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이누야마 성}}}[br][ruby(犬, ruby=いぬ)][ruby(山, ruby=やま)][ruby(城, ruby=じょう)] | Inuyama Cast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stle_in_Inuyama.jpg|width=100%]]}}} || ||<-2><#fff,#1f2023>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876em; letter-spacing: .1px" [[천수각|{{{#373a3c,#ddd ▲천수각}}}]]}}} || || '''형태''' ||[[성(건축)|성]], [[궁전]] || ||<|2> '''건설''' ||[[1537년]] ([[덴분]] 6년) || ||오다 노부야스 || || '''폐성''' ||[[1871년]] ([[메이지 시대|메이지]] 4년) || ||<|2> '''주소''' ||[[아이치현]] [[이누야마시]] 기타코켄 65-2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犬山城, 너비=100%, 높이=100)]}}}||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이치현]] [[이누야마시]]에 있는 성. 현존 천수가 [[일본의 국보|국보]]로 지정된 다섯 군데의 성 가운데 한 곳이다. 이누야마 성의 [[천수각]]은 3층 5계 구조로, 하부 2층까지는 1537년에 건설되었다. 당시의 성주는 [[오다 노부나가]]의 삼촌인 오다 노부야스였다. 이후 이누야마 성은 전국 시대의 정세에 따라 주인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이누야마 성은 [[전국 3영걸]]의 군세에 모두 공략을 당한 적이 있는데, 고마키 나가쿠테 전투 때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직접 들어온 적도 있다. 에도 시대에는 [[고산케|오와리 도쿠가와 가문]]의 가신인 나루세(成瀬) 가문이 성을 관리했다. [[폐번치현]]이 이루어지면서 대부분의 건물이 철거되었지만 천수각만은 살아 남았다. 성도 현의 소유로 넘어갔지만 1895년 일어난 지진 피해 복구 비용을 부담하는 대가로 나루세 가문이 성을 되찾았다. 지진으로 천수각이 반파되어 수리 비용으로 당시 돈 4,500엔의 거금이 들었다고. 2004년부터는 나루세 가문이 만든 재단이 관리하고 있다.[[https://meguri-japan.com/conversations/20210903_6402/|#]] '''백제성(白帝城)'''이라고도 한다. [[삼국지]]의 [[유비]]가 죽은 바로 그 [[백제성]]에서 유래했다. [[오규 소라이]]가 [[이백(시인)|이백]]의 시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에서 영감을 받아 그렇게 불렀다고 한다. 둘 다 강변의 언덕에 서 있는 성이라는 점에서는 비슷하다. >朝辭白帝彩雲間 千里江陵一日還 >아침 일찍 오색 구름 감도는 백제성에 이별하고 천리길 강릉을 하루만에 돌아왔네 >---- >이백, 조발백제성 == 찾아가는 길 == [[메이테츠]] [[이누야마역]] 또는 [[이누야마유엔역]]에서 걸어서 15분 정도 걸린다. 입장료를 내고 꼭대기 층까지 올라가 볼 수 있으며, 중간에 역대 성주의 초상화와 사진을 볼 수 있다. == 관련 항목 == * [[일본의 성]] * [[구마모토 성]] * [[나고야 성]] * [[마츠에 성]] * [[오사카 성]] * [[히메지 성]] * [[히코네 성]] [[분류:성채/일본]][[분류:일본의 국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