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주제가, rd1=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paragraph1=7.1, other2=변변찮은 마술강사와 금기교전의 등장인물, rd2=이브 이그나이트, other3=닌자 슬레이어의 등장인물, rd3=이그나이트(닌자 슬레이어))]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진룡 스토리 관련 카드군)] ||<:><-6> '''{{{#!html이그나이트}}}''' || ||<-6><#fff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gnition Phoenix.png|width=100%]][br] ,,[[이그나이트#이그니션P|{{{#FAAD86 이그니션P}}}]],,}}}|| || '''{{{#!html한국어판 명칭}}}''' ||<-5><#fff,#191919> '''이그나이트''' || || '''{{{#!html일어판 명칭}}}''' ||<-5><#fff,#191919> '''イグナイト''' || || '''{{{#!html영어판 명칭}}}''' ||<-5><#fff,#191919> '''Igknight'''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fff,#191919>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화염|화염]] ||<-2><#fff,#191919> [[전사족]] ||<-2><#fff,#191919> [[일반 몬스터|일반]][br]효과[br][[펜듈럼 소환|펜듈럼]]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테마의 이름은 '[[점화]]하다', '[[불]]이 붙다'라는 뜻의 영어 단어 'ignite'에 [[기사(역사)|기사]]를 뜻하는 'knight'를 합성한 것이다. 개별 몬스터의 이름은 실존하는 근현대 병기를 모티브로 하고 있는데, 해외판에서는 각 무기들의 상표권 및 폭력성 문제로 [[기사]]와 관련된 이름들로 개명되어 있다. 다만 규제가 느슨해지기는 했는지 무기 자체는 탄압되지 않았다. [[룡검사]]와 함께 용마왕에 맞서는 세력 중 하나로 [[나이트 건담 이야기]]에서 불의 검에 대응된다. 몬스터의 모습을 보면 전체적으로 [[건 블레이드]]를 들고 파워드 슈트를 장착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디자인이나 일반 몬스터 위주의 카드군이란 점은 [[젬나이트]]와도 유사하다. 플레이버 텍스트로 밝혀진 설정이나 이그나이트 유나이트의 일러스트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하나같이 나사 빠진 분위기 일색이다. == 성능 == || 펜듈럼 몬스터의 공통 효과 || ||①: 다른 한 쪽의 자신 펜듈럼 존에 "이그나이트"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펜듈럼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자신 덱 / 묘지에서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스케일이 2 또는 7인 일반 / 펜듈럼 몬스터와 두 장의 효과 / 비펜듈럼 몬스터로 이루어진 카드군. 모든 몬스터가 전사족 / 화염 속성이다. 일반 몬스터는 3부터 6까지의 레벨에 각각 2장씩 존재하며, 같은 레벨의 이그나이트는 스케일이 2와 7로 다르고 공격력이 더 높은 몬스터와 수비력이 더 높은 몬스터로 나누어져 있다. 펜듈럼 몬스터의 공통 효과를 통해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를 패에 넣고, 파괴된 이그나이트는 펜듈럼 소환해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펜듈럼 몬스터가 아닌 이그나이트 몬스터는 이렇게 필드에 늘어놓은 이그나이트를 파괴하고 특수 소환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각의 제거 효과를 지니고 있다. 덱의 중심이 되는 일반 몬스터들은 [[레스큐 래빗]], [[예상외]], [[소환사의 스킬]] 등 우수한 효과에 대응하므로 패나 필드에 내는 것이 어렵지 않다. 전사족임을 살려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를 [[링크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펜듈럼 효과로 이그나이트가 아닌 몬스터도 패에 넣을 수 있으므로 다른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와의 연계도 가능하다. 해당 종족 / 속성으로 이루어진 [[불꽃성기사]]나 [[BK(유희왕)|BK]] 테마의 몬스터 역시 서치할 수 있다. 펜듈럼 효과로 몬스터를 패에 넣기 위해서는 2장의 카드 양쪽이 파괴되어야 한다. [[No.66 패건갑충 마스터 키 비틀]] 등으로 한쪽의 파괴를 막는다면 남은 한쪽만 파괴되고 카드를 패에 넣을 수는 없다. 이그나이트 단일 덱 자체의 성능은 기대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몬스터가 일반 몬스터인데 스테이터스는 그다지 높지 않고, 다른 카드의 서포트가 중요한데 이그나이트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그다지 우수하지 않다. 최상급 효과 몬스터 두 장은 소환에 드는 소비가 너무 커 제대로 된 활용이 어렵다. 가장 치명적인 것은 신 마스터 룰의 도입으로, 한 번에 펜듈럼 소환 가능한 몬스터의 수가 제한된 것이다. 펜듈럼 몬스터를 대량으로 엑스트라 덱에 보낸 후 서치 효과로 스케일을 맞추고, 펜듈럼 소환으로 이그나이트 몬스터를 쏟아낸다는 기본적인 덱의 전략 자체가 성립하지 못하게 되었다. 소환을 위해 3장의 이그나이트 카드를 요구하는 효과 몬스터들은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 일반 몬스터 서포트 카드들을 사용하여 어떻게든 [[링크 소환]]을 한 후 2~3장 정도의 펜듈럼 소환은 노릴 수 있겠으나 그 정도만이라면 다른 펜듈럼 테마들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사실상 카드군의 장점을 모두 잃어버려 가끔 특이한 덱에서 몇몇 펜듈럼 몬스터를 차용하는 데에 그치는 실정이다. 한편 이후 등장한 같은 스토리 라인의 카드군인 [[메탈포제]]는 일반 / 펜듈럼 몬스터 및 파괴 기믹을 그대로 이어받으면서 이그나이트의 약점을 대부분 보완하여 발매되었다. 