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라북도|{{{#cfa547 전북}}}]] [[완산구|{{{#cfa547 전주시 완산구 을}}}]])'''}}} || || ''선거구 분리''[br][[장영달]][* 전주시 완산구 선거구의 [[제17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17대[br]이광철''' || → || 제18대[br][[장세환]] || ||<-2> {{{#ffffff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br]{{{+1 이광철}}}[br] 李光喆 | Lee Gwang-chu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1121311598237580_1.jpg|width=100%]]}}} || || '''본관''' ||[[서림 이씨]][* 부사공파(府使公派) 24세 철(喆) 항렬.] || ||<|2> '''출생''' ||[[1956년]] [[5월 2일]] ([age(1956-05-02)]세) || ||[[전라북도]] [[이리시]][br](現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 || '''학력''' ||[[군산고등학교]] {{{-2 ([[졸업]])}}}[br][[전북대학교]] {{{-2 ([[철학]] / [[학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육군]] [[병장]] 만기전역 || || '''가족''' ||배우자 소성섭[* [[예수병원]]에서 [[간호사]]로 근무했다.], 딸 이산하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7대 국회의원|17]]''' || || '''약력''' ||[[전북일보]] 기자[br][[한겨레신문]] 편집국장[br][[개혁국민정당]] 집행위원 [br][[열린우리당]] 전북도당 중앙위원 [br][[제17대 국회의원]] {{{-2 ([[전주시 을|전북 전주시 완산구 을]] / [[열린우리당]])}}}[br][[민주통합당]] 최고위원 [br][[국민참여당]] 최고위원 [br][[국민참여당]] 전북도당 위원장 [br][[통합진보당]] 최고위원 [br][[통합진보당]] 전북도당 위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 언론인 시절 == [[1956년]] [[5월 2일]] [[전라북도]] [[이리시]](現 [[익산시]])에서 아버지 이병선(李炳善, 1925. 4. 28 ~ )과 어머니 [[최(성씨)|강화 최씨]](江華 崔氏) 최은섭(崔恩燮, 1928. 10. 7 ~ )[* 최병필(崔秉弼)의 딸이다.] 사이에서 4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http://elecinfo.nec.go.kr/neweps/ezpdfwebviewe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2F6570646174612F455030362F45434D323030362F30312F45434D303132303036303434382F45434D303132303036303434385F30303130532E706466|태어났다]]. [[군산고등학교]], [[전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1979년]] [[전북일보]] 기자로 입사하였다가 [[1988년]] [[한겨레|한겨레신문]] 창간에 참여하였다. 이후 한겨레신문에서 편집국장 대우까지 지내다가 [[1998년]] 지역언론사인 전라일보로 옮겼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무렵 계엄포고령 위반으로 구속되어 [[광주시]] [[상무대]] 영창에 수감되었다가 같은 해 11월 석방되었다. [[1982년]] 10월 이리직업훈련소에 입소해 직업훈련을 받던 중 의식화교육 혐의로 [[국군보안사령부]]에 연행되었고, 이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어 징역 3년, [[자격정지]] 3년을 [[https://www.jjan.kr/article/20220707580301|선고받아]] 복역하였다. 출옥 후에는 [[1987년]] 민족통일민중운동연합 지역운동협의회 대표로 활동했고, 그해 4월 [[4.13 호헌조치]] 이후 다시 수배되었다. 이후 [[1994년]] 구국전위사건으로 수배, 구속되었다. 이후 전북민주시민사회단체협의회 상임대표, 시민행동21, 전북지방자치개혁연대 상임대표 등을 지냈다. == 정치 입문 후 ==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전라북도]] [[전주시]] [[전주시 을|완산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2009년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2008년)|민주당]] 후보로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야 [[무소속]] [[신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0년]] [[국민참여당]] 창당에 참여하였다가 [[2012년]] [[통합진보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진보당]] 후보로 전라북도 [[전주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합당]] [[이상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22년]] [[7월 7일]] [[전주지방법원]] 재심재판부에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를 [[https://www.jjan.kr/article/20220707580301|선고받았다]].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전북 [[전주시 을|전주 완산 을]] || [include(틀:열린우리당)] || '''52,632 (69.21%)''' || '''당선 (1위)''' || '''초선''' || || 2009 || [[2009년 재보궐선거#s-2|상반기 재보궐선거]][br]([[제18대 국회의원|국회의원]]) || 전북 [[전주시 갑|전주 완산 갑]]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14,919 (32.25%) || 낙선 (2위) || [* 전임자 [[이무영(1944)|이무영]] 의원직 상실.]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전북 [[전주시 을|전주 완산 을]] || [include(틀:통합진보당)] || 14,638 (17.23%) || 낙선 (3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통합민주당(2008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자]][[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열린우리당 국회의원]][[분류:대통합민주신당 국회의원]][[분류:통합민주당(2008년) 국회의원]][[분류:1956년 출생]][[분류:익산시 출신 인물]][[분류:서림 이씨]][[분류:군산고등학교 출신]][[분류:전북대학교 출신]][[분류:한겨레신문 관련 인물]][[분류:무소속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