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삼국지연의의 가공인물, rd1=이씨(삼국지))] [include(틀:한국의 성씨)]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목차] ||<-2><:>'''로마자 표기'''|| ||<:>{{{#373a3c,#ddd '''통용 표기'''}}} || Lee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373a3c,#ddd '''RR식 표기'''}}}]] || I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373a3c,#ddd '''MR식 표기'''}}}]] || I[* 규정상 I이다. 다만 Yi를 선호하는 것을 예로 들어 언급하였다.] || ||<:>{{{#373a3c,#ddd '''기타 표기'''}}} || Yi, Li, Rhee, Yee, Rhie || == 李 == [[李]]([[자두|오얏]] 나무 리)[* [[두음 법칙]]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이'로 표기하고 발음하며 북한에서는 '리'로 표기하고 발음하고, 여권(旅券)에는 '리', 중국에서도 '리'로 표기하고 발음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모든 이씨들이 [[두음 법칙]]을 적용함으로써 '''이'''라고 읽고 쓰며, 두음 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북한]]에서는 한자 본음대로 '''리'''라고 읽고 쓴다. 하지만 해외 나가면 둘 다 '''리'''라고 읽는다.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성씨로, 2015년 기준으로 전국에 총 7,306,828명이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 전체 인구(2015년 당시 51,069,375명)의 '''약 14.3%''' 수준이다. 이씨는 한국에서 인구수로 보았을때 크게 두 가지 계열로 나뉘는데, 가장 유명한 첫 번째 이씨는 [[신라]]시대 인물인 [[이한(신라)|이한]]을 시조로 하며 [[조선]] 왕조를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성씨인 '''[[전주 이씨]]''' 계열이 있고, 두 번째로는 [[박혁거세]]가 [[신라]]를 건국할 때 당시 [[경주시|경주]] 6부 중 알천 양산촌의 촌장이었던 [[이알평]]에서 유래된 '''[[경주 이씨]]''' 계열이 있다. [[한국]]뿐 아니라 [[중국]], [[홍콩]], [[대만]], [[베트남]], [[싱가포르]] 등 [[아시아]]의 [[한자문화권]] 전반에 걸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 수는 무려 '''1억 명'''이 넘는다. 당연하지만 '''전세계에서 인구가 제일 많은 성씨'''이기도 하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s_of_most_common_surnames]], A world ranking is only approximate because some countries do not provide a specific number of people who bear a certain surname.][* [[영어권]] 국가만으로 한정한다면 Smith가 제일 흔한 성씨가 되고, [[베트남의 성씨|베트남]]에서는 [[응우옌]], [[한국]]에서는 [[김(성씨)|김씨]] 등 각 지역별로 성씨 순위는 차이가 있지만, 이씨가 [[중국의 성씨|중국]]에서 9300만 명 이상으로 2위이고, 한국에 700만 명이 넘는 이씨가 있어서 전 세계적으로 1위가 된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미국]], [[캐나다]], [[호주]]에서도 많이 발견되는 성씨인데 중국과 한국에서 건너온 [[이민|이민자]]들이 많기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미국]]에서 Lee 씨는 69만 3023명으로 21번째로 흔한 성인데 이것은 미국에서도 존재하는 [[백인]] 성씨 Lee와 [[아시아인]] Lee를 합친 숫자로, 백인을 제외한 아시아인 Lee 인구수는 29만 2455명이다. 