들을 뚫어버렸다. 그녀에게는 필요 없었으니까. 민첩하게 움직이는 발톱 달린 손가락들이 키패드를 찢어발겼다. 그녀는 부품들을 빠르게 분해하고 새로 연결했고, 그녀의 깃털 달린 파우치에 손을 뻗어 브리지와 기타 전자 장비를 꺼냈다. 다양한 콘덴서들이 바닥에 떨어졌다. 이 함선은 거대했지만 복잡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여전히 날 수 있다는 점이었다. 하지만 그녀는 서둘러야 했다, 안 그러면 그가... 그녀가 생각을 마치기도 전에, 그가 번개와 함께 나타났다. 파란색과 녹색의 빛이 그의 검에 반사되어 함교를 비추었다. 망토를 펄럭이며, 프로비던스의 발이 사뿐하게 바닥을 디뎠다. 쿠르스칸은 다시 고개를 숙였고, 두 손은 여전히 패널을 찢고 있었다. 그는 그녀가 예상한 것보다 훨씬 빨랐다. 하지만 그라 해도... 그녀의 마지막 생각은 결정질 칼날에 곧바로 끊겨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