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의정부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평안-1605(전).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의정부시 일반시내버스 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의정부 5 노선도.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홍죽리([[홍죽리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장암우성아파트) || ||<|2> 종점행 || 첫차 || 04:40 ||<|2> 기점행 || 첫차 || 05:30 || || 막차 || 22:40 || 막차 || 23:30 || ||<-2> 평일배차 || 12~30분 ||<-2> 주말배차 || 30~40분 || ||<-2> 운수사명 || [[평안운수]] ||<-2> 인가대수 || 5대 || ||<-2> 노선 ||<-4> [[홍죽리차고지]] - 가업리 - 세아청솔아파트 - 가야써니빌아파트 - 산성마을 입구 - 한마음청소년수련원입구 - 남방2동 - [[녹양역]], 서부광장 - 녹양힐스테이트 - [[의정부고등학교]].[[법원]].검찰청 - [[경민대학교]] - 가능3동주민센터 - (→ 다온중학교 →/← [[흥선역]] ←) - 의정부병원 - [[의정부역]], 동부광장 - 한화생명 - 가구거리.경의초등학교 - 의정부3동주민센터 - 의정부교 - 호원중앙감리교회 - 장암주공2.5단지 - 장암우성아파트 || == 개요 == [[평안운수]]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양주시]]([[홍죽리영업소|홍죽리]], 가업리)와 [[의정부시]]([[가능동]], [[의정부동]], [[장암동(의정부)|장암동]])을 잇는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6.8km. [[http://map.naver.com/?busId=9015&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의정부에서도 역사가 꽤 긴 노선으로 백석-의정부-방학동을 운행하던 시외완행 노선이 시초이다. * 1985년에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으며 이 당시에는 가능동 곧은골 차고지가 기점이었으나 8번처럼 노선이 길어지기 시작하면서 2000년대 초반에 시종점이 가업리로 이동, 이후 지금의 홍죽리 차고지로 이전했다.[* 8번은 남방리-가업리-홍죽리 순으로 시종점이 변경되었으며 133번의 경우엔 가납리-석우리를 거쳐 홍죽리로 이전되었다.] * 2005년에 의정부 시내구간에서 차이가 있었던 6번이 분리신설되었으나, 2006년 중반기에 3-1번과 같이 폐선되었다. 비슷하게 지선으로 5-2번(경민대 - 시청 - 의료원 - 의정부역 - 중앙로 - 터미널 - 신곡중 - 장암지구 - 회룡역 - 도봉산역 - 노원구청)이 있었으나 2005년에 양주자이, TS아파트까지 올라가는 7번으로 바뀌면서 자연스레 폐선되었다. * 과거 전철이 의정부북부역까지만 다니던 시절에는 8번과 가업리-녹양동 구간이 겹치다가 2006년 12월 15일 전철 1호선 구간이 소요산역까지 연장되면서 녹양사거리(녹양역 2번 출구)에서 [[39번 국도]](당시 서부순환로, 현재 도로명은 서부로)를 잠시 경유하다가 녹양동성당으로 빠지는 걸로 변경되었다. * 2009년에 녹양휴먼시아 입주가 시작되고, 녹양동 신시가지 조성이 완료되면서 녹양역 서부광장(1번 출구) 경유로 바뀌었다. * 2011년 쯤에 홍죽리차고지가 신설되었고, 같은 시기에 홍죽일반산업단지가 완공되어 입주가 시작되면서 기존 가업리차고지와 석우리차고지를 홍죽리차고지로 통합했고, 기존 노선들도 이에 맞춰 연장, 변경되었다. * 의정부경전철 연계를 위해 2015년 9월 1일부터 경민대 방향만 의정부서중 대신 흥선역 경유로 바뀌었다. * 2018년 5월 여객운수사업법 개정에 따른 후속조치로 막차 시간이 기존 22:40/23:50에서 22:10/23:20 으로 단축되었다. * 2020년 12월 14일부터 11번이 금오동, 신곡동을 경유함에 따라 장암지구를 미경유하게 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회룡역~방학동 구간이 단축되고[* 회룡역~방학동 구간은 같은 날 노선 변경되는 56번이 대체한다.] 회룡역사거리 - 발곡중 - 장암주공2단지로 종점이 변경 및 연장되었다. 이 때문에 가능동에서 도봉구로 가는 노선은 133번밖에 없게 되었고 5번 버스를 장암동으로 단축하고 감차를 하였으면 133번에 증차를 하던가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오히려 배차간격이 더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장암동 구간은 기존 11번과 다르게 장암지구 내부 6자 선형 경로로 운행하지 않고 굳은 선형으로 바로 종점으로 간다. * 이후 지속적으로 감차되어 5대가 30~4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수준까지 떨어지고 말았다. == 특징 == * 가업리, 복지리, 어둔동, 남방동 주민들의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 * [[굴곡 노선/버스/경기도|가능동을 투어하는 지라]] [[의정부 버스 133|133번]]과 함께 [[경민대학교]]와 [[의정부고등학교]] 통학수요를 동시에 담당하고 있다. * '온누리교회 - 방학동신우빌라' 구간은 단독구간이었다. 다만, 반대방향으로는 [[서울 버스 1139|1139번]]이 다닌다. [[포천 버스 72-3|72-3번]]도 있었으나 신도봉시장으로 변경되면서 철수했으며, 이 노선의 방학동 구간을 [[의정부 버스 56|56번]]에게 넘겨주면서 지금은 56번의 단독구간이다.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차량 === *신설 당시에는 1994~1997년식 하이파워로 운행했다. 이후 2006년에 기존 하이파워 차량과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이 [[의정부 버스 1|1번]], [[의정부 버스 3|3번]], [[의정부 버스 23|23번]] 출신 1998~2002년식 로얄시티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심지어 2009년에 GBUS 출범 이전 도색인 초록색 물방울 도색을 한 차량이 다닐 정도였다. *이후 [[의정부 버스 7|7번]], [[의정부 버스 36|36번]], [[의정부 버스 39|39번]] 출신 2004~7년식 BS106 디젤 차량으로 교체되어 차급이 그나마 나아졌다. 그리고 이제는 NEW BS106까지 다니고 있다. * 2020년 12월, 2010년식 [[자일대우버스 BS|BS106 F/L 디젤]] 2대가 [[의정부 버스 11|11번]]으로 이동했다. * 2023년 6월, [[CHTC 에픽시티|에픽시티]] 5대가 신차로 들어와 운행하고 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녹양역]][* 홍죽리 방향은 1번 출입구와 서부광장, 장암주공 방향은 키움타워 앞에서 하차.], [[의정부역]][* 동부광장에서 하차.] * [[파일:ULine_icon.svg|width=17]] [[의정부 경전철]]: [[흥선역]][* 하행은 흥선광장 정류소 이용], [[발곡역]][* 장암동주민센터.발곡중학교에서 내려 도보 3분] [[분류:의정부시의 시내버스]][[분류:1985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양주시 경유 관외 노선]]