여기에 중국 및 기타 [[동아시아]]권 이씨들이 사용하는 철자인 Li 씨 인구수(11만 1786명)를 더하면 미국 내의 이씨 성을 가진 인구수(Lee와 Li)는 40만 4241명이 된다. 즉, 이씨는 미국 내에서 43만 7645명인 [[베트남]]의 [[응우옌]](Nguyen) 다음으로 아시아인으로서 2번째로 흔한 성씨가 된다. 한국에서 가장 흔한 성씨인 김씨는 미국에 총 26만 2352명이 있으며, 아시아인 성씨 순위로는 3위이며 전체 순위로는 77위이다. [[캐나다]]의 [[밴쿠버]]에서는 이/리씨(Li)가 2위 Smith를 따돌리고 제일 흔한 성씨라고 한다. 한국 표기인 Lee씨는 28,343명으로 8위이다. [[https://www.darby.ca/white-pages/236/canadas-most-common-surnames-dissected]] 매우 극소수이지만 한국에서도 '리'를 쓰는 사람이 2015년 기준으로 240명 존재한다. 전 대학교수인 [[리영희]]와 리대룡이 대표적이며 [[이승만]]과 [[이기붕]]도 [[3.15 부정선거|당대]]의 선거 포스터에서 '리승만'과 '리기붕'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건 [[두음법칙]] 적용이 강제가 아니기 때문이고, [[유씨]]를 [[류씨]]로, [[나씨]]를 [[라씨]]로 사용하는 것도 허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중국]]에서는 이씨와 왕씨가 1위를 엎치락뒤치락한다.[[http://weeklytrade.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36&item=&no=18360|#]] [[https://zh.wikipedia.org/wiki/%E4%B8%AD%E5%9B%BD%E5%A7%93%E6%B0%8F%E6%8E%92%E5%90%8D#2014.E5.B9.B46.E6.9C.88|#]] 또한, 중국 내의 벽지에 있는 모든 인구의 성씨를 정확하게 집계하는 건 불가능하기 때문에 중국 본토 내에서 왕씨와 리씨 누가 1위인지는 조사 기관에 따라 결과가 바뀐다. 그러나 한국과 북한의 리씨를 합하면 10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예측되고, 왕씨는 한반도 내에 거의 없다는 점[* 그런데 [[왕씨 학살|왕씨가 한국에 없는 이유]]가 [[태조(조선)|이씨]] 때문인 게 포인트다. --사실 세계 1위 성씨를 공고화하게 하기 위한 이성계의 큰 그림이었다 카더라--], 그리고 [[대만]]과 [[싱가포르]]에서도 리씨가 왕씨보다 근소하게 많으며, [[베트남]]에도 왕씨보다 리(Ly)씨가 많다는 점 등을 생각해 볼 때 전 세계적으로 리씨가 왕씨보다 많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리씨가 왕씨를 넘어 '''세계 최다 성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위는 장씨나 왕씨이지만, 정확한 통계를 각 나라에서 제공을 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하게는 알 수 없다.[* [[https://www.reference.com/education/10-common-last-names-world-ff45abb098a0454b]] A world ranking is only approximate because some countries do not provide a specific number of people who bear a certain surname.] 리씨는 [[장(성씨)|장(張)씨]]와 함께 보통의 중국 사람들을 의미하는 장삼이사(張三李四)라는 관용구에 쓰인다. 그러나 현대의 중국에서는 왕씨와 리씨를 아무개 이름으로 더 잘 쓴다. 장삼이사는 송대부터 쓰였으며 같은 말로 장왕조이(張王趙李)가 있는 걸 보면 이들 4개 성씨가 당시부터 흔했음을 알 수 있다. 역사적으로는 '니'라고 읽고 쓴 적도 있다. 광해군 때 간행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는 한자로 李라는 성씨를 표기하고 그 옆에 '''한글 발음'''을 병기해 놓은 이름들이 많이 실려 있는데, 전부 '''니'''로 표기되어 있다. ㄹ→ㄴ 두음 법칙은 16세기부터, 구개음 ㄴ→탈락은 18세기 후반부터 간간이 나타났는데, 동국신속삼강행실도가 간행된 17세기 초반 당시에는 ㄹ→ㄴ만 나타났고 구개음 ㄴ→탈락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이씨뿐만 아니라 ㄹ음이 초성으로 오는 다른 성씨도 마찬가지. 