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557년 출생]][[분류:1608년 사망]][[분류:광주 이씨]][[분류:임진왜란/군인]][[분류:조선 선무공신]][[분류:조선의 무관]] [include(틀:조선 선무공신)] [[파일:0002246910_001_20191116161100678.jpg]] 李光岳 [[1557년]]([[명종(조선)|명종]] 12) ~ [[1608년]]([[선조(조선)|선조]] 41) [목차] == 개요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 이씨|광주]](廣州)이며, 자는 여진(汝鎭) 또는 진지(鎭之)이다. [[임진왜란]]에 참전해 공적을 세운 장수다. 시호는 충장(忠壯). == 생애 == 이광악은 1557년 통훈대부(通訓大夫:정3품) 행 음성현감(行陰城縣監:종6품) 이호약(李好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래로 이사악(李士岳)이라는 남동생 한 명이 있었다. 충의위(忠義衛)로 복무하다가 28세 되던 1584년(선조 17) 별시 [[무과]]에 을과 16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584_000822|급제]], 선전관을 거쳐 1592년에 곤양군수에 제수되었는데, 마침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엄청난 수의 왜군이 [[영남]] 일대에 쳐들어오자 선봉으로 장병을 격려하며 대비하였다. 이후 왜군이 진주로 진군, 진주성을 포위하여 진주목사 [[김시민]]이 고립되고 전세가 위급해지자, 당시 [[거창군|거창]]에 있던 초유사(招諭使) [[김성일(조선)|김성일]]의 명령으로 좌익장(左翼將)이 되어 진주성에 진입, 김시민과 함께 왜군에게 항전하였다. 이때 김시민이 적이 쏜 탄환에 맞아 쓰러지자 김시민을 대신해 총지휘관으로서 군사들을 지휘하여 [[진주 대첩]]을 승리로 이끌었다. 1594년 의병대장 [[곽재우]]의 부장으로 함께 [[동래]]에 갔으나 적이 나오지 않으므로 돌아왔다. 1598년 전라도[[병마절도사]]로서 [[명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금산군|금산]]·[[함양군|함양]] 등지에서 왜군을 무찌르고 조선인 포로 100여명을 구출하고 소·말 60여필을 탈환하는 전과를 올렸다. 그 뒤 훈련원도정을 거쳐, 1604년 경기도방어사에 임명되었으며 선무공신(宣武功臣) 3등으로 광평군(廣平君)에 봉해졌다. 1607년 [[함경도]] [[병마절도사]]로 있을 때 병을 핑계로 근무를 태만히 하여 한때 투옥되었으며, 1608년 사망하였다. == 여담 == * 묘소는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탑말에 있으며 사당 문효사에 위패도 모셔져 있다. * 1987년 후손이 선무공신 교서와 초상화, 보검 등을 [[독립기념관]]에 기증해서 관리하고 있다. * 2019년 11월 [[전쟁기념관]]의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47&aid=0002246910|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