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엠넷 선정 레전드 100 아티스트)] ||<-2><#808080> '''{{{#fff {{{+1 이난영}}}[br]李蘭影 | Lee Nanyou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lee_nan_yeong.jpg|width=100%]]}}} || || '''본명''' ||이옥례 (李玉禮)|| ||<|2> '''출생''' ||[[1916년]] [[6월 6일]]|| ||[[전라남도]] [[목포시]][* 출생 당시 [[전라남도]] [[목포시|목포부]].]|| ||<|2> '''사망''' ||[[1965년]] [[4월 11일]] (향년 48세)||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 '''종교''' ||[[천주교]]([[세례명]] : 마리아)|| || '''데뷔''' ||[[1934년]] 노래 '불사조'|| ||<|2> '''가족''' ||아버지 이남순(李南順)[* '아마다미아'를 부른 가수 [[이남순]]과 동명이인이며, 한자까지 전부 똑같다.], 어머니 박소아(朴小兒) || ||배우자 [[김해송]], 오빠 이봉룡, 딸 [[김시스터즈|김숙자, 김애자]], 조카 [[김시스터즈|이민자]]|| [목차] [clearfix] == 개요 == >'''[[목포]]를 노래한 트로트 가수''' >---- >[[Mnet 레전드 아티스트 100]]에서의 소개문구 [[일제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한반도]]의 [[가수]]. == 생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난영 젊은 시절.jpg|width=100%]]}}} || || '''젊은 시절.''' || [[1916년]] [[전라남도]] [[목포시|목포부]]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오빠인 이봉룡과 함께 갖은 고생을 하며 자랐다. 16세 때에 [[제주도]]에서 삼천가극단의 순회 공연 중 막간무대에서 노래를 불렀다가 노래 실력을 인정받아 순회극단을 따라다니게 됐다. 삼천가극단이 일본에서 순회 공연을 할 때 [[작사가]]인 강사랑이 이난영의 재능을 알아보고는 오케레코드사의 사장인 이철에게 추천해서, [[1932년]]에 문호월의 곡 <고적>을 처음으로 취입했다.[* 그런데 다른 데서 먼저 선수를 치는 바람에 이철이 쌩고생을 해야 했다고…이 사건을 MBC 프로그램 [[타임머신]]에서 방영했다.] [[1934년]] <[[목포의 눈물]]>을 불러 크게 히트를 쳐서 가요계의 스타로 갑작스럽게 등장했다. [[1936년]], 21세에 [[작곡가]] [[김해송]]과 결혼했다. <목포는 항구다>, <다방의 푸른 꿈>[* [[1939년]]에 발표된 이 '다방의 푸른 꿈'이라는 곡은 한국 최초의 [[블루스]] 곡이다. 남편인 [[김해송]]이 이난영을 위해 작곡해준 곡이기도 하다. 동시대 미국의 [[재즈 스탠다드]]들에 견줄 수 있을 정도로 세련된 노래다.] 등으로 당대 블루스의 여왕이라는 명성을 얻을 만큼 유명인이 되었다. 1939년에는 '[[오빠는 풍각쟁이]]'의 [[박향림]], '연락선은 떠난다'의 [[장세정(가수)|장세정]], '화류춘몽'의 이화자 등과 함께 [[조선악극단]] 산하에 '[[저고리 시스터즈]]'라는 이름의 그룹을 만들어서 활동했는데, 한국 최초의 '''걸그룹'''으로 꼽힌다. [[광복]] 후에도 가수로 활약하였는데, [[한국 전쟁]] 때 김해송이 납북된 이후 KPK악단을 직접 운영했다. 이 시절, 후배 가수였던 [[남인수]]와 사랑에 빠진다. 자신을 챙겨주고 아껴주는 남인수의 모습에 반해서 사실혼관계로 지낼 정도였지만, 남인수가 [[폐결핵]]으로 갑자기 죽게 된다. 일각에서는 자신의 젊었을적 분신, 복제품 수준이라는 이봉룡 선생의 자식과 함께 모아 [[김시스터즈]] 라는 3인조 재즈 걸그룹을 만들고 이들을 음악적으로 훈련시키는데 상당한 공을 들여 결국 성공 시킨다. 이후, 이난영은 자식들을 따라 미국에서 생활하다가 귀국하고 1965년 알코올과 [[아편]] 중독[* 이난영은 어렸을 때부터 만성 위경련에 시달렸었고, 명치에 고통을 느낄 때마다 아편을 피웠다. 참고로 이난영에게 아편 맛을 알려준 사람은 다름 아닌 남편 [[김해송]]이었다.]의 후유증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생을 마감했다.