즉 우리가 잘 아는 [[이순신]]이나 [[율곡 이이]]도 당시 16세기 발음으로 하면 '니슌신',[* '슌'은 오타가 아니다. 실제로 舜의 역사적 [[한국 한자음]]은 '슌'이다. ㅅ,ㅈ,ㅊ에 ㅑ,ㅕ,ㅛ,ㅠ가 붙은 음가를 가진 한자는 모두 현대에 ㅏ,ㅓ,ㅗ,ㅜ로 발음이 변화하였다. 成도 본래는 셩이었다.] '니'[* 珥와 같은 일모(日母) 발음, 즉 반치음은 이이가 사망했을 무렵은 이응으로 계승되던 시기였다. 이 음은 중국에서는 권설음(r)으로 계승되고, 일본에서는 ザ행(サ가 아니다.)이나 ナ행으로 계승되었다. ジン으로도 발음되고 二ン으로도 발음되는 人이 그 예시다.]가 된다. 이게 19세기 후반에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남아서, 흥선 대원군이 중국에 잡혀 갔을 때 흥친왕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홍장]]을 '니 즁탕'이라고 표기한 바 있다.[* 현대 한국어로는 '이 중당'이 되는데, 중당(中堂)은 재상을 의미한다.] 오만 원권이 생기기 전 [[대한민국 원]]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은 모두 이씨였다. 1950년대 이래로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절 도안에 들어있던 [[이승만]]부터 시작해 백 원-[[이순신|'이'순신]], 천 원-[[이황|'이'황]], 오천 원-[[율곡 이이|'이'이]], 만 원-[[세종(조선)|'이'도]]까지. 다만 본관은 모두 달랐다. 이순신과 이이는 [[덕수 이씨]], 이황은 [[진보 이씨]], 세종대왕은 [[전주 이씨]]. 그래서 오만 원권 지폐가 생기기 전에는 화폐에는 이씨만 들어갈 수 있다는 농담이 존재했다. 이 기록은 2009년 [[신사임당|오만 원권 지폐]]([[평산 신씨]])가 생긴 이후로 깨지기는 했으나, 그 신사임당마저도 이씨 가문에 시집가서 오천 원권의 주인공인 율곡 이이를 낳았으니. 참고로 1962년 냉면전문점 흥남집 사장 일가(권기순, 윤재순)가 도안으로 들어간 백환권 지폐가 존재했으나, 딱 1달만 유통되어서 수집가들이나 가지고 있는 신세다. === 로마자 표기 === ||<-2><:>'''로마자 표기'''|| ||<:>{{{#373a3c,#ddd '''통용 표기'''}}} || Lee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373a3c,#ddd '''RR식 표기'''}}}]] || I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373a3c,#ddd '''MR식 표기'''}}}]] || Yi || ||<:>{{{#373a3c,#ddd '''기타 표기'''}}} || Li, Rhee, Yee, Rhie || ||<-2><:>'''국립국어원 이씨 로마자 사용 실태조사'''[* '성씨의 로마자 표기 실태', [[https://korean.go.kr/front/etcData/etcDataView.do?etc_seq=179&mn_id=46|성씨 로마자 표기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부록 2, 국립국어원, 2009.6.25.]|| ||<:>Lee || '''98.5%''' || ||<:>Yi || 1.0% || ||<:>Rhee || 0.2% || ||<:>Yee || 0.05% || ||<:>Rhie || 0.02% || ||<:>기타 || I, Ii, Lii, Ree, Rhi 등 || 대한민국은 주로 '''Lee'''(리)로 쓰고, 북한은 '''Ri'''(리)라고 쓴다, 중화권에서는 주로 '''Lee, Li'''(리)를 사용한다. Lee라는 이름 혹은 성은 전술되었듯 영어권에도 존재하는데 [[Lee]] 브랜드로 유명한 데이빗 헨리 리 역시 이 Lee가 성이며, 미국 [[남북전쟁]]의 명장 [[로버트 E. 리]], [[앵무새 죽이기]] 작가 [[하퍼 리]] 등 Lee가 성씨인 영어권 시민들은 의외로 많은 편이다. 한국에서 Lee를 쓰게 된 이유 역시 외국 사람들이 생판 모르는 표기를 쓰는 것보다는 이미 있는 이름을 활용해서 써주는 것이 더 친근하게 느껴졌던데다 1세대 이민자들이 대부분 자신의 이름 표기를 기존 성씨에서 사용한 것에서 기원한다. 표기 방법 자체는 많은 편이다. Ee 역시 존재하며 사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르면 '''I'''가 올바른 표기인데도 이 표기를 채택하는 사람은 사실상 없다. 