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민주당(미국)의 계파 분류)] [include(틀:민주당(미국)의 주요 코커스)] ||<-2> [[파일:미국 민주당 의회진보 코커스 로고.png|width=200]] || ||<-2> {{{#white '''Congressional Progressive Caucus'''}}} || || '''한글 명칭''' ||의회진보 코커스 || || '''창립일''' ||[[1991년]] || ||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 || '''의장''' ||[[프라밀라 자야팔]] ([[워싱턴주|WA]]-07) || || '''의석 수(상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4C9 1.0%, transparent 1.0%)" {{{#fff '''1석 / 100석 (1.0%)'''}}}}}} || || '''의석 수(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4C9 23.0%, transparent 23.0%)" {{{#fff '''100석 / 435석 (23.0%)'''}}}}}} || || '''공식 홈페이지''' ||[[https://progressives.house.gov|[[파일:미국 민주당 의회진보 코커스 로고.pn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민주당(미국)|민주당]]의 [[진보주의]] 정파. [[신민주연합]]과 함께 민주당의 양대 정파중 하나이다. == 성향 == 신민주연합으로 대표되는 중도온건세력에 반대하는 선명 진보주의, 미국 정치 기준 [[좌익]][* Cunningham, Vinson (February 19, 2017). [[https://newyorker.com/magazine/2017/02/27/will-keith-ellison-move-the-democrats-left/amp|"Will Keith Ellison Move the Democrats Left?"]]. ''The New Yorker''. Condé Nast. Retrieved March 14, 2018.][* Andy Sullivan (October 28, 2022). [[https://www.reuters.com/world/us/negotiating-left-pramila-jayapal-now-center-joe-bidens-agenda-2021-10-28/|"Will Keith Ellison Move the Democrats Left?"]]. ''[[로이터|Reuters]]''. "These days Representative Pramila Jayapal cannot so easily be dismissed. Now-President Biden was back in the Capitol on Thursday to try to save his domestic agenda, and as leader of the '''left-wing Congressional Progressive Caucus''', Jayapal now has the clout to send trillion-dollar investments in transportation and safety-net programs to passage or down to defeat."][* Andy Sullivan (November 4, 2022). [[https://www.rferl.org/a/us-elections-control-congress-ukraine-aid/32116129.html|"Control Of The U.S. Congress Could Flip. What Does It Mean For Aid To Ukraine?"]]. ''Radio Free Europe''. "Last month, 30 Democratic House lawmakers who make up the '''left-wing Congressional Progressive Caucus''' sent a letter to Biden calling for his administration to, among other things, negotiate with the Kremlin to end the war."] [[빅텐트]] 조직이다. 미국 현지에서는 [[미국의 현대자유주의|자유주의]] 성향이 매우 강한 조직이라고 평가한다. [[미국의 진보주의|미국식 진보주의]]를 추구한다는 추상적인 의미만 담고 있으며 그 외에 공식적인 이데올로기는 없다. [[미국의 현대자유주의|현대자유주의]]자, [[사회민주주의]]자, [[민주사회주의]]자, 진보적 [[좌파 자유지상주의]]자 등 사상적으로 다양하나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면 의료보험 확대, 문화적 좌익 성향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민주당 주류도 문화적으로 자유주의적이지만 CPC는 [[민권 운동]], [[정치적 올바름]] 비롯한 사회적 이슈에서 더 적극적이라고 보면 된다. 