발매 당시에는 티어권에서도 흔히 사용될 정도의 성능을 자랑했으며 이후로도 꾸준히 추가 지원을 받았다. 그리 멀지 않은 시기에 등장한 같은 스토리의 테마가 이전 테마의 컨셉을 빼앗다시피 한 흔치 않은 예. 용병으로서의 입지가 대단히 독특한 테마다. 특유의 펜듈럼 효과가 턴 제약이 없다는 점, 서치 범위가 제법 넓은 편이라는 점을 살려 각종 [[날빌]], 원 턴 킬 콤보 덱에서 파츠로 자주 사용된다. 대표적인 빌드는 같은 화염 속성/전사족인 [[불꽃성기사]]와 혼합하는 '''[[불전사]]'''. 환경권에 진입한 수준의 덱은 없기는 하나, 후술하듯 마스터 듀얼에서는 이그나이트를 이용한 선턴킬 덱이 한동안 유행한 적이 있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시크릿 팩 '성장하는 용검사'에서 [[룡검사]], [[용마왕]], [[다이너미스트]], [[아모르파지]], [[마제스펙터]]와 같이 관련 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 기존에는 가격이 싸다는 점 외에는 별 볼 일이 없던 카드군인데, 3월 후순부터 [[데블 프랑켄]] 선턴킬 덱에 사용되고 있다. == 일반 몬스터 (펜듈럼) == === 레벨 3 === ==== 이그나이트 매그넘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3067_1.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IgknightSquire-CORE-EN-C-1E.png|width=98%]]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일반=,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매그넘,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マグナム, 영어판명칭=Igknight Squire,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레벨=3, 공격력=0, 수비력=2000, P스케일=7, P효과1=①: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이그나이트"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효과외1=검총을 다루는 화염의 전사. 차가운 강철 갑옷에 몸을 감싸고 있지만\, 그 속에는 거세게 타오르는 뜨거운 마음이 감춰져 있다.)] 모티브는 [[매그넘]] 탄환으로, 해당 탄환이 [[리볼버]]에 주로 사용된다는 것을 반영해 건블레이드의 총 파츠에 리볼버 탄창이 장착되어 있다. 그래서 해외판에서는 예외 없이 일러스트가 수정되었는데, 차후에 나온 [[쇼트바렐 드래곤]]처럼 약실에만 수정이 가해졌고 드럼 탄창처럼 수정된 쇼트바렐 드래곤과는 달리 공랭형 커버처럼 수정되었다. 영문명은 견습 기사를 뜻하는 'Squire'이다. 하급 이그나이트 중 수비력이 가장 높아 통상 세트해서 버티는 데 사용하면 좋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JP02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2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이그나이트 이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307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일반=,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이글,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イーグル, 영어판명칭=Igknight Crusader,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레벨=3, 공격력=1600, 수비력=300, P스케일=2, P효과1=①: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이그나이트"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효과외1=너무 직정적인 행동파인 이그나이트의 전사. 동료들은 "총알의 이글"이라 부르며\, 조금 거리를 두려는 경향이 있다.)] 모티브는 [[IMI Desert Eagle|데저트 이글]]로, 어깨 장갑이 데저트 이글의 총구 형태로 되어있으며, 무기의 손잡이 부분이 데저트 이글의 슬라이드 형상을 하고 있다. 영문명은 원정대를 뜻하는 'Crusader'.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JP027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2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4 === ==== 이그나이트 드래그노브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307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일반=,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드래그노브,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ドラグノフ, 영어판명칭=Igknight Templar,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레벨=4, 공격력=1700, 수비력=1300, P스케일=7, P효과1=①: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이그나이트"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효과외1=외골수로 부정을 싫어하는 이그나이트의 베테랑 전사. 그 성격 탓인지\, 요즈음 자신이 가진 무기에 의문을 품고 있는 것 같다.)] 모티브는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한국에서는 [[플레임벨]] 드래그노브의 전례를 따라 드래그노브로 번역. 영문명은 기사단원을 뜻하는 'Templar'. 자신의 무기에 의문을 품고 있다는 [[플레이버 텍스트]]대로 하급 어태커로서 공격력이 영 믿음직스럽지 못하다(...). 