실제로 [[국립국어원]]은 [[2001년]]에 해외에 한 글자로 된 성이 드물고[* [[한국의 성씨]] 가운데 ''로마자 한 글자''로 표기될 수 있는 성씨가 넷 있는데, 이씨를 비롯해서 [[아(성씨)|A(아씨)]], [[오(성씨)|O(오씨)]], [[우(성씨)|U(우씨)]]가 있다.]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에 '''I'''라는 표기에 대해서 지적하며 '''Yi'''(이) 사용을 권고했다. 실제로 '이' 발음에 가까운 '''Yi'''를 쓰기도 하는데 [[이순신]]이나 [[퇴계 이황]]의 성씨는 주로 Yi를 사용한다. 실제로 [[조선 왕조]]는 '''Yi Dynasty/House of Yi'''로 통용되는데 [[영어 위키백과]]에서도 조선 왕조 왕족 성씨를 Lee가 아니라 Yi로 쓰고 있다. 때문에 [[세종대왕]] 역시 Yi Do(이도)로 표기한다. 그러나 [[현대시대]] 이후 Yi를 성씨로 사용하는 이는 위 표에서도 보이듯이 드문데 일제강점기의 작가 [[이상(작가)|이상]]이나 우주비행사 [[이소연(1978)|이소연]], 야구선수 [[이정용(야구선수)|이정용]] 등이 Yi를 사용하고 있다. Yi 혹은 I는 굳이 쓴다면 성씨보다는 이름에 '이'가 들어갈 때 사용. 대표적인 예시가 [[박한이]]. 실제로 대한민국의 이씨 중에서 Yi라고 쓰는 사람은 많지 않으며 대부분은 Lee로 적는다. 대표적으로 [[이명박]], [[이재명]], [[이강인]], [[이상화]], [[이민호]] 등 해외에 알려진 이씨 유명인들도 대부분 Lee로 통용된다. 그 밖에 [[이승만]]과 해군 예비역 대위 [[이근]], 야구 선수 [[이대은]]처럼 Rhee를 쓰는 사람도 있다. 만화가 [[이원복]]은 Rhie를, 현대 미술가 이수경은 [[http://koreaartistprize.org/en/project/yee-sookyung/|Yee]]를 사용한다. 참고로 [[이완용]]은 [[http://search.i815.or.kr/ImageViewer/ImageViewer.jsp?tid=mf&id=3-004541-036-0047|Ye]]--예--라고 썼다. 성이나 이름의 로마자 표기는 처음 여권을 만들 때 정하는 표기에 따르며, 웬만해서는 바꾸기 어렵다는 서약이 동반된다. === 지역별 분포 === 이(李)씨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은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인구의 '''21.49%'''가 이(李)씨다.[* 인구의 21.08%인 김(金)씨보다 많다!] 그 뒤를 [[경상남도]] [[거창군]](18.94%), [[충청남도]] [[청양군]](18.64%), [[경기도]] [[포천시]](18.62%), [[충청남도]] [[공주시]](18.56%)가 이었다. 반대로 이(李)씨가 가장 적게 분포하는 지역은 [[전라남도]] [[고흥군]]으로, 고작 인구의 '''11.01%'''만이 이(李)씨다. 그 뒤를 [[전라남도]] [[신안군]](11.0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11.26%), [[전라북도]] [[순창군]](11.29%), [[전라남도]] [[여수시]](11.38%)가 이었다. [[경상북도]] [[성주군]]은 김(金)씨가 인구의 21.08%로 전국과 유사한 분포를 보이지만, 이(李)씨가 이보다 0.41% 많은 21.49%를 보여서 근소한 차이로 김(金)씨는 지역 2위 성씨가 되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이(李)씨가 1위인 지역인 셈이다. 본관별로 따지면 [[전주 이씨]]는 [[전라북도]] [[완주군]]과 [[임실군]], [[충청남도]] [[예산군]]과 [[서산시]] 등 서해안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경상북도]] [[영양군]], [[안동시]], [[청송군]] 등 경북 북부에 적게 분포한다. [[경주 이씨]]는 [[경상북도]] [[상주시]], [[청도군]], [[영덕군]] 등 경상북도에 많이 분포하고, [[전라남도]] [[곡성군]]과 [[영광군]], [[전라북도]] [[순창군]] 등 전라도에 적게 분포한다. === 목록 === * 가리 이씨 * 가산 이씨 * 가평 이씨 * [[간성 이씨]]: 현재 350명만이 남은 소수 이씨 씨족으로 [[강원도]] [[고성군(강원도)|고성군]] [[간성읍]]이 발원지이다. [[미수복지역]]인 [[함경남도]] [[안변군]]에 집성촌이 위치해 [[족보]] 등이 소실되어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송로를 중시조로 본다. * 강릉 이씨 * 강화 이씨: 여주 이씨 문순공파에서 분적한 씨족 * 개성 이씨: 청주 이씨에서 분적한 씨족 * 거창 이씨 * 경산 이씨 * [[경주 이씨]]: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성씨들 중 하나로 [[진한]] 6부 알천양산촌의 촌장이며 [[박혁거세]]를 왕으로 추대한 [[신라]]의 개국 원훈 [[이알평]]이 시조이다. 