[* 저고리 시스터즈의 멤버들 중 가장 오래 생존했던 인물은 [[장세정]]으로, [[2003년]]에 별새했다.] 이난영의 자식들은 [[미국]]에서 [[김시스터즈]], 김보이스라는 이름으로 연예활동을 했고 [[1970년]]에는 내한공연도 했다. 김시스터즈가 1960년대 미국에 진출하자 애드 설리번 쇼에 동반 출연 하였다. [[https://youtu.be/7hxLq4scJ5A|#]] 링크된 영상을 보면 흑인영가를 아리랑 형태로 개사해 부른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s5suhw9iHo)]}}} || || '''이난영 '해조곡'''' || == 논란 == === [[친일]] 논란 === 이난영은 <신춘엽서>, <이천오백만 감격>과 같은 친일 가요를 두 세 곡 정도 불렀다. <이천오백만 감격>을 같이 부른 [[남인수]]와 [[김해송]]은 전부 [[친일인명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것에 반해, 이난영은 이름이 올라가 있지 않다. 이유인즉슨 친일인명사전에 오르는 기준인 지속성, 반복성, 적극성이 없었기 때문. 확실히, 지속적으로 수많은 친일 가요에 참여한 [[남인수]]와는 달리, 이난영의 친일 가요는 그 숫자도 눈에 띄게 적고, 친일 가요에 참여한 적극성을 증명할 증거도 딱히 없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지금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난영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존재한다.[[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736504.html|#]] == [[재즈]] 보컬로서의 이난영 == 한국 [[재즈]]계에서는 대표적인 원로 재즈 뮤지션으로 손꼽는다. '''항구의 불근(붉은) 소매'''에서는 완벽한 [[스윙재즈]] [[스캣]] 창법을 구사했으며 '다방의 푸른 꿈'은 [[블루 노트]]의 리듬기반으로 [[블루스]]를 노래했다. 친일 논란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 사실상 초창기 재즈의 시대였으며 개척자 정도의 위치에 있다. 이 또한 그의 남편이자 작곡가 [[김해송]]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다. == 대중매체에서 == 2015년 영화 [[해어화(영화)|해어화]]에서 특별출연으로 등장한다. [[배우]]는 [[차지연]] 2016년 4월 10일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목포의 눈물이 탄생 배경에 대해 나왔는데 이때 걸그룹 [[APRIL]] 멤버 [[김채원(1997)|김채원]]이 이난영 역을 맡았다. 2019년 TVN에서 김시스터즈를 다룬 드라마 '위대한 이야기. 1화 [[이난영]]과 김시스터즈 [[위대한 이야기]]'에서는 [[소유진]]씨가 역할을 맡았다. == 대표곡 == * [[1934년]] 불사조 * [[1934년]] 봄맞이 * [[1935년]] [[목포의 눈물]] * [[1935년]] 봄 아가씨 * [[1937년]] 해조곡 * [[1939년]] 다방의 푸른 꿈[* 대한민국 최초의 [[블루스]] 장르의 곡이다.] * [[1941년]] 진달래 시첩 * [[1942년]] 목포는 항구다 == 관련 컬럼들 == * 최유준의 웹미디어 이난영 항구의 붉은 소매 : [[http://musicology.co.kr/?p=1098]] * 최유준의 웹미디어 이난영의 눈물 : [[http://musicology.co.kr/?p=2123]] * 최유준의 웹미디어 한국대중음악사의 수수께끼 - 두 얼굴의 이난영 : [[http://musicology.co.kr/?p=277]] == 여담 == * 생가 인근에 '난영길'이라는 도로명이 부여되었다. [[분류:목포시 출신 인물]][[분류:1916년 출생]][[분류:1934년 데뷔]][[분류:트로트 가수]][[분류:한국 여가수]][[분류:한반도의 가수]][[분류:1965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음악 그룹/리더]][[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