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2> '''한국예술종합학교 제1대 총장[br] {{{+1 이강숙}}} [br]李康淑'''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강숙(1936).png|bgcolor=#fff&width=100%]]}}} || ||<|2> '''출생''' ||[[1936년]] [[9월 25일]]|| ||[[경상북도]] [[청도군]]|| || '''사망''' ||[[2020년]] [[12월 22일]] (향년 84세)|| || '''가족''' ||배우자 문희자[br]자녀 이윤수, 이석재, 이인재|| || '''학력''' ||[[경북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 (기악 / 학사)}}}[br][[휴스턴 대학교]] 대학원 {{{-2 (음악문헌학 / 석사)}}}[br][[미시간 대학교]] 대학원 {{{-2 (음악교육학 / 박사)}}}[br]모스크바 국립음악원 {{{-2 (명예박사)}}}|| || '''경력''' ||[[계명대학교]] 음악과 조교수[br][[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음악과 조교수[br][[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br]한국음악학회 회장[br]계간 《낭만음악》 발행인[br]모스크바 국립음악원 명예교수[br]제3대 안익태기념재단 이사장[br][[KBS 교향악단]] 초대 총감독[br][[한국예술종합학교]] 석좌교수, 총장||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음악학자, 교수, 소설가. == 상세 == 1936년 9월 25일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2남 2녀의 막내로 태어났다. 피아니스트가 되고 싶은 꿈을 갖고 집안의 완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1955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에 입학하여 기악과로 전과했다. 졸업 후 수 차례 독주회를 가졌으며 1965년부터 1968년까지 [[계명대학교]] 피아노과 조교수로 있다가 1968년 미국 [[휴스턴 대학교]]로 유학을 떠나 1970년 음악문헌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75년 [[미시간 대학교]]에서 음악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5년부터 1977년까지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에서 조교수를 지냈으며 1977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 교수로 부임하여 줄곧 '한국음악'과 '음악적 모국어 찾기'에 매진했다. 1965년 《[[사상계]]》 신인상에 '배회의 시간'이라는 작품을 응모하기도 했던 문학적 열정은 음악에 대한 글쓰기에 대한 관심으로 옮겨가 음악평론을 시작하였으며 2001년에는 《현대문학》에 단편소설 '빈 병 교향곡'을 발표하면서 정식 등단하였고 2004년에는 첫 장편소설 '피아니스트의 탄생'을 냈다. 1981년 서울대 음대에 처음으로 음악이론 전공[* 당시는 작곡과 내의 한 전공이었으나 현재는 음악학과로 단독 학과가 되었다.]을 개설하고 1981년부터 1983년까지 [[KBS 교향악단]]의 초대 음악감독직을 맡기도 했다. 1992년 [[한국예술종합학교]]가 개교하면서 서울대 교수직을 사직하고 초대 ~ 3대 총장을 역임했다.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이 한예종 설립의 초석을 다졌다면, 이강숙 교수는 한예종 교육의 청사진을 그린 인물이다.[[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4979594&memberNo=42430508&vType=VERTICAL|#]] 설립 초기 턱없이 부족한 예산을 위해 하루에도 다섯 번씩 담당 공무원들을 찾아가 예산 편성을 부탁했다고 한다. 2002년 대한민국 예술교육 발전에 공헌한바를 인정 받아 금관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2020년 12월 22일 84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 가족 == [[숙명여자중학교]]에 음악교사로 있을 때 같은 학교 국어교사였던 문희자를 만나 결혼하여 2남 1녀를 두었다. 장남 이석재는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철학 석사, [[예일 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고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차남 이인재[* 미국명 Edmund Injae Lee]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및 자연과학대학 계산통계학과를 졸업하고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에서 [[MBA]]를 취득한 후 알릭스파트너스 부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장녀 이윤수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미술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산업디자인 석사, [[웨스턴 미시간 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으로 석사 학위를 받고 [[매사추세츠 대학교]] 다트머스(UMass Dartmouth) 시각·공연예술 칼리지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저서 == * 음악학의 본질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1978) * 열린 음악의 세계: 이강숙 음악평론집 (은애, 1980) * 종족음악과 문화 (민음사, 1982) * 음악의 방법 (민음사, 1992) * 음악적 모국어를 위하여: 이강숙 음악평론집 (현음사, 1985) * 음악의 이해 (민음사, 1985) * 음악선생님을 위하여: 음악교육사상 (낭만음악사, 1990) * 한국음악학 (민음사, 1990) * 음악 천사의 사랑 (비룡소, 1995) * 술과 아내 그리고 예술: 이강숙 산문집 (창작과비평사, 2001) * 피아니스트의 탄생: 이강숙 장편소설 (현대문학, 2004) * 빈병 교향곡: 이강숙 소설 (민음사, 2006) * 젊은 음악가의 초상: 이강숙 장편소설 (민음사, 2011) * 음악 선생님을 위하여: 음악과 교육에 관한 시대를 초월하는 근원적 질문과 답변 (예솔, 2015) * 괄호 속의 시간: 이강숙 소설집 (현대문학, 2015) == 수상 == * 2002년 [[금관문화훈장]] [[분류:1936년 출생]][[분류:청도군 출신 인물]][[분류:2020년 사망]][[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휴스턴 대학교 출신]][[분류:미시간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대한민국의 예체능 교수]][[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금관문화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