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 [[이명박]]과 [[삼성그룹]]의 창업주인 [[이병철]] 등 [[범삼성가]]의 본관이기도 하다. 또한 이씨의 상당수가 경주 이씨에서 분적했다. 한편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전주 이씨]]도 경주 이씨에 기원을 두고 있다.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http://sillok.history.go.kr/id/kda_40006001|[* 모바일 기준으로 링크 좌측 한글 본문 5문단 21번째 줄. 우측 한문 본문에서는 59번째 줄에 謹按璿源所自, 卽慶州 李氏라고 하고 있다.]]]를 보면 "삼가 선원(璿源)[* 선원(璿源)은 왕실조계(王室祖系)를 서술한 것이다. 조선 태종(太宗) 때에는 왕실의 족보에서 태조(太祖)의 서형제를 분간하기 위하여 세 가지로 나누어 만들었다. 즉 왕실의 조계(祖系)를 기술한 것을 선원록(璿源錄), 종자(宗子)를 기술한 것을 종친록(宗親錄) 그리고 종녀(宗女) 및 서얼(庶孽)을 기술한 것을 유부록(類附錄)이라 하여 구별하였다.]을 상고하건대, 본디 나온 곳은 경주 이씨이다.''라고 하고 있다.[* 경주 이씨의 분적종인 [[합천 이씨]] 세보에서 발견된 35대 실전세계에 의하면, [[전주 이씨]]의 시조 [[이한]]은 경주 이씨 시조 36세라고 한다. 다만 경주이씨대종회에서는 35대 실전세계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지는 않다.] * 고령 이씨: 여주 이씨 문순공파에서 분적한 씨족 * [[고부 이씨]]: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을 본으로 하는 성씨이다. 집성촌은 [[제주도]]에 있다. * [[고성 이씨]]: [[조선]] [[인조]] 때 [[이괄의 난]]을 주동한 [[이괄]]의 본관이다. * [[공주 이씨]]: [[충청남도]] 공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다. 시조는 이천일(李天一)이다. 유명인으로는 축구선수 [[이강인]]이 있다. * [[광산 이씨]]: [[광주광역시]]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다. * [[광주 이씨]]: '''[[광주시|경기도 광주시]]'''를 본으로 하는 성씨이다. [[광주광역시]]를 본으로 하는 성씨는 바로 위의 광산 이씨. 오성과 한음 중에서 한음 [[이덕형]]의 본관이다. * [[금구 이씨]]: 금구(金溝)는 현재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을 가리키고, 봉산 이씨에서 분적한 성씨이다.[* [[경주 이씨]]에서 나왔다고는 하나. 실제로는 [[용인 이씨]]와 [[익산 이씨]]의 조상을 짜깁기한 흔적이 있다.] * 길주 이씨: [[조선]] [[세조(조선)|세조]] 때 [[이시애의 난]]을 주동한 [[이시애]]의 집안이다. * 김해 이씨 * 나주 이씨 * 농서 이씨 * [[단성 이씨]]: 단성(丹城)은 현재의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을 가리키고, 전의 이씨에서 분적했다는 설이 있다. * [[단양 이씨]]: [[충청북도]] [[단양군]]을 본관으로 하며 시조은 이평규라고 한다. * [[대흥 이씨]]: 전주 이씨에서 분적한 씨족. * [[덕산 이씨]]:덕산은 지금의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이고, 주로 [[칠곡군]]에 집성촌이 있다. * [[덕수 이씨]]: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본관이다. 