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폴란드 총리]][[분류:1860년 출생]][[분류:1941년 사망]][[분류:폴란드의 피아니스트]][[분류:음악가 출신 정치인]][[분류:객사한 인물]][[분류:화폐의 인물]][[분류: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폴란드 제2공화국 총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51d2f, #d22c3f 20%, #d22c3f 80%, #b51d2f)" '''{{{+1 이그나치 얀 파데레프스키}}}[br]Ignacy Jan Paderewski'''}}}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20090902.22019195548i1.jpg|width=300%]]}}} || ||<|2> '''출생''' ||[[1860년]] [[11월 18일]]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제국)] 쿠리를루카[br](現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쿠리를루카) || ||<|2> '''사망''' ||[[1941년]] [[6월 29일]] (향년 80세)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뉴욕주]] [[뉴욕]] || || '''직업''' ||[[피아니스트]], 정치인 || [목차][clearfix] == 소개 == [[폴란드]]의 [[피아니스트]], [[작곡가]]이자 [[정치가]]이다. == 생애 == 1872년 바르샤바 음악원에서 피아노를 배우고, 졸업 후 5년간은 모교의 피아노과 교수로 활동했다. 1881년 이후 [[베를린]]에서 수년간 작곡법 등을 배웠으며 이때 피아니스트가 될 것을 결심하고 곧바로 빈으로 가서 테오도르 레셰티츠키에게 배웠다. 1887년, 빈에서 독주회를 열면서 명성을 점차 높였고 1909년에바르샤바 음악원 원장이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미국으로 가서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게 폴란드의 자유를 권유하였고, 전쟁이 끝나고 폴란드가 독립하자 귀국하여 폴란드 공화국 최초의 수상과 외무장관이 되었다. 그러나 단 1년만에 사임하고 다시 피아니스트로서 활동을 재개하였다. 만년에는 스위스에서 지내다 다시 미국으로 가 [[뉴욕]]에서 객사하였다. 처음엔 알링턴 공동 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91년 폴란드로 유해가 옮겨져 바르샤바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라흐마니노프]]와 동시대를 살면서 당시 최고의 피아니스트 및 작곡가로 명성을 펼쳤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 [[허버트 후버]]와의 관계 == 1892년 [[스탠퍼드]]의 학생이었던 후버는 당시 미국에서 연주회를 순회중이었던 파데레프스키의 다음 행선지가 자신이 거주중이던 [[캘리포니아]]라는 사실을 알고 그를 음악회에 초대했다. 후버는 파데레프스키에게 2000달러를 지급하겠다고 약속했었으나 막상 티켓이 잘 팔리지 않아 최종적으로 400달러 부족한 1600달러만 지급할 수 있었다. 그러나 파데레프스키는 후버에게 장학금 형식으로 1600달러를 그냥 돌려줬고, 이에 후버는 감사인사를 표하며 언젠가 갚겠다고 다짐한다. 이후 미국 식량 구호국의 초대 총장이 된 후버는 식량 지원국을 검토하던 도중 총리가 된 파데레프스키가 식량 문제로 위기에 처한 사실을 알고 그를 돕기 위해 폴란드에 식량을 지원해주었고[* 게다가 당시 파데레프스키는 미국에 원조 요청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덕분에 파데레프스키는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 이 에피소드는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27년 만에 지킨 약속'이라는 이름으로 방영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