내부에는 [[엘리자베스 워런]][* https://www.vox.com/policy-and-politics/2019/6/18/18678000/elizabeth-warren-bernie-sanders-2020-similarities-differences], [[짐 케니]]같은 [[사회민주주의]]자가 주류이나,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 [[일한 오마르]], [[아야나 프레슬리]], [[라시다 탈리브]] 같은 [[민주사회주의]]자도 적지 않게 있다. [[낸시 펠로시]]는 해당 코커스의 창립자였기에 한때 의회진보 코커스 소속이다가 하원의장 선출 이후 코커스를 떠났으며, 2010년대 이후 의장직을 수행하면서 사실상 민주당내의 주류 중의 주류로 급속도로 우경화하면서 오히려 지금은 당내 진보파와 사사건건 충돌하고 있다. 물론 공화당 입장에서는 여전히 강경파고 중도적인 인물은 아니다.] === 사회, 경제 === 다른 선진국에서는 거의 채택 중인 '모두를 위한 보편적 [[의료보험]] 정책'을 강력하게 지지한다. 소위 '''Medicare for All'''이라는 구호를 내세우는데, 이 때문에 [[모두를 위한 메디케어 코커스]]와 상당 부분 접점이 있다. 군비를 축소하고 그 재정으로 사회 전반의 복지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외에 [[환경주의]] 성향도 드러난다. 문제는 이 군비 축소 문제가 외교 문제와 많이 걸려있는데, CPC는 다소 고립주의적인 성격이 있어 해외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기지에 대한 투자를 삭감한다거나, 일부 지역에서 미군 철수에 우호적인 편이다. 사회문화적으로는 당연히 좌파적이지만 온건파를 포함해 미국 민주당 전반이 [[문화적 자유주의]] 성향이 있어서, 굳이 차이점을 꼽자면 (일부 사회주의자들을 제외하면)[[정치적 올바름]]이나 [[정체성 정치]], [[어퍼머티브 액션]] 등에 대해 민주당 주류보다 더 적극적이고 진보적인 성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민주당 주류도 저런 의제들을 부정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상대적으로 더 적극적이냐 소극적이냐 차이.] [[노동조합]] 문제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진보적인 편이긴 하지만, 당 내에서 입장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 다만 민주당 주류들이 공화당이랑 손잡고 2020년 말에 일어난 철도 파업을 불법화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려고 할 때 상원에서 반대 목소리를 내면서 (파업 노조의 주요 주장인) '유급휴가 확대'를 적극 주장한 정치인들은 의회진보 코커스 소속 의원들이였다. === 외교 ===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 민주당 당론과 괴리감이 있다. 민주당 주류는 강경한 반북성향을 드러내지만, 의회진보 코커스의 주요 정치인들은 [[평화주의]]에 기반해 남북경협, 종전협정을 지지하며 북미관계 개선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https://www.voakorea.com/a/4873832.html|#]] 문재인정부가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사업 재개를 위한 대북제재 예외조치를 미국 측에 요구했을때 미국 민주당 주류는 대북제재를 훼손하는 것으로 반대했지만, 의회진코 코커스 소속 의원들 상당수는 찬성하는 쪽이었다.[[https://www.voakorea.com/a/4873832.html|#]]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서 바이든 정부의 적극적인 [[우크라이나]] 지원과 대러 강경책과 거리를 두고 2022년 10월 25일 [[러시아]]와 휴전협상을 제안했다가 민주당 주류에게 많은 비판을 받고 다음날 철회하기도 했다.[[https://www.khan.co.kr/world/america/article/202210250734001#c2b|#]][[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1026000008|#]][*C][*D][* 미국 내 지식층 등에게 비판받았는데, 침략당한 국가 영토가 뺏긴 상태로 휴전하는게 도덕적이냐는 것이다. 