더불어 [[율곡 이이]]의 본관이기도 하다. * [[독일 이씨]]: 실제 독일 이씨는 [[이참]]이 귀화를 하고 독일 이가의 시조가 되었다. * 밀양 이씨 * [[벽진 이씨]]: 생육신 중 한 분인 경은 이맹전 선생의 본관이다. * [[봉산 이씨]] * [[부평 이씨]] * [[사천 이씨]]: 동성 이씨라고도 불린다. 구암 이정 선생의 본관이다. * [[서림 이씨]]: 서천 이씨라고도 불림. 3천 명 내외의 수를 간신히 유지 중인 희성에 들어간다. * [[서산 이씨]]: 이쪽도 전국에 1,000명 미만이라고 한다. * [[선산 이씨]]: 광평 이씨라고도 불린다. * [[성산 이씨]]: 성주군 월항면 인근을 관향으로 하는 성씨이다. 집성촌 가운데 한개마을이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성주 이씨]]: 성주를 지칭하는 지명으로 성산, 벽산 등이 있어서 혼동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성주를 뜻하지만, 성주 이씨, 성산 이씨, 벽산 이씨는 다른 성씨이다. 바로 위의 벽진 이씨도 성주의 벽진면을 관향으로 하는 성씨이다. * [[수안 이씨]]: 현대 불교의 스님 중의 한 사람인 [[효봉]](속명은 이찬형)스님의 본관이다. * [[수원 이씨]]: 공주 이씨에서 분적한 씨족 * [[순천 이씨]] * 신주 이씨 * [[신평 이씨]]: 충남 당진시 신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 백제 때 신평호장을 지낸 이인수(李仁壽)의 후손으로 고려에서 문하시랑 평장사를 지낸 이덕명(李德明)을 시조로 한다. * [[아산 이씨]]: 경주 이씨에서 분적한 씨족 * [[안산 이씨]]: [[안산 이씨 경기계|경기계]]와 철산계로 나뉘는데, 경기계는 연안 이씨에서 분적한 계통이고 철산계는 경주 이씨에서 분적한 계통이다. * [[안성 이씨]]: 조선 개국 공신의 한 명인 [[이숙번]]의 본관이다. * [[안악 이씨]]: 경주 이씨보다 오래된 이씨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시조에 대해서는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 양산 이씨: 같은 양산이지만, 한자로 양산(梁山)[* [[이징옥의 난]]의 주동자인 [[이징옥]]의 본관으로, [[인천 이씨]]로 통합했다.]과 양산(陽山)[* 양산은 지금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을 가리키며, 공주 이씨에서 분적한 성씨이다.]으로 쓰는 씨족이 존재한다. * [[양성 이씨]]: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로 시조 이수광(李秀匡)이 송나라 사람[* 이수광이 송나라 사람이 맞는지에 대한 기록은 확실하지 않다. [[바이두]]에서 검색해 보면, 양성 이씨의 시조나 이영애의 성씨로만 언급되는 경우가 많고 [[송사|송사(宋史)]]에 나오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으로 고려에 와서 문종 조에 벼슬길에 올라 양성군(陽城君)에 봉해진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배우 [[이영애]]의 성씨이기도 하다. * [[양주 이씨]] * [[여주 이씨]]: 조선시대 대표적 명문가, 백운거사 [[이규보]], 회재 [[이언적]], 성호 [[이익(실학자)|이익]]의 본관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과 [[옥산서원]]을 지닌 가문이기도 하다. * [[연안 이씨]]: 조선시대 대표적 명문가, [[전주 이씨]] 다음으로 문과 배출자가 가장 많다. * [[영천 이씨]]: 같은 영천이지만 한자로 영천(永川)과 영천(寧川)[* 지금의 [[임실군]]]으로 쓰는 씨족이 존재한다. * [[영해 이씨]]: 대흥 이씨와 마찬가지로 전주 이씨에서 분적한 성씨 * [[예안 이씨]]: 전의 이씨에서 분적한 계열(전의 이씨 문장공파)과 고려 후기의 인물인 [[이지저(승안군)|이지저]](승안군파)로 나뉜다.