프렌들리 파이어에서 가장 큰 굴욕을 맛본 것도 이쪽이며 능력치상으로도 능력치 보조 없이는 데린저를 전투로 이기지 못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JP028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2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이그나이트 머스켓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308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일반=,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머스켓,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マスケット, 영어판명칭=Igknight Paladin,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레벨=4, 공격력=1400, 수비력=1900, P스케일=2, P효과1=①: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이그나이트"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효과외1=냉정하고 침착하며 이지적이라는 평판의 이그나이트의 참모. 사실 욱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뿐\, 마음 속은 늘 부글부글 끓고 있는 듯하다.)] 모티브는 [[머스킷]] 소총. 영문명은 성기사를 뜻하는 'Paladin'.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JP029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2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5 === ==== 이그나이트 라이엇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308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일반=,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라이엇,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ライオット, 영어판명칭=Igknight Margrave,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레벨=5, 공격력=1500, 수비력=2500, P스케일=7, P효과1=①: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이그나이트"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효과외1=이그나이트의 상급 전사. 장소를 불문하고 광범위하게 베어 버리는 쌍수검총은\, 적 뿐만 아니라 아군도 두려워하게 만든다.)] 모티브는 [[라이엇 건]]. [[진압 방패]]를 하반신에 치마처럼 두르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영문명은 귀족의 보조 [[작위]] 중 하나인 '변경백'을 뜻하는 'Margrave'.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JP03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3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이그나이트 데린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14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일반=,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데린저,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デリンジャー, 영어판명칭=Igknight Cavalier,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레벨=5, 공격력=2400, 수비력=1200, P스케일=2, P효과1=①: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이그나이트"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효과외1=동료들이 애지중지하는 이그나이트의 홍일점. 자랑스러워하는 무기는 적보다 아군을 맞추는 일이 많지만\, 불평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모티브는 [[데린저]] 권총. 영문명은 기병을 뜻하는 'Cavalier'. 이그나이트 라이엇과 레벨 5의 짝을 이루고, 일반 이그나이트 중 공격력이 가장 높으니 칼리버를 대신하여 상급 펜듈럼 메인 어태커로 사용하면 좋은 카드. [[플레이버 텍스트]]를 보면 [[홍일점]] + [[팀킬]]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 팀킬의 현장은 [[프렌들리 파이어]] 문서로. 자기 상관인 우지가 쩔쩔매고 칼리버에게 불평한다는 우지의 플레이버 텍스트, 유나이트의 일러스트에서 사고를 치고 있는 데린저를 말리려고 칼리버가 나만 믿으라며 제압하려 할 때 이글과 매그넘이 위험하다며 말리는 모습을 보면 기사단 내에서도 사고도 많이 치는 주제에 힘은 또 강력해서 매우 위험한 인물로 인식되고 있는 듯하다. 실제로 어벤저와 스팅거를 제외한 자기 상관들인 칼리버와 우지보다도 공격력이 높아서 이 둘을 전투로 간단하게 해치울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디멘션 오브 카오스|DIMENSION OF CHAOS]] || DOCS-JP03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디멘션 오브 카오스]] || DOCS-KR03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6 === ==== 이그나이트 칼리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309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일반=,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칼리버,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キャリバー, 영어판명칭=Igknight Gallant,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레벨=6, 공격력=2100, 수비력=2200, P스케일=2, P효과1=①: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이그나이트"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효과외1=위세 좋은 이그나이트들을 장악하는 특공 대장. 