말이 휴전이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게 빼앗은 영토들을 다시 돌려줄리가 없다. [[블라디미르 푸틴|푸틴]]이 우크라이나 영토를 빼앗아 만든 괴뢰국인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러시아 합병 이후 [[젤렌스키]]는 휴전협상에 부정적인 입장을 종종 내놓았다.] 전부는 아니지만 의회진보 코커스 내에서도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 [[일한 오마르]], [[아야나 프레슬리]], [[라시다 탈리브]][* 부모가 모두 팔레스타인에서 이민 온 팔레스타인계 미국인이다.], [[자말 보우먼]], [[코리 부시]] 같은 [[좌익]] 성향이 강한, 소위 '민주당 스쿼드'라고 불리는 의원들은 [[이스라엘]]에 대해서 과도하게 비난하면서 [[반시오니즘]] 입장을 취한다는 논란이 있다. 이런 이들은 대게 [[미국 민주사회주의자들]]과 연계되어 있는데 이 단체는 영어 위키백과에서도 반시오니즘 단체로 분류되어 있다. 사실 미국 주류도 이스라엘을 무조건 지지하기만 하는건 아니다. 가령 [[버락 오바마]]도 대통령 시절에 [[이란]]에 유화적 태도를 보이면서 이스라엘 정부와 상당부분 마찰을 빚었고, 오바마 본인도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를 망치고 있다'면서 대놓고 저격한 적도 있다. [[https://www.ytn.co.kr/_ln/0104_201503221054172597|#]] CPC 일부가 반유대주의 논란이 있는 건 정당한 이스라엘 정부 비판이 아닌 이스라엘의 존재 부정이 아니냐는 것이 주 초점이다. 다만 이러한 논조에 주의해야할 점은 PC 계열-온건 자유주의자 세력이 급진좌익-민주사회주의 세력을 음해하는데 사용하는 주 논조이자 트집이 반유대주의라는 점이다. 이들은 유대계인 버니 샌더스의 이스라엘 비판, 중동권 옹호에는 아무말하지않지만 AOC, 라시다 탈리브, 일한 오마르등 비유대계 민주사회주의자들의 이스라엘 비판은 무조건 반유대주의로 몰고간다. 이러한 일은 미국뿐 아니라 캐나다, 호주, 유럽까지 서구 사회 전반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대표적으로 영국의 노동당에서는 [[키어 스타머]]가 새로 당수에 취임하며 전임자 [[제러미 코빈]]의 흔적을 지우고자 반유대주의 혐의를 뒤집어씌워 코빈 본인을 포함한 코빈파 의원들을 출당시키거나 요직에서 끌어내렸다. == 같이 보기 == * [[미국 민주사회주의자들]](DSA) - DSA 사회민주주의 좌파부터 공산주의 우파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사회주의 세력들이 모인 빅텐트 조직으로, 사회민주주의 좌파에 가까운 DSA 소속 하원의원들은 의회진보 코커스와 연계하기도 한다. == 둘러보기 ==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00a495;padding:12px" {{{+1 이 문서는 [[미국/정치|미국 정치]]와 관련된 문서이며, 미국에서만 통용되는 용어와 어휘를 사용합니다.}}} * 미국 정치에서 "'''[[자유주의]]'''"(Liberalism)라는 용어는 [[미국의 자유주의|고전적 자유주의]]가 아니라 '''[[현대자유주의]]'''(사회자유주의나 진보주의)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미국의 자유주의라는 용어는 큰 정부, 보호무역주의, 더 많은 경제 개입을 주장하는, 전통적인 의미의 [[좌파]](특히 [[사회민주주의]]나 [[사회주의]] 등) 세력도 편의상 포함될 수 있습니다.[[https://washingtonpost.com/outlook/2019/09/12/stop-calling-bernie-sanders-alexandria-ocasio-cortez-liberals/|#]] 또한 미국에서 "사회자유주의"(Social liberalism)라는 용어는 주로 [[문화적 자유주의]]를 의미합니다. * 미국 정치에서 "'''[[보수주의]]'''"라는 용어는 다른 지역에서 사용하는 [[보수주의]]와 온전히 같은 것은 아니며, 주로 [[공화주의#s-7|고전적 공화주의]]와 [[미국의 자유주의#s-2.4|고전적 자유주의]]를 포함하는 '''[[미국식 보수주의]]'''를 가리킵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민주당(미국), version=1151, paragraph=2.1)] [[분류:미국 민주당]][[분류:진보주의]][[분류:1991년 설립]][[분류:코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