[* 다만 승안군파의 경우는 1979년에 발간한 전의이씨성보에서 들어갔다가 대수상의 혼란과 여러 가지 문제로 이후 편찬된 족보에서 빠졌다.] * [[용인 이씨]]: [[경기도]] [[용인시]]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 시조는 고려의 개국공신 이길권(李吉卷)이다. * [[우계 이씨]]: 경주 이씨에서 분적한 씨족 * [[우봉 이씨]] * [[울산 이씨]]: 밑에 서술할 학성 이씨하고 다른 씨족 관계에 있으며, 경주 이씨에서 분적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 [[원주 이씨]]: 시조(始祖) 이신우(李申佑)는 1004년(고려 목종 7)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여 문종조(文宗朝)에서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원주백(原州伯), 경흥군(慶興君)에 봉작되어 호장(戶長)으로 원주(原州)에 세거(世居)하면서 본관(本貫)을 경주(慶州)에서 원주 이씨(原州李氏)로 분관(分貫)하였고, 경원군파(慶原君派), 판도판서공파(版圖公派), 강릉공파(江陵公派) 3파(三派)후손을 두었다. 중국에서 건너와 정착한 이춘계(李春桂)의 후손도 원주 이씨로 동성 이본이다. * [[익산 이씨]] * [[인천 이씨]]: 경원 이씨, 인주 이씨라고도 하며 고려 때 척신으로 유명한 [[이자연]], [[이자겸]]의 본관이다. [[수로왕]]의 후손으로 본래 [[허씨]]였다. * [[재령 이씨]] * 적성 이씨: 고려 문하시중 이만길이 시조이다. * [[전의 이씨]]: 고려 시대 2등 공신이자, 전산후에 봉해진 태사공 이도의 본관으로, 가수 [[이문세]], 정치인 [[이철승]], 충청북도 도지사 [[이시종]] 등이 있다. 충청도 관찰사를 무려 11명을 배출했으며, 영의정까지 나온 집안이다. 세종대왕이 직접 하사한 열성어필 '가전충효 세수인경' 가훈도 유명하다. * [[전주 이씨]]: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본관으로 시조는 [[신라]]시대 인물인 [[이한(신라)|이한]]이다.[* 정확히는 이성계의 가문이 전주 이씨에 속하는 것이다.]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선 왕가의 국성이고, 계족과 계파가 너무나 방대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를 참고.) * [[장수 이씨]]: 조선 초기 [[쓰시마]] 정벌을 주도한 [[이종무]] 장군이 이 본관이며, 그의 후손으로는 화가 [[이중섭]]이 있다. 여기도 경주 이씨에서 분적했다는 설이 있다. * [[재령 이씨]]: [[경주 이씨]]에서 분관. [[황해도]] [[재령군]]을 본관으로 한다. 문학가 [[이문열]]의 본관. [[음식디미방]] 저자인 [[장계향]]은 재령 이씨 집안에 시집온 여인으로, 이문열의 조상. 정작 재령군에 사는 후손은 없고 오히려 영남 쪽에 후손이 몰려 있다. * [[정선 이씨]]: [[베트남]] [[베트남/역사#s-5.3|리 왕조]] [[황족]]의 후손. 4대 [[황제]] [[인종]]의 아들 이양혼이 시조이다. [[이의민]]의 본관. * [[진보 이씨]]([[진성 이씨]]): 퇴계 [[이황]], [[이육사]]의 본관이다. [[장계향]]의 시어머니가 진성 이씨. * 진안 이씨 * [[진위 이씨]]: 고려 시대 예의판서를 지낸 이자영이 시조이다, 선대는 [[경주 이씨]]에서 분적한 재령 이씨이며, 분적종으로는 [[덕은 이씨]]가 있다. * 진주 이씨: 경주 이씨에서 분적한 씨족 * [[창녕 이씨]]: 시조인 이정현(李正賢)은 고려 원종 5년에 출생하여 [[충선왕]] 때 과거에 급제하고, 예의판서(禮儀判書)를 거쳐 창산(昌山)군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은 창녕을 본관으로 하였다. * [[청안 이씨]]: 호남파(충간공파)와 영남파(충원공파)로 나뉘어져 있다. * [[청주 이씨]] * [[청해 이씨]]: 여진족이자 조선의 개국 공신 중의 하나인 [[이지란]]이 시조이다. * [[충주 이씨]] * 태안 이씨 * [[평산 이씨]] * [[평창 이씨]]: 조선 최초의 가톨릭 영세자인 [[이승훈 베드로]]의 본관이다. * [[하빈 이씨]]: 고려 명종 때에 예부상서를 지낸 이거가 시조이며 발원지는 현재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이다. [[전주 이씨]] 평장사공파로도 불린다. 사회주의 독립운동가인 [[이동휘]]와 가수 [[이찬원]]의 본관이다. * [[학성 이씨]]: 학성은 현재의 [[울산]]을 말한다. 조선 [[세종대왕|세종]] 시대 일본과의 외교를 담당했던 이예를 시조로 하며 전 중앙정보부장 [[이후락]], 전 공군참모총장 [[이한호]] 등이 있다. * [[한양 이씨]]: 조선 중기 옥천군수를 지낸 의병장 이봉이 한양 이씨다. 