혈기왕성한 직속 부하들에게 늘 시달린다.)] 모티브는 총알의 [[구경]]을 나타내는 단어인 칼리버(Caliber). 영문명은 고위 기사를 뜻하는 'Gallant'. 에이스로는 이미 이그나이트 어벤저가 있어서인지, 능력치가 대놓고 애매해서 시달리기 좋게 생겼다(...). 유나이트의 일러스트에서 데린저가 사고를 치는 것을 말리려고 나만 믿으라며 나가려 할 때 이글과 매그넘이 위험하다며 뜯어말리는데 공격력상으로도 능력치 보조 없이는 데린저를 이기지 못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JP03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3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이그나이트 우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14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일반=,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우지,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ウジー, 영어판명칭=Igknight Veteran,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레벨=6, 공격력=1300, 수비력=2700, P스케일=7, P효과1=①: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이그나이트"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효과외1="데린저"의 감시역인 친위 대장. 무모한 그녀에게 농락당하기만 하고\, 유일한 이해자인 "칼리버"에게 항상 투덜거린다.)] 모티브는 [[UZI]] 기관단총. 영문명은 숙련자를 뜻하는 '[[베테랑]]'. 칼리버와 짝을 이루는 레벨 6 이그나이트로, 메인 덱 이그나이트 중 수비력이 가장 높다. 한편 플레이버 텍스트대로 프렌들리 파이어의 일러스트에서 사고를 치는 데린저를 전혀 통제하지 못하고 있으며 능력치상으로도 전투로는 데린저를 능력치 보조 없이 이길 수가 없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디멘션 오브 카오스|DIMENSION OF CHAOS]] || DOCS-JP03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디멘션 오브 카오스]] || DOCS-KR03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효과 몬스터 (非펜듈럼) == ||"이그나이트" 효과 몬스터의 공통 효과|| ||①: 자신 필드의 "이그나이트" 카드 3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②: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이그나이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리고, 상대 필드의 (마법 /함정 카드 또는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주인의 덱 맨 아래로 되돌린다.|| ①의 효과로 파괴하는 카드는 몬스터가 아니라도 되므로 펜듈럼 존의 카드나 이그나이트 버스트 역시 파괴할 수 있다. 특수 소환 몬스터가 아니기 때문에 평범하게 어드밴스 소환하거나 펜듈럼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그나이트 몬스터만으로는 스케일이 맞지 않으므로 펜듈럼 소환하려면 다른 펜듈럼 몬스터의 채용이 필요하다. 펜듈럼 몬스터의 재사용이 쉬운 편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소환을 위해 3장의 카드를 파괴해야 한다는 점은 그다지 수지가 맞지는 않는다. 소환한다면 이그나이트 유나이트의 효과로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것이 가장 편하다. ②의 효과는 자신의 이그나이트 몬스터만 대상으로 지정하며, 되돌릴 상대 카드는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다. "이그나이트 몬스터"를 대상으로 지정하기 때문에 펜듈럼 존의 이그나이트를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 레벨 7 === ==== 이그나이트 어벤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282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어벤져,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アヴェンジャー, 영어판명칭=Igknight Lancer,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레벨=7, 공격력=2600, 수비력=1800,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이그나이트" 카드 3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이그나이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리고\,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골라 주인의 덱 맨 아래로 되돌린다.)] 이그나이트에서 최초로 공개된 효과 몬스터. 모티브는 [[GAU-8]] [[어벤저#s-3.4]] [[개틀링 기관총]]. 영문명은 [[창병]]을 뜻하는 '[[랜서]]'. 고유 효과는 상대의 마법 / 함정 1장을 덱 맨 아래로 되돌리는 것. 나쁜 효과는 아니지만 마법 / 함정 카드는 최상급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 전에 제거하고 싶은 경우가 많아 타이밍이 아쉽다. 