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경환}}}'''[br]'''李慶煥'''}}}}}} || || '''초명''' ||이희구(李熙龜) || || '''이명''' ||이점보(李點甫, 李占甫) || || '''자 / 호''' ||문익(文益) / 포재(浦齋) || || '''본관''' ||[[성산 이씨]][* 기국공파(杞菊公派)-율포파(栗浦派) 30세 희(熙) 항렬.] || ||<|2> '''출생''' ||[[1902년]] [[6월 8일]] || ||[[경상북도]] [[성주군]] 본아면 하아동[br](현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용흥3리 율포마을)[* [[성산 이씨]] 집성촌이다.] || ||<|2> '''사망''' ||[[1929년]] [[11월 6일]] || ||[[경상북도]] [[성주군]]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253호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902년 6월 8일 경상북도 성주군 본아면 하아동(현 성주군 대가면 용흥3리 율포마을)에서 아버지 이상우(李相雨, 1883. 4. 6 ~ 1945. 7. 24)와 어머니 [[수원 백씨]](1884. 7. 18 ~ 1968. 9. 16)[* 백남회(白南會)의 딸이다.] 사이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고향에서 농업에 종사하다가 1923년 [[일본]] [[오사카]]로 건너가 [[경제학]]을 공부했다. 그 뒤 귀국했다가 1924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갔고, 재차 귀국한 뒤 1925년 4월 일본으로 다시 건너간 뒤에는 [[효고현]] [[히메지시]]에 있던 [[타카다]] 마쓰조(高田松藏)의 집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다가 1928년 11월 25일에 [[천황]] [[히로히토]]가 [[교토]]를 방문한다는 소식을 듣고는 24일 밤 교토 [[후시미|후시미구]]로 가서 하룻밤을 머물렀다.[[http://db.history.go.kr/id/npda_1928_11_28_v0005_0710|#]] 그리고 이튿날 그는 시모교구(下京區) 아카즈노몬지도리(不開門通) 기즈야초(木津屋町) 및 가메초(龜町)를 옮겨다니며 천황의 마차를 기다리다가, 그날 오전 11시 25분, 천황이 [[교토시]] 후시미구에 있는 [[메이지 천황]]의 묘소인 후시미모모야마릉(伏見桃山陵)을 참배한 뒤 [[교토고쇼]]로 돌아가던 도중 교토시 시모교구에 있는 [[히가시혼간지]] 앞을 지나자, 일제의 조선 침략의 부당성 및 [[조선총독부]]의 철폐를 요구하는 직소장(直訴狀)을 제출하려고 경계선을 나와 천황이 탄 마차에 접근하던 중에 현장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 뒤 그는 제4대대 경위본부(警衛本部)에 이송되어 취조를 받았으며, 같은 해 12월 교토구재판소에서 [[마쓰이]](松井) 검사로부터 징역 6개월이 구형되었고 결국 12월 10일 오전 10시 교토구재판소에서 검사 측의 구형과 같이 [[타마이]](玉井) 판사로부터 징역 6개월을 [[http://db.history.go.kr/id/npda_1928_12_12_v0002_0240|선고받고]] 총 9개월간 옥고를 치르다가 출옥하였다. 출옥 후 귀국하였으나, 1929년 11월 6일 빼앗긴 나라에서 더 이상 살 수 없다며 원통해하다가 결국 집 근처 [[낙동강]]변의 어느 나무에 목을 매어 자결했으며, 부인 [[성주 배씨]] 배순희(裵순희, 1902. 4. 23 ~ 1902. 6. 11)[* 배상규(裵相逵)의 딸이다.]도 남편이 죽은 뒤 3일 만에 뒤따라 자결했다. 그 뒤 11월 15일에 장례를 치렀는데 모여 든 사람이 수천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경환에게 1968년 대통령표창을, 이어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당초 성주군 대가면 용흥1리 용전마을에 안장되어 있던 그의 유해를 2010년 5월 22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이장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성산 이씨]][[분류:성주군 출신 인물]][[분류:1902년 출생]][[분류:1929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자살한 인물]][[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