시조는 미상이나, 이봉이 [[양녕대군]]의 5대손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전주 이씨]]에서 분관한 것으로 추측된다. 벨라루스 출신의 이 세르게이가 귀화하면서 본관을 한양으로 성을 이씨로 정해 이 가문의 인물이 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HzrLbgFYWj8&ab_channel=%EB%B9%84%EB%94%94%EC%98%A4%EB%A8%B8%EA%B7%B8-VIDEOMUG|#]] 사실 한양 이씨는 세르게이 뿐만 아니라 본관이 없는 무적자가 이 성씨를 본관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3737237&code=11121900|#]] * [[한산 이씨]]: 시조는 고려의 호장 이윤경이며, 고려 말 [[신진사대부]]의 스승 목은 [[이색(고려)|이색]]이 중시조이다. 조선 시대 아계 [[이산해]], 토정 [[이지함]], 대산 [[이상정]], 소산 [[이광정]],약와 [[이현정]],월남 [[이상재]] 등이 있다. 현대 문학 작가 명천 [[이문구]]가 있다. * [[함안 이씨]]: 고려 시대 말기 장군을 지낸 [[이방실]]이 속한 가문 * [[함평 이씨]]: 시조는 고려 광종 때 신무위대장군을 지낸 이언. 현 기준으로 이쪽 본관의 유명인은 야구선수 [[이종범]], [[이정후]][* 이종범의 아들.]와 영화배우 [[이제훈]]이 있다. * [[합천 이씨]]: [[경주 이씨]] 39세손 대에서 분관된 성씨. * [[해주 이씨]]: [[연안 이씨]] 대장군공파에서 분관된 성씨이다. * 홍주 이씨 * [[화산 이씨]]: [[베트남]] [[베트남/역사#s-5.3|리 왕조]] [[황족]](이용상)의 후손. * [[흥양 이씨]]: 흥양은 지금의 [[전라남도]] [[고흥군]]이며, [[경주 이씨]]에서 분적했다는 설이 있다. * [[양산 이씨]]: 양산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 대표적인 인물로는 이준성이 있다. === [[이(성씨)/목록|인물별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성씨)/목록)] == 異 == 異(다를 이). 오얏나무 리/이(李)씨와 달리 원래 발음이 "이"이다. 그러니까 북한에서도 "이"씨 그대로 읽는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에 5개 본관 339명이 존재한다. [[남원시|남원]], [[밀양시|밀양]], [[청양군|청양]] 등 이씨가 여기에 해당되며 공식적으로는 밀양 단본이다. 밀양 이씨로는 1784년(정조 8) 무예별감(武藝別監)으로 정시(庭試) 무과에 병과 97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84_100101|급제해]] 1801년([[순조]] 1) [[경희궁]] 위장(衛將, 종2품)에 [[https://sjw.history.go.kr/id/SJW-H01070300-03200|오른]] 이재풍(異在豊, 1762 ~ ?)이 있었다. 당시 거주지는 [[한성부]]였고, 아버지는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이경기(異景基)[* 아들과 마찬가지로 무과에 급제해 1786년(정조 10) 광량진 병마첨절제사(廣梁鎭兵馬僉節制使, 종3품)에 [[https://sjw.history.go.kr/id/SJW-G10120260-02400|올랐다]].]였다. 시인 [[이하윤]]이 이 성씨를 쓴다. == 伊 == 伊(저 이). 본관은 백천, [[충주시|충주]] 등이다. 중국에서 귀화한 성씨라고 하며 역시 이쪽도 한자가 다름에 주의하자. 2와 마찬가지로 원래 발음도 "이"이다. 마찬가지로 이 성씨도 북한에서도 그대로 "이"씨이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남한에 249명이 있는것으로 확인되었다. == 㛅, 怡 ==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성씨이다. 시조와 본관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이(㛅)씨는 전국에 5명, 이(怡)씨는 전국에 7명이 있다고 나타났다. == 관련 문서 == * [[한국의 성씨]] [[분류:이씨]][[분류:성씨/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