타점도 최상급 몬스터 치고는 높지 않아 스팅거보다 우선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JP032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32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8 === ==== 이그나이트 스팅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273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스팅거,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スティンガー, 영어판명칭=Igknight Champion,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300,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이그나이트" 카드 3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이그나이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리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골라 주인의 덱 맨 아래로 되돌린다.)] 모티브는 [[FIM-92 스팅어]]. 영문명은 [[결투재판]]에서 대리 집행관을 뜻하는 '[[챔피언]]'. 이그나이트 어벤저와 반대로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몬스터는 마법 / 함정에 비해 성공적으로 제거할 기회가 많으므로 비교적 우수한 편. 타점도 더 높아 최상급 몬스터 평균 수준은 된다. 레벨이 8이라 펜듈럼 소환하기가 비교적 어렵다는 점은 아쉬운 점.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33 || [[슈퍼 레어]]/[[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JP033 || [[슈퍼 레어]]/[[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효과 몬스터 (펜듈럼) == === 레벨 4 === ==== [[룡검사 이그니스P]] ==== 룡검사 카드군에 속하는 카드. 룰상 이그나이트로도 취급한다. == 마법 카드 == === 이그나이트 리로드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284_1.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IgknightReload-DOCS-EN-UR-1E.png|width=96%]]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리로드,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リロード, 영어판명칭=Igknight Reload, 효과외1="이그나이트 리로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펜듈럼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상대에게 보여주고\, 덱으로 되돌려서 셔플한다. 그 후\, 자신은 덱으로 되돌린 수 + 1장을 덱에서 드로우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카드의 효과로 드로우할 수 없다.)] 이름과 일러스트에는 이그나이트가 들어가 있지만 펜듈럼 주축의 덱이라면 어디서든 쓸 수 있는 범용 카드다. 패의 펜듈럼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그 수 + 1장 드로우하는 패 교환 카드. 되돌린 카드보다 1장 더 드로우할 수 있으므로 어드밴티지 손해를 보지 않는다. 반대로 말하자면 이득을 보는 것도 아니므로 미묘한 입지의 카드. 이그나이트 덱은 특히 원하는 카드를 직접 서치할 기회가 많으므로 굳이 패 교환을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일러스트에서는 라이엇이 한 발 발사하고 나서 탄피를 배출하고 있는데, 해외판에서는 [[탄압|탄피와 연기가 사라져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디멘션 오브 카오스]] || DOCS-KR06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디멘션 오브 카오스|DIMENSION OF CHAOS]] || DOCS-JP06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이그나이트 유나이트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8356_1.jpg|width=100%]] || [[파일:IgknightsUnite-MP17-EN-C-1E.png|width=98%]]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유나이트,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ユナイト, 영어판명칭=Igknight Unite, 효과외1="이그나이트 유나이트"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이그나이트"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이그나이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그나이트 카드를 대상으로 발동하므로 펜듈럼 존의 카드를 파괴하고 발동할 수도 있다.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이그나이트에도 제약이 없으므로 최상급 이그나이트 몬스터의 특수 소환이 훨씬 간편해졌다. 속공 마법 카드이므로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으며, 상술한 이그나이트 리로드의 발동에 체인하여 리로드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어드밴티지 손해도 줄일 수 있다. 일러스트는 [[프렌들리 파이어]]에서 팀킬을 자행하고 있는 데린저를 칼리버가 [[따봉]]까지 날리면서 말리러 가는데 그 와중에 살아남은 이글과 매그넘이 칼리버를 말리는 모습. 