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 공채 탤런트)]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금복.jpg|width=100%]]}}}|| || '''성명''' ||이금복(李錦福) || || '''출생''' ||[[1955년]] || ||<|2> '''사망''' ||[[1999년]] [[11월 14일]] (향년 44세) ||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서울중앙병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111500329135013&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9-11-15&officeId=00032&pageNo=35&printNo=16905&publishType=00010|관련 기사]]] || || '''가족''' ||남편 [[유승안]], 아들 [[유원상]],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 || || '''데뷔''' ||[[1973년]] [[MBC]] 6기 공채 탤런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1973년]] [[MBC]] 6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였다. 드라마 [[수사반장(드라마)|수사반장]]의 여순경 미스 리로 유명했다. 남편은 [[빙그레 이글스|빙그레]]-[[한화 이글스]]의 [[유승안]] 전 야구 선수, 감독, 코치이며, 아들은 야구 선수로 유명한 [[유원상]],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이다. [[1999년]] [[5월 29일]]에 감기 몸살로 풍납동 [[서울아산병원|서울중앙병원]]을 찾았다가 급성 [[백혈병]] 말기 판정을 받은 뒤 1차 항암 치료를 받은 직후에 체력이 급격히 떨어졌고, 설상가상으로 결핵균이 간과 비장에 침투해 독한 결핵약만 먹을 뿐 제대로 치료도 못하고 6개월을 버텨야 했다. 결핵이 완치되고 어느 정도 체중이 나가야 2차, 3차의 항암 치료를 받을 수 있는데 본격적인 치료도 받지 못하고 동년 11월 초에는 혼수상태에 빠졌다가 동년 [[11월 14일]] 새벽 1시 경에 투병 도중 별세하였다.[* [[https://kin.naver.com/qna/detail.naver?d1id=10&dirId=10010205&docId=35878898&qb=7J206riI67O1IOycoOyKueyViA==&enc=utf8§ion=kin.ext&rank=1&search_sort=0&spq=0|#]]] 이금복의 투병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승안이 코치로 재직하던 한화 이글스에서 구단 차원에서 돕기 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그해 한화 이글스가 [[1999년 한국시리즈]]에서 창단 후 첫 우승을 했는데 한화 [[김승연]] 회장이 우승 보고회를 마친 뒤 투병 중이던 이금복을 병문안 하기도 했다. == 활동 내역 == === 드라마 === * 1973년 [[MBC]] 수사드라마 《[[수사반장(드라마)|수사반장]]》 - 미스 리(여순경) 역 * 1979년 [[MBC]] 주간단막극 《사랑의 계절》 * 1980년 [[MBC]] 농촌드라마 《[[전원일기]]》 * 1981년 [[MBC]] 정치드라마 《[[제1공화국(드라마)|제1공화국]]》 - 안미생, [[이희호]] 역 * 1981년 [[MBC]] 주간드라마 《민족풍속도》 * 1982년 [[MBC]] 거부실록 《[[공주갑부 김갑순]]》 * 1983년 [[MBC]] 일일연속극 《[[간난이(MBC)|간난이]]》 * 1984년 [[MBC]] [[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 * 1986년 [[MBC]] 일요아침드라마 《[[한지붕 세가족]]》 * 1988년 [[MBC]] 월화 미니시리즈 《[[원미동 사람들(드라마)|원미동 사람들]]》 * 1990년 [[MBC]] 주간드라마 《나의 어머니》 * 1991년 [[MBC 베스트극장]] 《한계령》 * 1991년 [[MBC 베스트극장]] 《서울의 꿈》 * 1992년 [[MBC 베스트극장]] 《이브의 덫》 * 1992년 [[MBC 베스트극장]] 《추억수배》 * 1992년 [[MBC 베스트극장]] 《따따부따》 * 1992년 [[MBC 베스트극장]] 《자화상》 * 1992년 [[MBC 베스트극장]] 《변신》 * 1992년 [[MBC]] 수목 미니시리즈 《[[여자의 방]]》 * 1992년 [[MBC 베스트극장]] 《칡소클럽》 * 1993년 [[MBC]] 수목드라마 《[[폭풍의 계절]]》 * 1993년 [[MBC 베스트극장]] 《황색 신호등》 * 1994년 [[EBS]] 청소년드라마 《[[언제나 푸른마음]]》 * 1994년 [[MBC]] 수목드라마 《[[아들의 여자]]》 * 1994년 [[MBC 베스트극장]] 《이웃집 여자》 * 1995년 [[MBC 베스트극장]] 《그 아버지에 그 아들》 * 1995년 [[MBC]] 정치드라마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 - 박흥주의 부인 역 * 1996년 [[MBC]] 월화 미니시리즈 《[[그들의 포옹]]》 * 1996년 [[MBC 베스트극장]] 《경비원님》 * 1996년 [[MBC 베스트극장]] 《기억 저 편의 그늘》 * 1996년 [[MBC]] 청소년드라마 《[[나(드라마)|나]]》 * 1996년 [[MBC]] 주간단막극 《[[강력반(드라마)|강력반]]》 * 1996년 [[MBC]] 주말연속극 《[[사랑한다면]]》 * 1997년 [[MBC]] 아침드라마 《[[못 잊어(1997년 드라마)|못 잊어]]》 * 1997년 [[MBC 베스트극장]] 《어머니 당신의 이야기》 * 1997년 [[MBC]] 주말연속극 《[[그대 그리고 나(드라마)|그대 그리고 나]]》 * 1998년 [[EBS]] 청소년드라마 《[[내일(EBS)|내일]]》 - 명석 모 * 1999년 [[MBC 베스트극장]] 《그 해 겨울날의 풍경》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55년 출생]][[분류:1973년 데뷔]][[분류:1999년 사망]][[분류:백혈병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