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귤속]] [include(틀:귤속)] ||<-2> '''{{{#fff {{{+1 의창지}}}[br]宜昌枳 | Ichang paped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의창지.jpg|width=100%]]}}} || || '''품종명''' || ''' ''Citrus cavaleriei'' '''[br],,H. Lév.,,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식물|식물계]] Plantae || ||<|4> [[생물 분류 단계#분류군|{{{#000,#fff '''분류군'''}}}]] ||[[관다발식물군]] Tracheophytes ||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장미군]] Rosid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운향과]] Rutace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귤속]] ''Citr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의창지 ''C. cavaleriei'' ''' || [목차] {{{#!folding 이명 [펼치기·접기] * ''Citrus ichangensis'' ,,[[Swingle]],, * ''Citrus hongheensis'' ,,Ye & al.,,}}} [clearfix] == 개요 == 의창지는 중국 서부와 서남부에 서식하는 [[귤속]] 식물이다. 척박한 땅에 서식하고 생장 속도가 느려 [[스윙글 체계]]에서는 [[파페다]] 분류에 속한다. [[탱자나무]]와 같이 귤속 식물 중 내한성이 최고로 강한 편에 속하며, -11.5℃의 환경에서도 동해를 입지 않는다. 의창지의 이름은 중국의 지명인 [[후베이성]] [[이창]](宜昌; 음독으로 의창)와 [[탱자]]를 뜻하는 지([[枳]])의 합성어다. 다만 의창지와 탱자는 서로 다른 종이며 중국에서는 지명 이창(宜昌)에 귤 등(橙)을 붙여 이창청(宜昌橙)이라 부른다. 중국의 Ⅱ급 보호종에 속한다. == 형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의창지_과실.jpg|width=3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의창지_씨앗.jpg|width=300]]}}}|| || 과실 || 씨앗 || * 잎: 난형에 끝부분이 뾰족하다. 테두리는 미세한 톱니가 있다. * 꽃: 5개의 흰색 [[꽃잎]]이 있다. * 과실: 야생종 특유의 불규칙한 모양으로 둥근 모양, 둥글넓적한 모양, [[서양배]] 모양이 있다. 연한 노랑색을 띄우며 표피가 거칠다. 과육은 거의 없고 맛은 매우 시다. 혀가 마비되는 느낌과 함께 쓴맛도 느껴진다. 식용에 적합하지 않다. == 용도 == [[탱자나무]]처럼 내한성이 좋고 병충해에도 강해 의창지 나무는 [[오렌지]], [[레몬]] 등을 [[접목]]할 때 많이 사용한다. == 변종 == * 훙허청 (红河橙; ''C. hongheensis'') - 1974년 가을 [[윈난성]] 훙허현에서 처음 발견되어 학명이 부여됐지만 후일 의창지와 동일한 종으로 판명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