게다가 데린저의 쿠나이가 칼리버 있는 쪽으로 향하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인베이전 오브 베놈|INVASION OF VENOM]] || INOV-JP06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인베이전 오브 베놈|Invasion of Venom]] || INOV-EN06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7 Mega-Tin Mega Pack || MP17-EN155 || 노멀 || 미국 || || || [[인베이전 오브 베놈]] || INOV-KR06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함정 카드 == === 이그나이트 버스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288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이그나이트 버스트, 일어판명칭=イグナイト・バースト, 영어판명칭=Igknight Burst,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이그나이트" 카드를 3장까지 고르고 파괴한다. 그 후\, 파괴한 수만큼 상대 필드의 카드를 고르고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의 "이그나이트" 펜듈럼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①의 효과는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이그나이트 카드를 파괴하고 그 수만큼 상대 카드를 패로 되돌리는 효과. 대상을 지정하지 않고 패로 되돌리는 효과 자체는 우수하나, 지속 함정 카드임에도 효과를 자신 메인 페이즈에만 발동할 수 있어 발동 타이밍이 너무 한정적이다. ②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엑스트라 덱의 이그나이트를 패에 넣는 효과. 일러스트에서는 이그나이트 스팅어가 한 발 쏘고 있다. 자기에게 날아오는 바위를 부순 것 같은데 [[오폭(유희왕)|그 이후는 참담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클래시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JP073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시 오브 리벨리온]] || CORE-KR073 || [[레어]] || 한국 || 세계 최초 수록 || == 서포트 카드 == === 이그니션P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261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이그니션P(피닉스), 일어판명칭=イグニッションP(フェニックス), 영어판명칭=Ignition Phoenix, 효과1=①: 필드의 "이그나이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300 올린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이그나이트"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이그나이트"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①의 효과는 이그나이트의 공격력 / 수비력 강화 효과. ②의 효과는 이그나이트 카드를 파괴하고 이그나이트 카드를 덱에서 패에 넣는 효과. 파괴 대상과 서치 대상 모두 "이그나이트 카드"로 범위가 넓기 때문에 활용의 폭도 넓다. 필요한 스케일의 이그나이트를 서치하거나 유나이트를 서치하여 최상급 이그나이트를 특수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러스트에서는 매그넘, 이글, 드래그노브, 머스킷이 손을 모아 불사조 형태의 화염을 일으켜 [[룡검사|룡검사 라스터 P]]에게 그 힘을 모아주고 있다. 이후 이 힘을 받은 룡검사 라스터P는 [[룡검사|폭룡검사 이그니스터P]]로 진화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6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JP06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같이 쓰기 좋은 카드들 == * [[왕립 마법도서관]] 펜듈럼 존에 카드를 세팅하는 것이 마법 카드의 발동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일단 이그나이트 펜듈럼 몬스터를 2장 세팅하는 순간 카운터가 2개가 쌓인다. 여기에 [[소환사의 스킬]], [[증원(유희왕)|증원]], 이그니션 P 등의 서치 마법 카드가 추가로 패에 잡혔을 경우에 굳이 펜듈럼 존의 이그나이트를 파괴하고 서치 효과를 쓰지 않아도 한 장 더 드로우가 가능하다. 마침 레벨도 4니 혹시나 무효화되어도 랭크 4 엑시즈 소환이나 용병 튜너와 함께 싱크로 소환으로 이어갈 수 있다는 것도 장점. 단점이라면 마법 "카드"의 발동 시에 카운터가 오르는 것이기 때문에 필드 마법과 펜듈럼 존의 서치 효과를 발동하는 시점에선 카운터가 오르지 않는다는 것. * [[인페르니티]] 묘지 자원을 활용하는 테마와 [[라이트로드]]가 상성이 좋듯, 패를 소모하며 엑스트라 덱에 펜듈럼 몬스터를 쌓는 이그나이트와 패가 0장일 때 효과가 활성화되는 인페르니티의 궁합도 상당한 편. 펜듈럼 소환 자체가 패 소모량이 커 패를 0장으로 만들기 쉽지만, 이 소모량을 이그나이트가 확실히 어드밴티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인페르니티 데몬]]과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가 용병으로 들어가는 식으로, 엑시즈 위주의 인페르니티와 비슷하게 [[헬웨이 패트롤]]도 투입하여 인페르니티 데몬의 소환을 돕거나, 인페르니티 비숍을 가져와 엑시즈 소재로 쓰기 좋다. 한때는 [[M.X-세이버 인보커]]와 [[아마조네스의 명사수]]를 이용한 [[http://blog.naver.com/qjtjzj12/220423609495|선턴킬 루트가 나오기도 했다.]] * [[불꽃성기사]] 덱의 모든 카드가 이그나이트의 서치 범위에 들어가는 카드군. 튜너 몬스터를 비롯하여 이그나이트를 직접 지원할 수 있는 성검 카드들도 존재하여 궁합이 뛰어나다. *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역시 이그나이트의 서치 범위에 들어가며, 굉장히 강력한 퍼미션 효과를 지닌 몬스터다. 상술한 불꽃성기사를 채용한다면 어렵지 않게 함께 채용할 수 있다.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펜듈럼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