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 소설]][[분류:일본 라이트 문예]][[분류:2017년 소설]] ||<-2>
{{{#373a3c,#96ff0a '''{{{+1 이 세상에 [math(i)]를 담아서}}}'''[br]この世界に[math(i)]をこめて}}}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 세상에 i를 담아서 원문판 표지.jpg|width=100%]]}}} || || '''장르''' ||[[청춘]], [[성장물]] || || '''작가''' ||[[사노 테츠야]] || || '''번역가''' ||박정원 || || '''삽화가''' ||[[loundraw]] || || '''출판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미디어 웍스 문고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디앤씨미디어 || ||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 10. 25.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 05. 20. || || '''쪽수''' ||290쪽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라이트 문예]]. 소설 《[[너는 달밤에 빛나고]]》를 집필한 [[사노 테츠야]]의 두 번째 작품이다. 전작과 비슷하게 청소년의 청춘 성장물이고, 소설이 주요 장치가 된다. == 시놉시스 == > 현실에 기대를 하니까 안 되는 거야. > > 삶에 어려움을 느끼며 지루한 학교생활을 보내던 나에게 > 어느 날 날아온 한 통의 메일. > 그러나 그것은 도착할 리 없는 메일이었다. > 뒤틀려버린 나의 유일한 이성 친구이자 천재 소설가, 요시노 시온. > 반년 전에 죽은 그녀가 보내는 이 비현실적인 메일로 > 나는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아간다. > > 하지만 > 그녀가 남긴 마지막 말에 다다랐을 때, > 그곳에서는 충격적인 결말이 기다리고 있었는데……. > > 소설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전하는 최고의 감동!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소메이 코헤이([ruby(染,ruby=そめ)][ruby(井,ruby=い)][ruby(浩,ruby=こう)][ruby(平,ruby=へい)])''' 작중 1인칭 서술자. 교토에 사는 고등학생으로, 삶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중학교 1학년 때 요시노 시온과 알고 지내며 소설을 쓰는 취미를 가졌지만, 요시노가 죽자 소설을 그만둔다. 죽은 요시노에게 습관처럼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 '''요시노 시온([ruby(吉,ruby=よし)][ruby(野,ruby=の)][ruby(紫,ruby=し)][ruby(苑,ruby=おん)])''' 천재 소설가. 중학교 1학년 때 소메이 코헤이와 만나 같이 소설을 쓴다. 하지만 고등학교에 올라오고 나서 소설을 쓰는 감을 잃어버린 요시노는 결국 사망하고 만다.[* 자살인지 타살인지 구분이 되지 않았으나, 노트북에 소메이가 가장 먼저 봤어야 할 마지막 메시지를 남긴 것을 보아 자살로 생각된다.] * '''마시로 스미카''' 소메이 코헤이의 학교로 전학 온 학생. 천재 소설가 요시노 시온의 팬이 된 사람으로, 소메이의 핸드폰을 얻어 요시노 시온의 메일 주소를 알아내 소메이에게 요시노인 척 연락을 보낸 범인이다. == 기타 == [include(틀:스포일러)] * 제목인 《이 세상에 [math(i)]를 담아서》에서 '사랑' 부분에 이중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일본어로 사랑이 '아이([ruby(愛,ruby=あい)])'인데, 라틴 문자 'i'와 발음이 같다. 그래서 작중 끝부분에 요시노 시온이 마지막으로 남긴 소설의 제목이 '이 세상에 사랑을 담아서'가 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